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협정 (2015년)
파리 협정(파리協定, 영어: Paris Agreement, 프랑스어: Accord de Paris)은 2015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에서 채택된 조약이다. 회의의 폐막일인 2015년 12월 12일 채택되었고,[1][2] 2016년 11월 4일부터 포괄적으로 적용되는 국제법으로서 효력이 발효되었다.[3] 회의 주최자 프랑스의 외무장관 로랑 파비우스는 "야심차고 균형잡힌" 이 계획은 지구 온난화에 있어서 "역사적 전환점"이라고 하였다.[4] 하지만 실패하였다.(풀네임; 파리기후 협약)
내용
[편집]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하로 유지하고, 더 나아가 온도 상승 폭을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약이다.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스스로 정해 국제사회에 약속하고 이 목표를 실천해야 하며, 국제사회는 그 이행에 대해서 공동으로 검증하게 된다. 파리협정은 2016년 제23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에서 195개국의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 2017년 6월 미국의 탈퇴 선언과 2020년 11월 4일, 미국의 공식 탈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세계 탄소 배출의 87%에 달하는 200여 개 국가가 협정을 이행중이다.[5]
대한민국
[편집]세계 7위의 온실가스 배출국가인 한국은 2030년까지 전망치 대비 24.4%의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하고 있다.[5] 또한 2020년 10월 28일 문재인 대통령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파리 협정 이행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6]
전개
[편집]체결 과정
[편집]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주관한 파리 유엔 기후 변화 회의에서 파리 협정이 타결되었다.[7] 미국 등 주요국이 빠지고 연장에 실패한 교토 의정서와 달리, 파리 협정은 2015년 12월 12일 195개국이 채택하여 체결이 성사되었다.[8][9]
체결 이후
[편집]국제법 승격
[편집]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이 협정을 법적인 구속력이 있는 국제법으로 만들기 위해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55% 이상 책임이 있는 55개국에 활발한 로비 활동을 펼쳤다.[10][11] 그같은 노력에 힘입어, 미국, 중국, 브라질, 인도, 유럽 연합 등 주요 기후 변화 당사자들이 파리 협정을 비준하였고, 2016년 11월 4일부터 기후 협정으로서는 최초로 포괄적인 구속력이 적용되는 국제법으로서 효력이 발효되었다.[3][10][11]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016년 10월 유럽 의회가 비준을 마무리하여 파리 협정의 국제법 발효가 확정되자, 즉각 환영 성명을 발표하며 "지구에 있어서 전환점이 되는 날로 역사가 평가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12]
미국의 탈퇴
[편집]2017년 6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돌연 미국의 파리 협정 탈퇴를 선언하여 파리 협정은 새로운 위기에 봉착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파리협정이 미국에 불공평하며 미국민들에게 손해를 준다"고 하면서 이 협정에서 탈퇴한다는 것을 공식 선포하였다. 이에 따라 세계에서 트럼프의 결정을 비판하고 있으며, 미국 자국민들 또한 거센 반발을 하고 있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 나라 중 하나로, 미국이 탈퇴하게 되면 중국 등 다른 탄소배출 주요국들 또한 파리협정 준수에 관한 관심이 시들해질 수 있다.
미국의 재가입
[편집]조 바이든 제46대 미국 대통령이 2021년 1월 21일(현지 시간 20일) 취임한 가운데, 첫 업무로 파리 기후변화협약 복귀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파리기후협약(협정) 복귀는 바이든 대통령의 세 번째 서명에 의해 이루어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취임 첫날 파리기후협약에 재가입하고 취임 100일 안에 주요 경제국 정상들과 기후정상회의를 열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바이든은 파리협정 복귀 등과 관련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오늘 서명하는 행정적 조처 일부는 코로나19 위기의 흐름을 바꾸고 우리가 오랫동안 하지 않은 기후변화와 싸우는 것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utter, John D.; Berlinger, Joshua (2015년 12월 12일). “Final draft of climate deal formally accepted in Paris”. 《CNN》. Cable News Network,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2015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Paris climate talks: France releases "ambitious, balanced" draft agreement at COP21”. 《ABC Australia》. 2015년 12월 12일.
- ↑ 가 나 “Paris Climate Agreement Becomes International Law”. ABC News. 2016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 Doyle, Allister; Lewis, Barbara (2015년 12월 12일). “World seals landmark climate accord, marking turn from fossil fuels”. 《Reuters》. Thomson Reuters. 2015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위기에 빠진 북극곰 살리기,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해결방안”. 《그린피스》. 2018년 1월 2일에 확인함.
- ↑ “2021년도 예산안 시정연설”. 202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파리 기후협정 극적 타결… 승리의 주역들 누구?”. 《동아일보》. 2015년 12월 13일.
- ↑ Sutter, John D.; Berlinger, Joshua (2015년 12월 12일). “Final draft of climate deal formally accepted in Paris”. 《CNN》 (Cable News Network,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2015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Paris climate talks: France releases "ambitious, balanced" draft agreement at COP21”. 《ABC Australia》. 2015년 12월 12일.
- ↑ 가 나 “FP Global Thinkers 2016”. 《Foreign Policy》. 2016년 12월 12일. 2022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반기문, 포린 폴리시 "세계의 사상가 100인"에 선정돼”. 《연합뉴스》. 2016년 12월 13일.
- ↑ “파리기후변화협정 내달 4일 발효…"지구사 전환점 되는 날"(종합)”. 《연합뉴스》. 2016년 10월 6일.
- 2015년 12월
- 2015년 환경
- 2015년 프랑스
- 2015년 체결된 조약
- 2016년 발효된 조약
- UNFCCC
- 파리의 역사
- 환경 조약
- 유엔의 조약
- 가나의 조약
- 가봉의 조약
- 가이아나의 조약
- 감비아의 조약
- 과테말라의 조약
- 그레나다의 조약
- 그리스의 조약
- 기니비사우의 조약
- 기니의 조약
- 나미비아의 조약
- 나우루의 조약
- 나이지리아의 조약
- 남수단의 조약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조약
- 네덜란드의 조약
- 네팔의 조약
- 노르웨이의 조약
- 뉴질랜드의 조약
- 니우에의 조약
- 니제르의 조약
- 니카라과의 조약
- 대한민국의 조약
- 덴마크의 조약
- 도미니카 공화국의 조약
- 도미니카 연방의 조약
- 독일의 조약
- 동티모르의 조약
- 라오스의 조약
- 라이베리아의 조약
- 라트비아의 조약
- 러시아의 조약
- 레바논의 조약
- 레소토의 조약
- 루마니아의 조약
- 룩셈부르크의 조약
- 르완다의 조약
- 리투아니아의 조약
- 리히텐슈타인의 조약
- 마다가스카르의 조약
- 마셜 제도의 조약
- 말라위의 조약
- 말레이시아의 조약
- 말리의 조약
- 멕시코의 조약
- 모나코의 조약
- 모로코의 조약
- 모리셔스의 조약
- 모리타니의 조약
- 모잠비크의 조약
- 몬테네그로의 조약
- 몰도바의 조약
- 몰디브의 조약
- 몰타의 조약
- 몽골의 조약
- 미국의 조약
- 미얀마의 조약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조약
- 바누아투의 조약
- 바레인의 조약
- 바베이도스의 조약
- 바티칸 시국의 조약
- 바하마의 조약
- 방글라데시의 조약
- 베냉의 조약
- 베네수엘라의 조약
- 베트남의 조약
- 벨기에의 조약
- 벨라루스의 조약
- 벨리즈의 조약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조약
- 보츠와나의 조약
- 볼리비아의 조약
- 부르키나파소의 조약
- 부탄의 조약
- 북마케도니아의 조약
- 불가리아의 조약
- 브라질의 조약
- 브루나이의 조약
- 사모아의 조약
- 사우디아라비아의 조약
- 산마리노의 조약
- 상투메 프린시페의 조약
- 세네갈의 조약
- 세르비아의 조약
- 세이셸의 조약
- 세인트루시아의 조약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조약
- 세인트키츠 네비스의 조약
- 소말리아의 조약
- 솔로몬 제도의 조약
- 수단의 조약
- 수리남의 조약
- 스리랑카의 조약
- 스웨덴의 조약
- 스위스의 조약
- 스페인의 조약
- 슬로바키아의 조약
- 슬로베니아의 조약
- 시에라리온의 조약
- 싱가포르의 조약
- 아랍에미리트의 조약
- 아르메니아의 조약
- 아르헨티나의 조약
- 아이슬란드의 조약
- 아이티의 조약
- 아일랜드의 조약
- 아제르바이잔의 조약
- 아프가니스탄의 조약
- 안도라의 조약
- 알바니아의 조약
- 알제리의 조약
- 앙골라의 조약
- 앤티가 바부다의 조약
- 에스와티니의 조약
- 에스토니아의 조약
- 에콰도르의 조약
- 에티오피아의 조약
- 엘살바도르의 조약
- 영국의 조약
- 오만의 조약
- 오스트레일리아의 조약
- 오스트리아의 조약
- 온두라스의 조약
- 요르단의 조약
- 우간다의 조약
- 우루과이의 조약
- 우즈베키스탄의 조약
- 우크라이나의 조약
- 이라크의 조약
- 이란의 조약
- 이스라엘의 조약
- 이집트의 조약
- 이탈리아의 조약
- 인도네시아의 조약
- 인도의 조약
- 일본의 조약
- 자메이카의 조약
- 잠비아의 조약
- 적도 기니의 조약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약
- 조지아의 조약
- 중국의 조약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조약
- 지부티의 조약
- 짐바브웨의 조약
- 차드의 조약
- 체코의 조약
- 칠레의 조약
- 카메룬의 조약
- 카보베르데의 조약
- 카자흐스탄의 조약
- 카타르의 조약
- 캄보디아의 조약
- 캐나다의 조약
- 케냐의 조약
- 코모로의 조약
- 코스타리카의 조약
- 코트디부아르의 조약
- 콜롬비아의 조약
- 콩고 공화국의 조약
- 쿠바의 조약
- 쿠웨이트의 조약
- 쿡 제도의 조약
- 크로아티아의 조약
- 키르기스스탄의 조약
- 키리바시의 조약
- 키프로스의 조약
- 타지키스탄의 조약
- 탄자니아의 조약
- 태국의 조약
- 토고의 조약
- 통가의 조약
- 투르크메니스탄의 조약
- 투발루의 조약
- 튀니지의 조약
- 튀르키예의 조약
-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조약
- 파나마의 조약
- 파라과이의 조약
- 파키스탄의 조약
- 파푸아뉴기니의 조약
- 팔라우의 조약
- 팔레스타인의 조약
- 페루의 조약
- 포르투갈의 조약
- 폴란드의 조약
- 프랑스의 조약
- 피지의 조약
- 핀란드의 조약
- 필리핀의 조약
- 헝가리의 조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