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시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시경
본명주시경(周時經)
출생1876년 12월 22일(1876-12-22)
조선 황해도 봉산군
사망일제강점기 한성부
성별남성
국적조선대한제국
직업언어학자
종교개신교(감리교) → 대종교개신교(감리교)

주시경(周時經, 1876년 12월 22일 (음력 11월 7일)~1914년 7월 27일)은 조선말 개화기에 한국어와 한글을 과학적으로 연구한 국문학자이자 언어학자이다. 전문적인 이론 연구를 통해 한글 표준화를 추진하였고, 후진양성과 더불어 민족자주 차원에서 한글 보급운동을 펼치며 한글의 대중화와 근대화에 노력한 개척자이자 선각자다.[1]

본관은 상주, 초명은 상호(相鎬), 자는 경재(經宰), 호는 한힌샘, 백천(白泉)이다. 독립협회 활동 중 한글 표기법 통일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한국어 문법을 정리하였다. 독립신문 발행과 각종 토론회, 만민공동회의 자료를 민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글로 써야 했기 때문이다. 홀대 받던 우리글 훈민정음을 '으뜸가는 글, 하나 밖에 없는 글'이란 뜻을 지닌 '한글'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부를 것을 제안하여[2][3][4] 사용하게 하였다.[5] 현대 한글체계를 정립하고 보급하였으며, 한국어 연구에 공헌하였다. 민족주의 사상을 지녀 한글 교육에도 힘썼으며, 개신교에서 대종교로 개종한 것 또한 민족적인 정체성 추구 때문이었을 거라 추측된다. 근현대 한글 연구에 있어

께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주시경은 "나무가 자라는 것은 하늘이 하는 일이요, 그 나무를 가꾸는 것은 사람이 하는 일이니, 우리가 해야 할 것은 우리말을 다듬어서 바르게 말하고 적는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80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6]

생애

[편집]
  • 1876년 황해도 봉산군 무릉골에서 서당 훈장 주학원(周鶴苑)과 연안 이씨의 4남 2녀 중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상주 주씨 시조 주이(周頤)의 17세손. 어린 시절 이름은 상호(相鎬)이고 관명(冠名)은 시경(時經)이다. 할아버지 방렬(方烈) 대에 황해도 평산군 차돌개에 와 살다가 아버지 대에 봉산군 무릉골로 옮겼다. 정승 주세붕(周世鵬)의 후예이다.
  • 1887년 12세에 서울 남대문 안 시장에서 해륙물산객주업을 하는 둘째 백부 주학만(周鶴萬)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 1887년 수박다리(水橋)에 사는 진사 이희종의 글방에서 한학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 1892년 진사 이희종에게 시전(詩傳)을 배우던 중 한문을 한국어로 풀이하는 과정에 의문을 품고 한국어로 해석하기의 가능성을 모색하며 한국어 연구에 뜻을 세웠다.
  • 1893년 배재학당의 강사 박세양정인덕을 찾아 산술과 만국지지(역사, 지리)를 배웠다.
  • 1894년 배재학당의 특별과인 만국지지과에 입학.
  • 1895년 탁지부 관비생으로 선발되어 제물포에 있는 이운(利運) 학교 속성과에 입학하여 항해술을 배웠다.
  • 1896년 배재학당에 다시 입학하여 학당 안에 있는 활판소에서 잡역을 하며 공부를 했다. 독립신문사의 회계 겸 교정원으로, 또는 총무로 일하면서 학비를 벌었다.
  • 1896년 배재 학당 내 활판소와 독립신문사 및 협성회의 동지들을 모아 '국문 동식회'를 조직하였다. 이 모임의 목적은 국문 동식법(맞춤법)을 연구하고 국문 전용을 권장하며 국어사전을 편찬하고 국어 문법을 연구하는 일이었다.
  • 1896년 김명훈과 결혼. 슬하에 3남 2녀를 두었다.
  • 1896년 배재학당의 학생회인 협성회의 찬술원 및 사적으로 피선되어 '협성회보'를 편집하게 된다.
  • 1897년 독립협회 임원으로 피선.
  • 1898년 6월 배재학당 만국지지 특별과를 졸업. 독립신문사의 총무직 사임.
  • 1898년 국어 문법의 연구에 필요한 추가 공부를 위해 영어 문법을 연구하기로 하고 배재학당 보통과에 입학.
  • 1898년 독립협회의 만민공동회 사건으로 이승만, 서상대, 이동녕, 양기탁 등과 함께 감옥에 투옥되었다. 황제의 특사령으로 11월에 석방됨.
  • 1898년 12월 31일 '대한국어문법'의 원고본 집필.
  • 1899년 남대문 안에 있는 제국신문사에 입사하여 기자로 활동.
  • 1900년 6월 배재학당 보통과 졸업. 졸업 예배 식전에서 아펜젤러 목사의 집례로 세례를 받고 감리교에 입교.
  • 1900년 상동교회 부설 상동 청년 학원(야학)에 국어문법과를 부설. 1900년 2월 15일은 한국에서 최초로 국어 문법이 근대 교육의 한 과목이 된 날임. 이 당시 교재는 '대한 국어 문법' 원고본이었음.
  • 1901년 1905년까지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침.
  • 1906년 수진동 흥화학교 측량과(야간 속성과) 졸업.
  • 1906년 이화 학당 사무원으로 근무.
  • 1906년 서우(西友) 학회 협찬원으로 근무.
  • 1906년 '대한 국어 문법' 목각 인쇄본 출간.
  • 1906년 창동에 있는 학교 '정리사'에 입학하여 수학물리학을 배움.
  • 1907년 지석영이 만든 국어연구회의 회원으로 4개월간 활동.
  • 1907년 7월 학부(지금의 교육부) 내의 국문 연구소 주임위원으로 임명되어 3년 동안 국문연구안을 작성·제출·토의.
  • 1908년 '국어 문전 음학' 출간.
  • 1908년 ~ 1910년 상동청년학원 안에 개설된 하기(夏期)국어강습소의 졸업생과 유지들을 규합, 국어연구학회를 조직.
  • 1909년에는 캐나다 개신교 선교사인 J.S.게일,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등과 더불어 한어연구회를 조직.
  • 1911년 학회이름이 국어연구학회에서 조선언문회(배달말글몯음)로 개명되었다. 그리고 국어강습소는 조선어강습원으로 개칭.
  • 1913년 학회의 이름이 한글모로 재개명.
  • 1914년 조선어강습원의 이름이 한글배곧으로 재개칭. 7월 27일 별세. 39세.

강의활동

[편집]
  • 이화학당·흥화학교·기호학교·융희학교·중앙학교·휘문의숙·배재학당 등에서 강의
  • 상동감리교회 내의 상동청년학원과 여러 강습소를 중심으로 국어 강의를 전개
  • 1907년 여름에 상동청년학원의 국어강습소에서 강의
  • 같은 해 11월 같은 학원에 설치된 국어야학과에서 강의
  • 1908~09년 국어강습소에서 강의
  • 1910년 재령 나무리강습소에서 강의
  • 강의과목: 음학(音學)·자분학(字分學)·격분학(格分學)·도해학(圖解學)·변체학(變體學)·실용연습 등을 가르쳤다.

제자

[편집]

주시경 선생에게 직·간접으로 배운 사람들은 김두봉·[/이규영]·최현배·김윤경·권덕규·신명균·장지영·이필수·김원우·정열모·이윤재·이병기·김두종·백남규 등이다. 이들 중 이윤재, 최현배는 조선어학회에서 회원으로 활동한 한글학자들이다.

가족

[편집]
  • 조부 : 주방렬(周方烈) - 처음 이름은 봉래(鳳來)였다. 가선대부와 김포군수를 지냈다.
    • 백부 : 주학영(周鶴英)
    • 중부 : 주학만(周鶴萬) - 처음 이름은 면진(冕鎭)이었다.
    • 생부 : 학원(周鶴苑) - 처음 이름은 면석(冕錫)이었다.
      • 형 : 주시통(周時統) - 백부의 양자가 되었다.
      • 본인 : 주시경(周時經) - 중부의 양자가 되었다.
      • 아우 : 주시강(周時綱)
      • 아우 : 주시종(周時綜)



  • 처 : 김해 김씨 김종순(金鍾舜)의 딸 김명훈
    • 장남 : 주삼산/세메
    • 차남 : 주백산/흰메(1904) - 족보에 올라간 이름은 염회(濂會), 자는 백산(白山)이다.
      • 손자 : 주영철 (1934 - 2006)
      • 손녀 : 주영신
      • 손녀 : 주영애
      • 손녀 : 주영옥
    • 장녀 : 주송산(1902)/솔메 - 남편은 광주 이씨 이종우(李鍾禹)
    • 차녀 : 주춘산/봄메 - 남편은 제주 고씨 고태윤(高泰胤)
    • 삼남 : 주왕산(1912)/임메 - 족보에 올라간 이름은 진회(晋會), 자는 왕산(王山)이다.


      • 손자 : 주영일(1939)
      • 손자 : 주소영(1942)
      • 손자 : 주영석(1945)

참고 : 자녀들의 이름을 순 우리말로 지었으나 일제시대에 호적을 한글로 올릴 수 없어 한자로 호적에 올렸다.

저서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주시경을 연기한 배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no잉wiki>[네이버 지식백과 주시경 [周時經] (두산백과)</nowiki>]
  2. [한국민속 대백과사전] 한글날 (문화체육관광부, 국립민속박물관)...한글이라는 이름은 언문, 반절, 가갸글 등으로 불러 오던 훈민정음을 1910년대에 주시경(周時經)을 중심으로 한 국어 연구가들이 으뜸가는 글, 하나 밖에 없는 글이라는 뜻으로 지어서 쓰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때까지만 해도 그 쓰임이 보편화되지 않았다.
  3. [네이버 지식백과] 한글 - 세상에서 가장 신비한 문자 (위대한 문화유산, 최준식)....‘한글’이라는 이름은 1910년대 초에 주시경 선생을 비롯한 한글학자들이 쓰기 시작한 것입니다. 여기서 ‘한’이란 크다는 것을 뜻하니, 한글은 ‘큰 글’을 말한다고 하겠습니다.
  4. [네이버 지식백과] 훈민정음 - 세계가 인정하는 우리글 (장콩 선생님과 함께 묻고 답하는 세계문화유산 이야기(한국편), 2011. 3. 15., 장용준(장콩), 조성덕, 양희석, 주상태)....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은 1913년 어린이 잡지 〈아이들보이〉에 글을 쓰면서 ‘한글’이라는 이름을 최초로 사용하여 ≪훈민정음≫의 현재 이름인 ‘한글’을 탄생시켰어요.
  5. [네이버 지식백과] 한글 가치의 재발견, 주시경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한글'이라는 명칭은 주시경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으나, 1913년 간행된 《아이들 보이》라는 잡지의 끝에 제목으로 '한글'이라 한 것이 있다. 이 명칭은 조선어학회가 훈민정음 반포 8회갑이 되는 해(60×8=480)인 1926년 음력 9월 29일을 반포기념일로 정하여 '가갸날'로 부른 뒤, 1928년에는 가갸날을 한글날로 고쳐 부르게 되면서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진다. '한글'은 '한(韓) 나라의 글', '큰글', '세상에서 첫째가는 글'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6. [네이버 지식백과] 주시경 [周時經] - 실천적 국어학자 (독립운동가, 이달의 독립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