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미다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미다졸
Full structural formula
Skeletal formula with numbers
Ball-and-stick model
Space-filling model
이름
우선명 (PIN)
1H-Imidazole[1]
체계명
1,3-Diazacyclopenta-2,4-diene
별칭
1,3-Diazole
Glyoxaline (archaic)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BL
ChemSpider
ECHA InfoCard 100.005.473
EC 번호
  • 206-019-2
KEGG
RTECS 번호
  • NI3325000
UNII
  • InChI=1S/C3H4N2/c1-2-5-3-4-1/h1-3H,(H,4,5) 예
    Key: RAXXELZNTBOGNW-UHFFFAOYSA-N 예
  • InChI=1/C3H4N2/c1-2-5-3-4-1/h1-3H,(H,4,5)
    Key: RAXXELZNTBOGNW-UHFFFAOYAS
  • c1cnc[nH]1
성질
C3H4N2
몰 질량 68.077 g/mol
겉보기 white or pale yellow solid
밀도 1.23 g/cm3, solid
녹는점 89 to 91 °C (192 to 196 °F; 362 to 364 K)
끓는점 256 °C (493 °F; 529 K)
633 g/L
산성도 (pKa) 6.95 (for the conjugate acid)[2]
UV-vismax) 206 nm
구조
monoclinic
planar 5-membered ring
3.61 D
위험
주요 위험 Corrosive
물질 안전 보건 자료 External MSDS
H302, H314, H360, H360D
P201, P280, P305 351 338, P310, P330[3]
인화점 146 °C (295 °F; 419 K)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예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이미다졸(Imidazole)은 화학식 C3N2H4유기 화합물이다. 에 용해되어 약 알칼리성 용액을 생성하는 흰색 또는 무색의 고체이다. 화학에서, 이것은 다이아졸(diazole)로 분류되고 인접하지 않은 질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헤테로고리 화합물이다.

피리미딘 고리에 융합될 때 이것은 가장 널리 발생하는 질소 헤테로고리 화합물인 퓨린을 형성한다. "imidazole"이라는 이름은 1887년 독일 화학자 아르투어 루돌프 한치(Arthur Rudolf Hantzsch, 1857-1935)에 의해 만들어졌다.[4][5][6][7][8]

이미다졸아민

[편집]

이미다졸아민(Imidazole amine)계열에는 히스타민이 있다. 이는 생체합성물질로 생체아민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Front Matter〉.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Cambridge: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140쪽. doi:10.1039/9781849733069-FP001. ISBN 978-0-85404-182-4. 
  2. Walba, H.; Isensee, R. W. (1961). “Acidity constants of some arylimidazoles and their cations”. 《J. Org. Chem.》 26 (8): 2789–2791. doi:10.1021/jo01066a039. 
  3. “Imidazole”. 
  4. Karitzky, A. R.; Rees, C.W.R.; Scriven, E.F.V. (1984). 《Comprehensive Heterocyclic Chemistry》 5. 469–498쪽. ISBN 978-0-08-042072-1. 
  5. Grimmett, M. Ross (1997). 《Imidazole and Benzimidazole Synthesis》. Academic Press. ISBN 978-0-08-053445-9. 
  6. Brown, E. G. (1998). 《Ring Nitrogen and Key Biomolecules》. Kluwer Academic Press. ISBN 978-94-011-4906-8. 
  7. Pozharskii, A. F.; 외. (1997). 《Heterocycles in Life and Society》. John Wiley & Sons. ISBN 978-0-471-96033-1. 
  8. Gilchrist, T. L. (1985). 《Heterocyclic Chemistry》. Bath Press. ISBN 978-0-582-014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