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과 구조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인과 구조(因果構造, 영어: causal structure)는 시공간의 점들 사이에, 상대성이론에 따라 어떤 점이 다른 어떤 점에 물리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관계를 나타낸다.
정의
[편집]로런츠 다양체 가 주어졌다고 하고, 계량 부호수를 − 로 잡자.
벡터의 분류
[편집]어떤 점 에서의 벡터 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만약 이라면 를 시간꼴(영어: timelike)이라고 한다.
- 만약 이라면 를 영벡터(영어: null vector)라고 한다.
- 만약 이라면 를 공간꼴(영어: spacelike)이라고 한다.
시간꼴/영/공간꼴 벡터장은 모든 점에서 시간꼴/영벡터/공간꼴인 벡터장이다. 인과 벡터장(영어: causal vector field)은 모든 점에서 시간꼴이거나 영벡터인 벡터장이다.
만약 어떤 곡선 의 접벡터 가 항상 시간꼴이라면, 이를 시간꼴 곡선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영벡터 곡선이나 공간꼴 곡선도 정의할 수 있다. 인과적 곡선(영어: causal curve)은 모든 점에서 접벡터가 영벡터이거나 시간꼴인 곡선이다.
시간 방향
[편집]점 에서, 시간꼴 벡터 들의 집합에 다음과 같은 동치 관계를 주자.
이에 따라, 에서의 모든 시간꼴 벡터들은 두 동치류로 분류할 수 있다. 에서의 시간 방향은 이 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한 것이며, 선택된 방향을 미래 방향, 선택되지 않은 방향을 과거 방향이라고 한다.
만약 로런츠 다양체 전체에 시간 방향을 연속적으로 줄 수 있다면 을 시간 가향(영어: time-orientable)하다고 한다.
미래 방향 시간꼴 벡터장(영어: future-oriented timelike vector field)은 모든 점에서 미래 방향 벡터 값을 갖는 시간꼴 벡터장이다. 마찬가지로, 과거 방향 시간꼴 벡터장(영어: past-oriented timelike vector field)은 모든 점에서 과거 방향 벡터 값을 갖는 시간꼴 벡터장이다.
인과 관계
[편집]두 점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 만약 에서 로 가는 미래 방향 시간꼴 곡선이 존재한다면 가 보다 시간 순으로 선행한다(영어: chronologically precedes)고 하고, 라고 쓴다.
- 만약 에서 로 가는 미래 방향 인과 곡선이 존재한다면 가 보다 인과적으로 선행한다(영어: causally precedes)고 하고, 라고 쓴다.
마찬가지로, 그 반대 개념인 시간 순 후행 () 및 인과적 후행()도 정의할 수 있다.
이들은 추이법칙을 만족시킨다. 즉
또한, 인과적 선행은 시간 순 선행보다 더 약한 개념이다.
시간순/인과적 선행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미래 및 과거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 점 의 시간 순 미래 는 보다 시간 순으로 후행하는 점들의 집합이다.
- 점 의 시간 순 과거 는 보다 시간 순으로 선행하는 점들의 집합이다.
- 점 의 인과적 미래 는 보다 인과적으로 후행하는 점들의 집합이다.
- 점 의 인과적 과거 는 보다 인과적으로 선행하는 점들의 집합이다.
점근적 과거와 미래
[편집]시공간 를 등각 콤팩트화 할 수 있다고 하자. 즉,
이다. 이 경우
- 의 미래 시간꼴 무한(영어: future timelike infinity) 는 에서 시작하는 시간꼴 곡선들의 미래 방향 끝점들의 집합이다.
- 의 과거 시간꼴 무한(영어: past timelike infinity) 는 에서 끝나는 시간꼴 곡선들의 과거 방향 끝점들의 집합이다.
- 의 공간꼴 무한(영어: spacelike infinity) 은 에서 시작하는 공간꼴 곡선들의 끝점들의 집합이다.
- 의 미래 영벡터 무한(영어: future null infinity) 은 에서 시작하는 영벡터 곡선들의 미래 방향 끝점의 집합이다. 이는 보통 "스크라이 플러스"로 발음하는데, 이는 LaTeX 매크로
{\scr I}^
에서 유래한다. - 의 과거 영벡터 무한(영어: past null infinity) 은 에서 끝나는 영벡터 곡선들의 과거 방향 끝점의 집합이다. 이는 보통 "스크라이 마이너스"로 발음하는데, 이는 LaTeX 매크로
{\scr I}^-
에서 유래한다.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Hawking, Stephen; G. F. R. Ellis (1975년 3월). 《The large scale structure of space-time》. Cambridge Monographs o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0511524646. 다음 글자 무시됨: ‘isbn 978-052109906-6 ’ (도움말);
- Gibbons, Gary W.; S. N. Solodukhin (2007년 6월). “The Geometry of Small Causal Diamonds”. 《Physics Letters B》 (영어) 649 (4): 317–324. arXiv:hep-th/0703098. Bibcode:2007PhLB..649..317G. doi:10.1016/j.physletb.2007.03.068.
- Hawking, Stephen; A.R. King, P.J. McCarthy (1976). “A new topology for curved space–time which incorporates the causal, differential, and conformal structures”. 《J. Math. Phys.》 (영어) 17 (2): 174-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