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래군
보이기
박래군 | |
---|---|
출생 | 1961년 5월 1일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상안리 | (63세)
성별 | 남성 |
국적 | 대한민국 |
경력 | 인권재단사람 소장 |
직업 | 인권 운동가, 시민 운동가 |
배우자 | 정종숙 |
친척 | 동생 박래전 |
박래군(1961년 5월 1일~)은 대한민국의 인권운동가로, 시민단체 활동을 한 시민운동가이며, 저술 활동을 한 작가다. <인권재단 사람>의 상임이사이다.[1][2]
경기도 화성 출생이다. 소설가를 꿈꾸며 1981년 연세대학교 국문학과에 진학하였다.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을 하다가 1988년 동생 박래전이 노태우 정부에 항의하며 분신해 숨진 뒤 본격적으로 인권운동가의 길로 들어섰다. 숭실대학교 국문학과 학생이자 인문대학 학생회장 박래전은 1988년 6월 4일 숭실대학교 학생회관 옥상에서 분신 자살하면서 "광주는 살아 있다, 군사 파쇼 타도하자, 청년학도여 역사가 부른다"라는 구호를 외쳤다.[3][4]
양심수 석방, 고문 추방, 의문사 진상 규명 활동부터 주거권, 최저임금, 비정규직 문제까지 인권의 지평을 넓혀온 대표적 인권운동가이다. 평택 대추리 미군기지 반대운동과 용산 철거민 참사 범국민대책위원회 활동 과정에서 세 차례 구속된 바 있다.[5]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4월16일의 약속 국민연대'(4·16연대) 상임운영위원으로 활동하다가 세월호 추모행사에서 미신고 집회를 벌이고 경찰의 해산명령에 불응한 혐의(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 및 특수공무집행방해) 등으로 조사받았다.[6][7] 이후 이 일로 구속 수사를 받게 되는데 프랑스 인권단체에서 석방 서명 운동에 나섰다.[8][9][10]
약력
[편집]학력
[편집]-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81학번)
경력
[편집]- 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상안리 출신[11]
- 1983년 4월 28일~1986년 강원도 양구에서 군복무
- 1988년 복학
- 1988년 6월 동생 박래전의 죽음을 계기로 인권운동에 참여하다.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를 찾아갔다.[12]
-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사무국장
- 1994년 8월 인권단체 인권운동사랑방에 가입, 활동에 참여하였다.
- 인권운동사랑방 사무국장, 정책실장
- 인권운동사랑방 내 강기훈 무죄석방 공동대책위원회를 조직하다.
-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3국 국장
- 2002년 에바다 농아학교 재단 비리문제 해결을 위해 방문하던 중, 재단측으로부터 똥물 세례를 받았다.
- 2005년 6월 27일 다산인권재단 상임이사[13]
- 2005년 6월 27일 인권잡지 사람 편집장[14]
-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 4.9통일평화재단 이사
- 에바다복지회 이사
- 용산참사 진상규명 및 재개발제도개선위원회 집행위원장
- 용산참사 진상규명위원회 집행위원장
- 2012년 11월 28일 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전문위원[15], 서울시 인권위 부위원장에 선임[16], 서울시 인권위 부위원장직, 서울시 인권위원회 전문위원직을 겸임하다.
- 인권재단 사람 소장
- 국가보안법폐지국민연대 집행위원장
- 유서대필사건 재심촉구 국민연대 집행위원장
- 2014년 세월호참사 국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
저서
[편집]- 《아!대추리:대추리 주민들의 평택 미군기지 확장이전 반대 투쟁기록》. 사람생각. 2010년. ISBN 9788988686539
- 《사람 곁에 사람 곁에 사람》. 클. 2014년. ISBN 9791185502021
- 《우리에겐 기억할 것이 있다》. 클. 2020년. ISBN 9791190555159
소설
[편집]- 《땅강아지》
공저
[편집]- 박래군 외 17인. 《그 삶이 내게 왔다》 인물과사상사. 2009년. ISBN 9788959061372
- 홍세화 외. 《대선 독해 매뉴얼》. 클. 2012년. ISBN 9788996884910
- 박래군 외 6인. 《새로고침》. 한겨레출판사. 2013년. ISBN 9788984317345
- 전규찬,박래군,한종선. 《살아 남은 아이》. 이리. 2014년. ISBN 9791185298214
수상 경력
[편집]- 1981년 연세문학상
- 2013년 제1회 참연세인상[17]
가계
[편집]- 배우자: 정종숙
- 동생: 박래전
각주
[편집]- ↑ 서화숙. 박래군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한국일보. 2012년 10월 14일.
- ↑ 박소희. '참연세인상' 1회 수상자, 박래군 인권중심 사람 소장. 오마이뉴스. 2013년 6월 11일.
- ↑ 최덕수·박래전의 잇단 분신…“광주를 잊지 말라” / 박정기 한겨레 2012.02.19
- ↑ 김종철. 박래군의 다섯 번째 옥살이, 그의 삶이 곧 대하소설이다. 미디어오늘. 2015년 9월 3일.
- ↑ 오승훈·김규남·김미향. '인권 파수꾼' 박래군의 끝나지 않는 시련. 한겨레. 2015년 7월 18일.
- ↑ 배현진. 4.16연대 "국제사회에 박래군 석방운동 호소". 뉴시스. 2015년 7월 17일.
- ↑ 정환봉. 박래군 구속기소…47명 변호인단 구성. 한겨레. 2015년 7월 31일.
- ↑ 또 박근혜 비방죄? Archived 2015년 9월 1일 - 웨이백 머신. 시사통. 2015년 8월 3일.
- ↑ 노창현. 프랑스 인권단체, '세월호 집회' 구속 박래군 석방 촉구 서명 운동. 뉴시스. 2015년 8월 6일.
- ↑ 성도현. '세월호 집회 주도' 박래군 위원 항소심도 대부분 '유죄'. 뉴스1. 2016년 9월 8일.
- ↑ "똥물 맞고 영안실서 살고... 제가 뭐 한 거 있나요" 오마이뉴스 2011.11.13
- ↑ 별 11개 단 이 사람, 인생 제2막에서 던진 돌직구 프레시안 2012.11.19
- ↑ <다산인권재단ㆍ인권잡지 `사람' 오늘 첫선>
- ↑ 박래군, 사람 됐네 Archived 2014년 8월 10일 - 웨이백 머신. 한겨레 21. 2005년 7월 5일(제566호).
- ↑ 서울시, ‘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출범 Archived 2014년 8월 15일 - 웨이백 머신 stv 2012.11.28
- ↑ 문경란 서울특별시 초대 인권위원장으로 Archived 2014년 7월 29일 - 웨이백 머신 한민족신문 2011년 12월 28일.
- ↑ '참연세인상' 1회 수상자, 박래군 인권중심 사람 소장 오마이뉴스 2013년 6월 11일.
외부 링크
[편집]- 박래군, "힘들게 하는 것도, 힘을 주는 것도 사람". 뉴스K. 2014년 10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