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수역

총신대입구
(이수)
역명판
역명판
승강장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 지하117
좌표 북위 37° 29′ 16″ 동경 126° 58′ 55″ / 북위 37.48778° 동경 126.98194°  / 37.48778; 126.98194
개업일 1985년 10월 18일
역 번호 432
AFC 코드 0432
승강장수 2면 2선(상대식)
거리표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진접(경복대) 기점 42.6 km
← 431 동작
(1.8 km)
433 사당
(1.1 km)
이수
(총신대입구)
역명판
역명판
승강장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 지하310
좌표 북위 37° 29′ 16″ 동경 126° 58′ 55″ / 북위 37.48778° 동경 126.98194°  / 37.48778; 126.98194{{#coordinates:}}: 한 문서에 1개를 초과한 기본 태그를 가질 수 없습니다
개업일 2000년 8월 1일
역 번호 736
승강장수 2면 2선(상대식)
거리표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 기점 30.0 km
← 735 내방
(1.0 km)
737 남성
(1.0 km)

이수(총신대입구)역(Isu(Chongshin University) station, 梨水(總神大入口)驛) 또는 총신대입구(이수)역(Chongshin University(Isu) station, 總神大入口(梨水)驛)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서초구 방배동의 경계에 걸쳐 있는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환승역이다. 각각 이수(총신대입구)역은 7호선, 총신대입구(이수)역은 4호선의 역명이다.

4호선(1기 지하철) 건설 당시 초기 역명은 이수역으로 정하였으나, 인근에 있는 총신대학교가 건설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대가로 역명을 총신대입구(이수)역으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7호선(2기 지하철)이 개통되면서 남성역이 이수역보다 총신대학교에서 훨씬 가까워졌고, 따라서 남성역과 이수역의 역명이 여러 차례씩 변경되는 혼선을 겪게 되었다. 수도권 전철 4호선은 이 역부터 범계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역사

[편집]

역 구조

[편집]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호선 측 4개, 7호선 측 10개로, 총 14개가 있다. 두 노선의 역은 곡선 승강장으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새가 넓기 때문에, 승·하차시 소지품이나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4호선 승강장

[편집]
동작
| |
사당
상행 수도권 전철 4호선 이촌 · 서울 · 한성대입구 · 상계 · 진접(경복대) 방면
하행 사당 · 남태령 · 과천 · 금정 · 안산 · 오이도 방면

7호선 승강장

[편집]
내방
| |
남성
상행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 · 강남구청 · 상봉 · 노원 · 도봉산 · 장암 방면
하행 보라매 · 대림 · 온수 · 부천시청 · 석남 방면

환승

[편집]
4호선 승강장 쪽에서 환승 통로로 진입하는 부분

7호선 승강장 내방역 방면 끝과 4호선 승강장 사당역 방면 끝에 있으며, 무빙 워크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4호선이 위에, 7호선이 석남 방면 아래에 있다. 7호선 장암 방면 승강장과 환승 통로는 대합실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역명 논란

[편집]

본래 이수역이라는 역명을 사용하였으나[1], 총신대학교 측에서 역명 변경을 요구하면서 서울특별시에 1430여 만 원을 기부하는 조건[4]으로 역명을 총신대입구(이수)로 변경하고 영업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1993년 7호선 노선이 확정되면서 총신대학교에서 550m 정도 떨어진 곳에 역이 건설되게 되었다. 이에 서울특별시에서는 1997년 역명 혼선 방지 차원에서, 4호선 역의 역명을 이수역으로 바꾸고 새로운 역의 이름을 남성(총신대입구)로 정하기로 하여 2000년 8월 1일 7호선의 개통과 동시에 시행하였다.

총신대학교는 이에 반발하여 서울지방법원(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15년간 사용된 역명을 한순간에 변경하였다는 이유로 서울특별시와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現 서울교통공사)를 피고로 하는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패소하였다.[5] 그러나 총신대학교의 계속된 반발로 인하여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현 도시기반시설본부)가[출처 필요] 서울특별시 지명위원회에 이수역의 이름을 다시 총신대입구(이수)로 변경하도록 요청하였고, 결국 지명위원회는 2000년 10월 2일 4호선은 총신대입구(이수)역으로, 7호선은 이수역으로 정하기로 결론을 내렸다.[6] 최종적으로 7호선이 개통된 6개월 후인 2001년 2월 1일, 4호선은 총신대입구(이수)역, 7호선은 이수역, 통합 역명은 총신대입구(이수)역으로 변경하게 되었으며[7], 안내 시설물 변경에 약 3억 원의 예산이 소요되었다.[8]

당시에는 인근 주민들간의 많은 관심으로 역명 변경에 대한 인터넷 홈페이지까지 개설될 정도였으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두 명칭이 혼용되고 있다. 실제로 총신대학교는 7호선 남성역에서 훨씬 가까운 곳에 있고, 이수역에서 총신대학교까지는 1.6km 정도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총신대학교의 위치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총신대입구라는 역명만 보고 이수역에서 하차하였다가 낭패를 보는 사례가 있으며[9], 반대로 7호선 이수역에서는 총신대학교의 이름이 전혀 사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환승할 때 총신대입구역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수 많다.

역 주변

[편집]

출구는 1번부터 14번까지 있으며, 9번 출구는 이마트 메트로 이수점과 연결되어 있고, 13번 출구는 태평백화점과 연결되어 있다.

이용객 변동

[편집]

7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 시점부터, 2000년 하반기(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53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4호선 승차 27,759 25,303 24,892 24,092 24,743 25,094 25,381 25,180 25,085 24,994 [10]
하차 28,414 26,401 26,490 25,994 26,657 27,486 28,060 28,048 28,038 28,142
승하차 56,173 51,704 51,382 50,086 51,400 52,580 53,441 53,228 53,123 53,135
7호선 승차 9,791 12,374 13,520 13,683 14,008 14,447 14,777 15,068 15,302 15,151 [11]
하차 9,313 11,344 12,343 12,507 12,855 13,495 13,938 14,151 14,531 14,542
승하차 19,104 23,718 25,863 26,189 26,863 27,942 28,716 29,219 29,833 29,693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4호선 승차 23,945 23,863 23,679 23,419 23,210 23,189 22,672 22,045 21,789
하차 27,191 26,997 26,353 26,117 25,812 25,689 25,335 24,674 24,338
승하차 51,136 50,860 50,032 49,536 49,022 48,878 48,007 46,179 46,127
7호선 승차 15,239 16,061 16,515 17,173 17,894 17,415 17,301 16,927 16,920
하차 14,422 15,328 16,073 16,769 17,538 17,272 17,118 16,817 16,852
승하차 29,661 31,388 32,588 33,942 35,432 34,687 34,419 33,744 33,772

사진

[편집]

인접한 역

[편집]
서울 지하철 4호선
431 동작
진접(경복대) 방면
수도권 전철 4호선
433 사당
오이도 방면
서울 지하철 7호선
735 내방
장암 방면
서울 지하철 7호선 737 남성
석남 방면

각주

[편집]
  1.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 1983년 9월 13일.
  2.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3. 서울특별시고시 제698호, 1985년 10월 16일.
  4. “國監지적사항「지각回答」”. 동아일보. 1989년 5월 31일. 2020년 3월 2일에 확인함. 
  5. 이충원 (2000년 9월 9일). “법원, "이름 쓰라고 할 권리 없다". 연합뉴스. 2020년 3월 2일에 확인함. 
  6. 이현상 (2000년 12월 2일). “지하철 4호선 이수역, 역명 말썽”. 중앙일보. 2020년 3월 16일에 확인함. 
  7. 남혁상 (2001년 3월 15일). “잦은 驛이름 변경 지하철 승객 ‘허둥’”. 국민일보. 2020년 3월 2일에 확인함. 
  8. 민동용 (2001년 1월 19일). “[지하철 24시]역이름 변경잦아…한번 바꾸는데 3억원”. 동아일보. 2020년 3월 2일에 확인함. 
  9. 조새해 (2015년 11월 28일). “[집중취재] 'OO대 입구'에서 'OO대' 가려면?…"택시 타고 버스 타고". TV조선. 2020년 3월 16일에 확인함. 
  10.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11.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