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한국의 지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의 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1402년, 규장각 소장)

한국의 지도(韓國의 地圖)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제작되었으며,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세계지도와 방안선을 사용한 정밀한 지도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20세기 후반부터는 현대식 지도가 만들어졌다.

시대별 지도

[편집]

조선시대 이전

[편집]

한국은 중국의 영향으로 지리 지식과 지도 제작 기술이 일찍부터 발달하여, 삼국시대에 이미 지도를 만들었다.

고구려의 영류왕 때 〈봉역도(封域圖)〉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윤보가 〈오천축국도(五天竺國圖)〉를 제작하여, 당시 고려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중국 중심의 세계 인식을 인도에까지 넓히는 데 기여했다.

조선시대

[편집]

한국의 지도 제작에 본격적인 변화를 일으킨 것은 15, 16세기의 조선시대에 서양 문물이 들어오면서부터이다. 아라비아 지리학의 영향을 받은 프톨레마이오스식의 세계지도가 도입되면서 그 영향을 받은 지도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특히 1402년에 이회 등이 만든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는 중국 및 아라비아로부터 전해진 지식을 바탕으로 한 것인데, 동양 최초의 세계 지도로 알려져 있다. 현재 이 지도의 사본이 일본에 남아 있다.

조선시대 중기 이후에는 지도책이 발달하였다. 조선의 지도 가운데 축척과 방위가 정확한 대축척지도는, 1700년대에 정상기가 제작한 〈동국지도(東國地圖)〉로서 약 40만분의 1 축척의 도별(道別) 지도이다. 육로는 물론 해상로도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는 이 지도는 현재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조선시대 지도의 발달은 1800년대에 이르러 김정호의 〈청구도(靑丘圖)〉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제작으로 절정에 이르게 된다. 1834년에 완성된 청구도는 축척이 약 16만분의 1인 현대식 대축척지도의 성격을 띠는 지도책이다.〈대동여지도〉는 1861년에 완성된 것인데, 이 지도의 내용은 청구도와 큰 차이는 없으나, 지형이나 하천·교통로 등이 보다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김정호는 이 지도의 제작을 위해 우리나라 전역을 27년간이나 두루 돌아다니면서 관측했다고 한다.

근대

[편집]

한국 최초의 현대식 지도는 1899년에 학부 편집국에서 간행한 〈대한전도(大韓全圖)〉로 경위선 좌표가 그려져 있다. 이후 한국의 지도는 일제에 의해서 만들어졌는데, 청·일 전쟁에 사용하기 위해 200만분의 1 지도를 완성하였고, 1910년부터 1915년 사이에 조선 총독부토지 조사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측량을 완료하였다. 일제는 이를 바탕으로 1914년에서 1918년 사이에 조선 전역에 걸친 5만분의 1 지형도를 722개 완성했다.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2만 5,000분의 1, 2만분의 1, 1만분의 1 지도도 만들었다.

현대

[편집]

1974년에 남한 전 지역에 걸친 2만 5000분의 1 지도가 762매로 완성되었다. 또한 1974년 11월에 국립건설연구소가 건설부 산하의 국립지리원으로 개편되면서 지도 제작 사업도 더욱 활발해졌다. 이때부터 주요 도시 및 개발 지역의 5,000분의 1 세밀도를 작성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 국제적인 표준 도법에 의해서 220만분의 1 세계지도를 편집·발간하였다. 그리고 1989년에 대한민국의 자연·경제·사회·문화 등의 현황을 담은 주제도인 〈대한민국 국제 지도〉가 완성되는 등 한국의 지도 제작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자료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