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과 곡물 사이의 논쟁
양과 곡물 사이의 논쟁, 또는 소와 곡물 사이의 논쟁은 수메르의 창조 신화 중 하나이다. 기원전 3천년기의 점토판에 기록되어 현대에 전해졌다.
수메르 문학에서 논쟁
[편집]수메르 문헌에는 7개의 논쟁이 기록되어 있는데, 양과 곡물 사이의 논쟁, 겨울과 여름 사이의 논쟁, 새과 물고기 사이의 논쟁, 은과 구리 사이의 논쟁 등이 대표적이다.[1] 이 주제들과 '논쟁'이라는 수메르 문학 장르는 메소포타미아에서 글쓰기가 확립된 지 몇 세기 후에 나왔다. 이들의 논쟁은 세계에서 인류의 지위를 논하는 등 철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개요
[편집]양과 곡물 사이의 논쟁에 대한 61행짜리 점토판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고고학 인류학 박물관에서 소장중이다. 1918년 조지 아론 바톤에 의해 번역되었고, 《기타 바빌로니아 비문》에 수메르 종교 문헌 중 여덟번째로 소개되었으며, "새로운 창조 신화"라는 제목을 달고 출판되었다.[2] 점토판은 가장 두꺼운 부분을 기준으로 가로 12.7 cm, 세로 6.6 cm, 높이 3.2 cm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1924년에 에드워드 키에라는 6893번 점토판을 번역하였는데, 이 점토판은 70행으로 그 내용이 바톤이 번역한 것에 비해 9행이 더 길다.[3] 키에라는 1909년에 《기타 수메르어 문헌》에 출판된 휴고 라다우의 번역본을 기반으로 번역본을 출판하였다.[4] 스티븐 허버트 랭던은 더 많은 부분을 번역했다.[5][6][7] 이후 1959년에 새뮤얼 노아 크레이머는 이들을 집대성해 200행의 신화를 보고하며 '양과 곡물 사이의 논쟁'이라는 제목을 붙였는데, 수메르 사람들이 인간의 창조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알려주는 두 번째로 중요한 신화라 평했다.[8][9] 그는 헤르만 힐프레히트의 번역을 참고하였으며[10], 박물관 소장번호 7344, 7916, 15161, 29.15.973의 번역도 포함시켰다. 그는 또한 이스탄불에 있는 고대 근동 박물관의 니푸르 소장품 목록 번호 2308, 4036, 4094의 번역 역시 포함시켰다.[9] 다른 번역본들은 에드워드 키에라의 《수메르 서사시와 신화》 38, 54, 55, 56, 57번에서 따왔다.[11] 크레이머는 모두 17점의 점토판이 양과 곡물 사이의 논쟁을 묘사하는 것으로 정리하였다.[12]
내용
[편집]이야기는 "천상과 지상의 언덕"이라는 위치에서 시작한다. 키에라는 이를 두고 지상의 지명을 시적으로 표현한 것을 넘어, 하늘과 땅이 만나는 지점에 있는 신들의 거주지를 나타낸다고 보았다. 또한 키에라는 인류가 최초로 서식지를 갖게 된 곳이자, 바빌로니아의 에덴 동산과도 같다고 말했다.[3] 수메르어 단어 '에딘'은 초원 또는 평원을 의미하기 때문에[13] 현대 학자들은 바빌로니아의 에덴 동산이라는 표현은 보다 후기의 개념으로 보며 폐기했다.[13] 아시리아학자 제레미 블랙은 이 언덕을 신들이 거주하는 장소로 보았는데, 우르 제3왕조의 기록에서 '언덕'이라는 개념은 경작이 불가능한 지역을 나타낼때 사용되었기 때문에 거주지로 보는 편이 적절하다 하였다.[14]
크레이머는 인간의 창조주 아눈나키를 먹이고 입히기 위해 아누가 소의 여신 라하르와 곡물의 여신 아쉬난을 창조하는 이야기라고 설명한다.[1] 라하르와 아스난은 "두쿠" 또는 "순수한 장소"에서 창조되었다. 이후 아눈나키가 라하르를 위한 식물과 약초로 우리를 만들고, 아쉬난을 위해 쟁기와 멍에를 만드는 이야기가 나오며 축산과 농업의 도입을 이야기한다. 이후 이야기는 두 여신 사이의 선물에 대한 다툼으로 이어지는데, 결국 엔키와 엔릴이 아쉬난이 싸움에 개입해 아쉬난을 승리자로 선언한다.[15]
논의
[편집]새뮤얼 노아 크레이머는 창세기에 등장하는 카인과 아벨 이야기의 원형이라고 보았다.[16] 카렌 레아 네멧네자트는 이 이야기에서 등장하는 측량하기 위해 사용된 막대기가 문자의 역사 중 문자의 발명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아 가축을 세기 위해 문자가 만들어졌다고 해석했다.[17] 제레미 블랙은 곡물의 신 아쉬난이 승리하는 결론이 사람은 가축 없이도 살 수 있지만, 빵 없이는 살 수 없음을 의미한다고 보았다.[18]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Samuel Noah Kramer (1964).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8–쪽. ISBN 978-0-226-45238-8.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George Aaron Barton (1918). 《Miscellaneous Babylonian inscriptions, p. 52》. Yale University Press.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Edward Chiera; Constantinople. Musée impérial ottoman (1924). 《Sumerian religious texts, pp. 26-》. University.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Hugo Radau (1909). 《Miscellaneous Sumerian texts from the temple library of Nippur》. n.p.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Stephen Langdon (September 2010). 《Sumerian Liturgies and Psalms, p. 235》. General Books LLC. ISBN 978-1-153-64654-3.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Stephen Langdon; Ch Virolleaud (1919). 《Le poème sumérien du Paradis: du déluge et de la chute de l'homme, 135-146》. Éditions Ernest Leroux.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Langdon, Stephen., Bablyoniaca, Volume 3, Librarie Orientaliste, 1908.
- ↑ Samuel Noah Kramer (1959). 《History begins at Sumer》. Doubleday. ISBN 9780385094054.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Samuel Noah Kramer (1961). 《Sumerian mythology: a study of spiritual and literary achievement in the third millennium B.C.》. Forgotten Books. 105–쪽. ISBN 978-1-60506-049-1.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Hermann Vollrat Hilprecht, The Babylonian Expedition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Researches and treatises, Volume 31, Number 15, University of Pennsylvania
- ↑ Edward Chiera (1964). 《Sumerian epics and myth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Black, J.A., Cunningham, G., Fluckiger-Hawker, E, Robson, E., and Zólyomi, G.,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Oxford 1998- .
- ↑ 가 나 David C. Thomasma; David N. Weisstub (2004). 《The variables of moral capacity》. Springer. 110–쪽. ISBN 978-1-4020-2551-8. 2011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Thorkild Jacobsen; I. Tzvi Abusch (2002). 《Riches hidden in secret places: ancient Near Eastern studies in memory of Thorkild Jacobsen》. Eisenbrauns. 45–쪽. ISBN 978-1-57506-061-3. 2011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Gwendolyn Leick (1991). 《A dictionary of ancient Near Eastern mythology》. Psychology Press. 108–쪽. ISBN 978-0-415-00762-7. 2011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Samuel Noah Kramer (1961). 《Sumerian mythology: a study of spiritual and literary achievement in the third millennium B.C.》. Forgotten Books. 78–쪽. ISBN 978-1-60506-049-1. 2011년 5월 26일에 확인함.
- ↑ Karen Rhea Nemet-Nejat (1998년 9월 30일). 《Daily life in ancient Mesopotam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47–쪽. ISBN 978-0-313-29497-6. 2011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Jeremy A. Black; Jeremy Black; Graham Cunningham; Eleanor Robson (2006년 4월 13일). 《The Literature of Ancient Sumer》. Oxford University Press. 230–쪽. ISBN 978-0-19-929633-0. 2011년 5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