본문으로 이동

히슈카랴나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히슈카랴나어
사용 국가 브라질
사용 지역 아마조나스주 냐문다강 상류
언어 인구 600명 (2000년)
언어 계통 카리브어족
 파루코토어파
  와이와이어군
   히슈카랴나어
언어 부호
ISO 639-3 hix 히슈카랴나어
글로톨로그 hixk1239[1]

히슈카랴나어(Hixkaryana)는 브라질 아마존강 지류인 냐문다강 상류 지역에서 약 600명이 사용하는 카리브어족 언어이다. 처음으로 발견된 OVS형 언어로 여겨진다(언어학자 데스몬드 C. 더비셔가 처음 보고하였다).

음운론

[편집]

히슈카랴나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

순음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ɲ
파열음 p b t d ɟ k
마찰음 ɸ s ʃ h
탄음 ɾ ɽˡ
접근음 j w
  • /ɽˡ/설측 개방되는 권설 탄음이다.
  • 철자법은 다음과 같다. /tʃ ɟ/ = tx dy; /ɸ ʃ/ = f x; /ɲ/ = ny; /ɽˡ/ = ry; /j/ = y.

히슈카랴나어의 모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

전설 후설
고모음 ɯ, u
중고모음 e
중저모음 ɔ
저모음 æ

모음 /ɯ/, /u/, /e/, /ɔ/, /æ/는 각각 ɨ, u, e, o, a로 표기된다.

문법

[편집]

히슈카랴나어에서 논항은 동사에 인칭 접두사로 표시된다. 이 접두사들은 직행-역류 체계와 비슷한 체계를 이루며, 2인칭 > 1인칭 > 3인칭의 위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논항이 동사에 표시된다. 이 위계에서 타동사의 목적어가 주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경우, 그에 해당하는 O-접두사가 사용된다. 그 외에는 A-접두사가 사용된다.

A-접두사 O-접두사
1A 0-/ɨ- 1O r(o)
2A m(ɨ)- 2O o(j)-/a(j)-
1 2A t(ɨ)- 1 2O k(ɨ)-
3A n(ɨ)-/j-

자동사에 붙는 인칭접두사도 위에 나온 타동사 인칭접두사와 유사하며, 분열 자동사 체계를 이룬다. 논항의 수 정보는 시제, 상, 법, 수를 한꺼번에 나타내는 동사 접미사로 표시된다.

대부분의 경우 인칭접미사를 통해 두 논항 중 어느 것이 주어이고 어느 것이 목적어인지 명확히 알 수 있다. 그러나 주어와 목적어가 모두 3인칭인 경우, 인칭접미사만 가지고는 주어와 목적어를 구별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어순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히슈카랴나어는 OVS형 기본 어순을 지녔다고 알려져 왔다. 아래의 예문 “toto yonoye kamara”은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인 “남자가 재규어를 먹었다”로는 해석될 수 없으며 목적어-동사-주어 어순인 “재규어가 남자를 먹었다”로만 해석될 수 있다.

toto yonoye kamara
toto y- ono -ye kamara
person 3SG- eat -DIST.PAST.COMPL jaguar
"재규어가 남자를 먹었다."

간접목적어는 주어 뒤에 나온다.

bɨryekomo yotahahono wosɨ tɨnyo wya
bɨryekomo y- otaha -ho -no wosɨ tɨnyo wya
boy 3SG- hit -CAUS -IMM.PAST woman her-husband by
"여자가 남편에게 아이를 때리도록 했다."

또한 비정형 내포절의 어순은 SOV이다.[2] 대부분의 OV 언어처럼 히슈카랴나어는 후치사를 사용한다.

각주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Hixkaryana〉.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https://web.archive.org/web/20070221213347/http://www.ling.umd.edu/~soltan/LING419B/Handouts/handout3.pdf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