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막대나선은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거의 정면으로 보이는 막대나선은하 NGC 1300,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하였다.
막대나선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인 화로자리 은하 (2MASS)

막대나선은하(영어: Barred spiral galaxy)[1]는 중심에 들로 구성된 막대모양의 구조를 가진 나선은하로, 막대는 모든 나선은하의 약 3분의 2에서 발견된다.[2] 일반적으로 막대는 나선은하 내의 별과 성간가스의 운동 모두 영향을 주며 나선팔까지도 영향을 줄 수 있다.[2]

에드윈 허블은 이 유형의 나선은하를 허블순차에서 "SB"형(나선의, 막대로 된)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나선팔이 얼마나 열려 있는가 정도에 따라 세가지 하위유형으로 나열했다. SBa형은 꽉 감긴 나선팔을 특징으로 하고, SBc형은 느슨하게 감긴 나선팔을 특징으로 한다. SBb형 은하는 두 은하 중간에 위치해 있다. 네번째 유형인 SBm형은, 불규칙은하로 분류되었지만 막대나선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 마젤란은하처럼 어느정도 불규칙한 막대나선은하를 설명하기 위해 나중에 만들어진 것이다. 은하에 대한 허블의 분류 중 다른 것들은 나선은하, 타원은하, 불규칙은하가 있다.

전파망원경에 의한 관측으로 수년 간 우리은하 내의 막대구조의 존재를 이미 암시하고 있었고, 2005년에 스피처 우주 망원경에 의한 적외선 관측으로 이전에 누적된 증거들을 보강하여 우리은하가 막대나선은하임을 입증했다.

막대

[편집]
청색, 백색, 황색의 작은 별들이 보이는 나선은하 IC 5052의 일부를 촬영한 사진.[3]

막대나선은하는 확실히 수적으로 우세하다. 관련 탐사들이 모든 나선은하의 3분의 2까지가 막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4] 현재 가설은 막대구조가 중심에서 별의 형성을 도모하여 항성요람의 일종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막대는 궤도공명을 통해 나선팔에서 안쪽으로 가스를 유통하며, 그 효과로 이동 중인 유체가 새로운 별을 형성하게 된다는 메커니즘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5] 또한 이 과정은 많은 막대나선은하가 남쪽 바람개비 은하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활동은하핵을 갖고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 추정된다.

막대의 형성은 일반적으로 안쪽 별의 궤도에 영향을 주는, 은하의 중심으로부터 퍼져나가는 밀도파의 결과로 여겨지고 있다. 이 효과는 시간에 따라 별을 더 멀리서 공전하도록 만들어 자체 영구적 막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6]

막대는 나선은하의 일생에서 일시적인 현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막대구조는 시간이 흐르면서 붕괴하여 막대나선형에서 "정상" 나선형 패턴으로 은하를 변화시킨다. 막대의 응집 질량은은 구조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무너뜨린다. 중심에 응집한 질량이 큰 막대나선은하는 짧고 뭉툭한 막대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7] 매우 많은 나선은하가 막대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막대구조는 아마 나선은하의 진화에서 반복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크다. 나선은하에서 막대나선은하로의 변동 진화주기는 평균적으로 약 20억 년 걸리는 것으로 추정된다.[8]

최근 연구는 막대가 "형성시기"의 끝으로서 완숙한 상태에 이른 은하의 징후라는 생각을 확인해보였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스피처 과학센터의 카틱 쉬스가 이끄는 팀은 최근의 거의 70%의 나선은하가 현재 막대를 소유하고 있는 데 비해, 멀리 있는 나선은하의 20%만이 이전에 막대를 소유했음을 발견했다.[9]

같이 보기

[편집]
NGC 2146의 매우 독특한 특색은 은하의 핵 방향으로 고리를 이루는 먼지투성이의 나선팔이다.

각주

[편집]
  1. 한국천문학회 편 《천문학용어집》 159쪽 우단 19째줄
  2. D. Mihalas (1968). 《은하 천문학》. W. H. Freeman. ISBN 978-0-7167-0326-6. 
  3. “뜨겁고 어린 별들의 청색 폭발”. 《ESA/Hubble》. 2013년 4월 3일에 확인함. 
  4. P. B. Eskridge, J. A. Frogel (1999). “막대나선은하의 실제 비율은 얼마인가?”. 《천체물리학 및 우주과학》. 269/270: 427–430. Bibcode:1999Ap&SS.269..427E. doi:10.1023/A:1017025820201. 
  5. J. H. Knapen, D. Pérez-Ramírez, S. Laine (2002). “막대나선은하의 핵주위 영역 - II. 숙주은하와의 관계”. 《Monthly Notice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37 (3): 808–828. arXiv:astro-ph/0207258. Bibcode:2002MNRAS.337..808K. doi:10.1046/j.1365-8711.2002.05840.x. 
  6. F. Bournaud, F. Combes (2002). “나선은하에서의 가스 흡수: 막대 형성과 개선”.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392 (1): 83–102. arXiv:astro-ph/0206273. Bibcode:2002A&A...392...83B. doi:10.1051/0004-6361:20020920. 
  7. 잠깐 동안만 존재하는 막대나선은하, 스카이 앤드 텔레스코프, 2002년 4월
  8. 은하 연못에서의 물결 Archived 2013년 9월 6일 - 웨이백 머신,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2005년 10월
  9. 막대나선은하는 우주의 새내기 뉴스와이즈, 2008년 7월 29일 검색.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