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라스모테리움
엘라스모테리움 | |
---|---|
화석 범위: 선신세 초기에서 현세까지 | |
복원도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말목 |
과: | 엘라스모테리움과 |
속: | 엘라스모테리움 (Elasmotherium) |
학명 | |
Elasmotherium sibiricum | |
(J. Fischer, 1808)[1] |
엘라스모테리움(Elasmotherium)은 동유럽, 중앙아시아, 동아시아에 살았던 대형 코뿔소의 멸종된 속으로, 마이오세 말기부터 플라이스토세 후기까지 존재했다. 가장 어린 신뢰할 수 있는 연대는 약 39,000년 전이다. 엘라스모테리움은 살아있는 코뿔소를 포함하는 그룹과는 별개로 엘라스모테리움과의 마지막 생존 코뿔소 집단으로, 엘라스모테리움 사이에 분화되어 있다.[2]
묘사
[편집]엘라스모테리움은 일반적으로 매머드나 털코뿔소와 같은 현대의 거대동물에서 볼 수 있는 털이 많은 동물로 재구성된다. 그러나 때때로 현대 코뿔소처럼 맨살로 묘사되기도 한다. 1948년 러시아의 고생물학자 발렌틴 테랴예프는 돔 모양의 뿔을 가진 반수생 동물로, 다른 코뿔소의 세 발가락이 아닌 습지 맥처럼 네 발가락을 가지고 있어 하마와 닮았다고 제안했지만, 엘라스모테리움은 그 이후로 기능성 발가락이 세 개뿐이었던 것으로 밝혀져[3], 과학적으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3][4]
치아
[편집]다른 코뿔소와 마찬가지로 엘라스모테리움도 어금니 두 개와 어금니 세 개를 씹을 수 있었고 앞니와 송곳니가 없었고, 대신 음식을 벗기기 위해 접이식 입술에 의존했다.[3] 엘라스모테리움은 잇몸 라인 아래로 큰 치관과 에나멜이 뻗어 있고 치아가 계속 자랐다.
엘라스모테리움 화석은 치아 뿌리의 증거를 거의 보여주지 않다.
뿔
[편집]엘라스모테리움은 전통적으로 이마에 둥근 돔으로 표시된 케라틴성 뿔을 가지고 있었다고 여겨지며, 깊이는 13cm이고 주름진 표면과 둘레는 90cm이다. 이 주름은 뿔을 생성하는 조직을 위한 혈관의 자리로 해석된다.[5][6]
코뿔소에서 뿔은 뼈에 붙어 있지 않고 밀도가 높은 피부 조직의 표면에서 자라 뼈 불규칙성과 융기를 만들어 스스로 고정된다.[7] 가장 바깥쪽 층은 모서리를 형성한다.[8] 층이 노화됨에 따라 자외선으로 인한 각질의 분해, 건조, 지속적인 마모로 인해 뿔의 직경이 감소한다.[9] 그러나 중앙의 멜라닌과 칼슘 침전물은 각질을 단단하게 만들어 뿔의 독특한 모양을 만든다.[10]
등에는 일반적으로 무거운 뿔을 지탱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큰 근육 혹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11]
고생물학
[편집]먹이
[편집]현대의 긴치아 발굽 포유류는 일반적으로 개방된 환경에서 방목하는 동물로[12], 긴치아는 질기고 섬유질인 풀을 씹는 데 적응한 것일 수 있다.[13] 엘라스모테리움 치과 착용은 방목하는 흰코뿔소와 비슷하며[14], 두 마리의 머리 모두 아래쪽 방향을 가지고 있어 생활 방식이 비슷하고 저지대 식물에만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엘라스모테리움의 머리는 모든 코뿔소 중 가장 둔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장 낮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방목했을 것이다.[6] 엘라스모테리움은 또한 설치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라는 이빨을 나타내며, 치아 생리학은 습하고[15] 입자가 많은 토양에서 먹이를 끌어올리는 데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현대의 매머드와 유사하게 매머드 스텝과 강가에 서식했을 수 있다.[4]
움직임
[편집]엘라스모테리움은 최고 속도가 40~45km/h인 30km/h로 달리는 흰코뿔소와 비슷한 달리기 사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엘라스모테리움은 두 배인 약 5t의 무게를 가지고 있어 보행과 이동이 더 제한되어 훨씬 느린 속도를 달성했을 가능성이 높다. 코끼리의 몸무게는 2.5~11t로, 걷는 속도는 20km/h를 초과할 수 없다.[16]
각주
[편집]- ↑ “Elasmotherium”. 《PaleoBiology Database: Basic info》. National Center for Ecological Analysis and Synthesis. 2000. 2011년 3월 23일에 확인함.
- ↑ Kosintsev, P.; Mitchell, K. J.; Devièse, T.; van der Plicht, J.; Kuitems, M.; Petrova, E.; Tikhonov, A.; Higham, T.; Comeskey, D.; Turney, C.; Cooper, A.; van Kolfschoten, T.; Stuart, A. J.; Lister, A. M. (2019). “Evolution and extinction of the giant rhinoceros Elasmotherium sibiricum sheds light on late Quaternary megafaunal extinctions”. 《Nature Ecology & Evolution》 3 (1): 31–38. Bibcode:2018NatEE...3...31K. doi:10.1038/s41559-018-0722-0. hdl:11370/78889dd1-9d08-40f1-99a4-0e93c72fccf3. PMID 30478308. S2CID 53726338.
- ↑ 가 나 다 Zhegallo, V.; Kalandadze, N.; Shapovalov, A.; Bessudnova, Z.; Noskova, N.; Tesakova, E. (2005). “On the fossil rhinoceros Elasmotherium (including the collections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PDF). 《Cranium》 22 (1): 17–40.
- ↑ 가 나 Noskova, N.G. (2001). 〈Elasmotherians – evolution, distribution and ecology〉. Cavarretta, G.; Gioia, P.; Mussi, M.; 외. 《The World of Elephants》 (PDF). Roma: Consiglio Nazionale delle Ricerche. 126–128쪽. ISBN 978-88-8080-025-5.
- ↑ Brandt, Alexander; Lockyer, Norman (1878년 8월 8일). “The Elasmotherium”. 《Nature》. XVIII (458): 287–389. Bibcode:1878Natur..18R.387.. doi:10.1038/018387b0.
- ↑ 가 나 van der Made, Jan; Grube, René (2010). 〈The rhinoceroses from Neumark-Nord and their nutrition〉. Meller, Harald. 《Elefantenreich – Eine Fossilwelt in Europa》 (PDF). Halle/Saale. 382–394쪽.
- ↑ Hieronymus 2009, 221–223쪽
- ↑ Hieronymus 2009, 24쪽
- ↑ Hieronymus 2009, 27쪽
- ↑ Hieronymus 2009, 28쪽
- ↑ Hieronymus 2009, 36쪽
- ↑ Mendoza, M.; Palmqvist, P. (February 2008). “Hypsodonty in ungulates: an adaptation for grass consumption or for foraging in open habitat?”. 《Journal of Zoology》 273 (2): 134–142. doi:10.1111/j.1469-7998.2007.00365.x.
- ↑ MacFadden, Bruce J. (2000). 〈Origin and evolution of the grazing guild in Cenozoic New World terrestrial mammals〉. Sues, Hans-Dieter. 《Evolution of Herbivory in Terrestrial Vertebrates: Perspectives from the Fossil Recor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6쪽. ISBN 9780511549717.
- ↑ Wood, Horace Elmer, 2nd (1938). “Causal Factors Shortening Tooth Series with Age”. 《Journal of Dental Research》 17 (1): 1–13. doi:10.1177/00220345380170010101. S2CID 209330196.
- ↑ von Koenigswald, Wighart; Goin, Francisco; Pascual, Rosendo (1999). “Hypsodonty and enamel microstructure in the Paleocene gondwanatherian mammal Sudamerica amerghinoi” (PDF).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44 (3): 263–300.
- ↑ Paul, Gregory S. (December 1998). “Limb Designs, Function and Running Performance in Ostrich-mimics and Tyrannosaurs” (PDF). 《Gaia》 (15): 258–259. 19 July 2011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
[편집]- Piper, Ross (2010). “Elasmotherium and the case of the massive horn”. 《Scrubmuncher's Blog》. Nature Blog Network. 2013년 8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