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유수 (복소해석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수(留數)란 주로 복소해석학에서 통용되는 개념으로서, 어떤 함수 을 중심으로 하고 그 정의역 내의 어떤 환영역에 대해 로랑 급수 전개가 주어졌다고 가정할 때 그 주부분의 첫 번째 항, 즉 항을 일컫는다. 보통 표기할 때 라 쓰는데, 이것을 다음과 같이 환영역의 내부에서 임의의 양의 방향 단순 닫힌 경로 에 대한 적분으로 정리할 수 있다:

고립특이점과 유수

[편집]

환영역의 중심인 고립특이점일 때가 수학적으로 주요한 관심사가 된다. 고립특이점의 정의에 따르면, 세 가지 경우(가 제거가능, 극, 진성인 경우)가 있는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상황에서는 유수 계산이 비교적 쉽다:

  1. 만약 제거가능 특이점이라면, 유수는 정의에 따라 이다.
  2. 만약 위수가 인 극이라면, 함수 을 이용하여, 유수는 다음 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

그러나, 만약 진성특이점이라면, 유수는 각각의 경우마다 달리 계산해야 한다.

무한대에서의 유수

[편집]

유수의 정의를 확장하여, 무한대의 경우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고립특이점이 개 존재하는 함수 의 로랑 급수에 약간의 대수적 조작을 가하여, 이것을 함수 에 관한 로랑 급수와 연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함수의 에서의 유수에 대하여 모든 고립특이점을 밖에서 감싸는 임의의 단순 닫힌 경로 를 생각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이 때 경로 안쪽에서 역시 모든 고립특이점을 밖에서 감싸는 반지름 을 그릴 수 있다면, 이것은, 에서 로랑 급수로 전개했을 때의 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무한대에서 의 유수로 정의한다. 이것을 이용하면 유수 정리를,

와 같이 간략하게 쓸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고석구, 『복소해석학개론(2판)』, 경문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