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우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분황사에 있는 한 우물

우물을 얻기 위하여 땅을 파고 물이 괴게 만든 시설이다.[1] 우물 속의 물은 빗물이 땅 속으로 스며든 뒤 지하수가 흙과 바위 사이에 고인 것이다. 우물은 토양으로 여과된 물이므로 수질이 좋은 편이나 깨끗한 곳에 자리잡아야 하고, 땅 위에 있는 물이 우물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용어

[편집]
  • 우물의 영향원 : 우물에서 수면이 지하수를 양수했을 때 영향을 받지 않는 곳까지의 거리[2]

우물의 종류

[편집]
왼쪽부터 Dug Well은 집수정 바닥이 자갈층까지 도달한 심정호이다. 이보다 얕은 우물을 천정호라 한다. Gravel-Packed Well, Open hole well은 집수정이 불투수층을 뚫고 들어간 굴착정이다.
굴착정

굴착 방법에 따른 종류

[편집]
  • 인력관정(dug well): 사람의 힘이나 굴착 기계로 파여 있으며 보통 지름 60 센티미터가 넘는 우물.[3]
  • 타설관정 (driven well): 굴착기계, 오우거, 제트 기계를 쓰지 않고 아래가 날카롭게 되어 있는 관을 타설하여 만든 지하수 우물.[4]
  • 천공정 (drilled water): 구멍을 뚫는 데 이용하는 우물.

취수 위치에 따른 종류

[편집]
  • 굴착정(굴정호 Artesian well[5]): 집수정을 불투수층 사이에 있는 투수층까지 판 후 투수층 사이에 낀 피압 지하수를 양수하는 우물이다.[6] 투수계수 K, 양수 후 우물 최종 수위를 h0, 우물 수위를 h, 지하수심을 H, 영향원 반경 R, 우물 반경 r0, 피압 대수층의 높이를 a라고 하면 양수량(양수율) Q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7][8][9]
  • 깊은 우물(심정호, Deep Well) : 집수정의 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한 우물. 자유수면 지하수를 양수하며, 수질이 상당히 양호하다.[6] 양수량(양수율) Q는 다음과 같다.[4][10]
  • 얕은 우물(천정호, Shallow Well): 집수정 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하지 못한 우물. 자유수면 지하수를 양수한다. 심정호에 비해 수질이 떨어진다.[5]

투과율

[편집]

투과율 T = K·a로 정의한다.[9]

각주

[편집]
  1. 이재수 2018, 231쪽.
  2. 성안당, <토목기사 과년도 시리즈 수리수문학>, 352쪽, (2015)
  3. 성안당, <토목기사 과년도 시리즈 수리수문학>, 353쪽, (2015)
  4. 성안당, <토목기사 과년도 시리즈 수리수문학>, 354쪽, (2015)
  5. 노재식, 한웅규 & 정용욱 2016, 100쪽.
  6. 노재식, 한웅규 & 정용욱 2016, 103쪽.
  7. 성안당, <토목기사 과년도 시리즈 수리수문학>, 353쪽, (2015)
  8. 노재식, 한웅규 & 정용욱 2016, 102쪽.
  9. 이재수 2018, 234쪽.
  10. 이재수 2018, 235쪽.

참고 문헌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