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 비음
보이기
연구개 비음 | |
ŋ | |
---|---|
그림 | ![]() |
IPA 번호 | 119 |
엔티티 | ŋ |
X-SAMPA | N |
키르셴바움 | N |
소리 | |
연구개 비음(軟口蓋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비음이다.
분포
[편집]Anderson(2008)에 따르면[1], 전 세계 469개 언어 가운데 234개 언어(전체 언어의 약 49.89%)에서 이 발음이 별도의 음운으로 존재하며, 이 가운데 이 발음이 첫소리와 끝소리 모두에 오는 언어는 147개(약 62.82%), 끝소리에만 오는 언어는 87개(약 37.18%)라고 한다. 지리상으로 보면 이 음운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캅카스 제어, 중동 지역에는 없지만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폴리네시아어군 등에는 흔하다.
발음의 예
[편집]언어 | 문자 |
---|---|
한국어 | 받침 ㅇ(뒤에 /i, j/가 오지 않을 때만) |
영어 | ng(음절 말에서만) |
독일어 | ng(형태소 경계에 있을 때는 제외) |
표준 중국어, 간어의 창두 방언, 하카어, 광둥어, 차오저우어, 눠쑤어, 푸셴어(병음) | ng |
네덜란드어, 아이티어, 말레이어, 아프리칸스어, 우즈베크어, 덴마크어, 스웨덴어, 야칸어, 룩셈부르크어, 쇼나어, 타갈로그어, 마오리어, 소토어, 웨일스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로마자 전사) | |
베트남어 | ngh·ng(첫소리), ng(끝소리, "u, ô, o" 뒤는 제외) |
스와힐리어, 코사어, 키쿠유어 | ng" |
피지어, 사모아어, 라파누이어 | g |
오리야어 | ଙ |
태국어 | ง |
아삼어 | ঙ, ং |
신드어 | ڱ |
밤바라어 | ŋ |
크메르어 | ង, ្ង |
이누크티투트어 | ᙰ, ᖏ, ᖐ, ᖑ, ᖒ, ᖓ, ᖔ, ᖕ, ᙱ, ᙲ, ᙳ, ᙴ, ᙵ, ᙶ, ᖖ의 첫소리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Gregory D. S. Anderson(2008), "The Velar Nasal ", in Haspelmath, Martin; Dryer, Matthew S; Gil, David; et al. (eds.),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Online, Munich: Max Planck Digital Library, retrieved 2008-04-30
![]() |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