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인
조영인(趙永仁, 1133년 ~ 1202년)은 고려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횡천(橫川), 초명은 조영심(趙永心)[1]이다. 조충(趙冲)의 아버지이다.
생애
[편집]젊은 시절부터 출중하여, 박학다식했으며 글을 잘 지었다.[2]
1160년(의종 14) 과거에 급제[3]하여 전주서기(全州書記)로 나가서는 선정으로 이름이 났으며, 명종이 즉위하자 조영인을 시켜 태자[4]를 돌보게 했다.[2]
1174년(명종 4) 좌사원외랑(左司員外郞)으로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금나라에 가서 신년을 하례하고 돌아왔으며[5], 그 후 여러 차례 승진해 1185년(명종 15) 우승선(右承宣)으로서 국자시(國子試)를 주관해 최문목(崔文牧), 정광우(丁光祐) 등을 선발했다.[6]
1190년(명종 20)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使)로 승진해 재추의 반열에 들어갔으며[5], 이듬해 참지정사(叅知政事)·정당문학(政堂文學)·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에 임명되었다가, 1194년(명종 24) 수태위(守太尉)·상주국(上柱國)이 더해졌다.[2]
1196년(명종 26) 권판이부사(權判吏部事)를 겸직했다가[5], 이듬해 신종(神宗)이 즉위하자 수태사(守太師)·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판이부사(判吏部事)로 승진했다.
1198년(신종 원년) 금나라 사신이 와서 명종이 왕위를 물려준 일[7]에 대해 따지면서 “이 조서는 반드시 전 왕에게 직접 전달하라는 황제의 분부가 계셨소.”라고 하였다.
조정 신하들이 모두 난감해하자 조영인이 금나라 사신에게 이렇게 거짓말했다.
“ | 전 왕께서 지금 남쪽 지방에서 병을 치료하고 있어서 오가는 여정을 계산해 보면 30일쯤 걸립니다. 꼭 직접 전달하려거든 몇 개월 머물러 주실 것을 청합니다. | ” |
이에 금나라 사신이 “정말 그렇다면 전 왕에게 꼭 직접 전달할 필요는 없소.”라며 이튿날 신종에게 조서를 전해 주었다.
이 해 눈이 침침하므로 퇴직을 요청하니, 왕이 그를 문하시중(門下侍中)·수문전태학사(修文殿太學士)·감수국사(監修國史)·상주국(上柱國)·판이부사·태자태사(太子太師)로 올려 주고 사직을 허락했다.
1202년(신종 5년) 70세로 졸하니 왕이 크게 애도하며 문경(文景)이라는 시호를 내렸으며, 뒷날 신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2]
평가
[편집]『고려사』는 조영인에 대해 그의 열전에서 이렇게 평했다.
“ | 여러 차례 승진해 승선(承宣)이 되어서는 왕 잘못을 바로 잡은 일이 많아 당시 여론이 그를 높이 평가했다. | ” |
가족 관계
[편집]- 증조 - 조주조(趙周祚)[8] : 중상승(中尙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