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카브 포스테리오르
아르카브 포스테리오르 | ||
궁수자리. 아르카브 포스테리오르(β²)는 아래쪽 망원경자리(Telescopium)와의 경계에 있다.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궁수자리 베타²(β² Sgr) | |
밝은 별 목록 | HR 7343[1]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81623[1]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229654[1] | |
소천성표 | CD −45°13171[1]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95294[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 ||
별자리 | 궁수자리 | |
적경(α) | 19h 23m 13.13745s[2] | |
적위(δ) | −44° 47′ 59.2051″[2] | |
겉보기등급(m) | 4.29[3] | |
절대등급(M) | 1.20[4]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19.0 km/s[5] | |
적경 고유운동 | 93.45 mas/yr[2] | |
적위 고유운동 | −54.09 mas/yr[2] | |
연주시차 | 24.31 ± 0.19 mas[2] | |
성질 | ||
광도 | 20 M☉[6] | |
나이 | 9억 3300만 년[7] | |
분광형 | F2/3 V[8] 또는 F2 III[9] | |
U-B 색지수 | 0.07[3] | |
B-V 색지수 | 0.34[3] | |
추가 사항 | ||
질량 | 1.43 M☉[7] | |
중원소 함량 (Fe/H) | −0.54[5] | |
표면 중력 (log g) | 3.57 cgs[7] | |
자전 속도 | 155 km/s[10] | |
항성 목록 |
아르카브 포스테리오르(Arcab Posterior) 또는 궁수자리 베타²(β² Sgr)는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쌍성이다. 겉보기등급은 4.29로 맨눈으로 볼 수 있다.[3] 지구에서 봤을 때 이 별의 연주시차는 24.31 mas로[2] 이로부터 계산한 거리는 약 134 광년이 나온다.
고유운동상의 변화에 의거하면 이 별은 측성쌍성임이 유력해 보이며,[11] 쌍성임이 검증되면 구성원의 명칭은 주성 궁수자리 베타² A(계 전체의 이름 '아르카브 포스테리오르'가 공식적으로 부여된 천체)와 B로 부를 수 있다.[12][13]
명명법
[편집]궁수자리 베타²(β² Sgr)는 계 전체를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부르는 명칭이다. 궁수자리 베타² 계의 구성원을 A와 B로 지칭하는 것은 워싱턴 다중성 목록(WMC)이 다중성계를 표기하는 규칙에 따른 것이며 이 규정은 국제천문연맹(IAU) 역시 따르고 있다.[14]
2016년 IAU는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및 표준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조직했다.[15] WGSN은 2016년 10월 5일 궁수자리 베타²에 아르카브 포스테리오르(Arkab Posterior)를 공식 부여했으며 현재 이 명칭은 IAU 인증 항성명칭목록에 포함되어 있다.[13] WGSN이 정한 규정에 따르면 다중성계 구성원의 명칭(예: 워싱턴 이중성 목록의 기호)이 명확히 정의되지 않았을 경우 가장 밝게 보이는 구성원에 고유 명칭이 붙은 것으로 간주한다.[16]
중화권에서 이 별은 두수의 천연(天淵, 하늘의 연못)에 속해 있다. 천연을 구성하는 항성은 아르카브 포스테리오르 외에 궁수자리 베타¹, 궁수자리 알파이다. 이들 중 아르카브 포스테리오르 하나만을 일컫는 명칭은 천연1(天淵一)이다.[17]
속성
[편집]1978년 Houk는 이 계에서 눈에 보이는 구성원(궁수자리 베타² A)의 분광형을 F2/3 V로 정의했다.[8] 그러나 1975년 Malaroda는 이 별을 F형 거성 목록에 올렸다.[9] 이 별은 초속 155 킬로미터 속도로 빠르게 회전하고 있어서 극보다 적도부의 반지름이 22% 더 큰 회전타원체 모양을 하고 있다.[10] 질량은 태양의 약 1.4 배에[7] 나이는 약 9억 3300만 년으로 추정된다.[7]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bet02 Sg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7년 7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라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Bibcode:1966CoLPL...4...99J.
- ↑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 ↑ 가 나 Casagrande, L.; 외. (2011), “New constraints on the chemical evolution of the solar neighbourhood and Galactic disc(s). Improved astrophysical parameters for the Geneva-Copenhagen Survey”, 《Astronomy & Astrophysics》 530 (A138): 21, arXiv:1103.4651, Bibcode:2011A&A...530A.138C, doi:10.1051/0004-6361/201016276.
- ↑ McDonald, I.; 외. (2012),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Hipparcos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7 (1): 343–57, arXiv:1208.2037, Bibcode:2012MNRAS.427..343M, doi:10.1111/j.1365-2966.2012.21873.x.
- ↑ 가 나 다 라 마 David, Trevor J.; Hillenbrand, Lynne A. (2015), “The Ages of Early-Type Stars: Strömgren Photometric Methods Calibrated, Validated, Tested, and Applied to Hosts and Prospective Hosts of Directly Imaged Exoplanets”, 《The Astrophysical Journal》 804 (2): 146, arXiv:1501.03154, Bibcode:2015ApJ...804..146D, doi:10.1088/0004-637X/804/2/146.
- ↑ 가 나 Houk, Nancy (1978),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2, Ann Arbor: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Bibcode:1978mcts.book.....H.
- ↑ 가 나 Malaroda, S. (August 1975), “Study of the F-type stars. I. MK spectral types”, 《Astronomical Journal》 80: 637–641, Bibcode:1975AJ.....80..637M, doi:10.1086/111786.
- ↑ 가 나 Belle, G. T. (2012), “Interferometric observations of rapidly rotating stars”, 《The Astronomy and Astrophysics Review》 20: 51, arXiv:1204.2572, Bibcode:2012A&ARv..20...51V, doi:10.1007/s00159-012-0051-2.
- ↑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 ↑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ISBN 978-1-931559-44-7.
- ↑ 가 나 “Naming Stars”. IAU.org.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Hessman, F. V.; Dhillon, V. S.; Winget, D. E.; Schreiber, M. R.; Horne, K.; Marsh, T. R.; Guenther, E.; Schwope, A.; Heber, U. (2010).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arXiv:1012.0707 [astro-ph.SR].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2” (PDF).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 日 Archived 2011년 7월 16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