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기록과 통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관련된 공식 기록과 통계를 정리한 문서이다.[1]

개인 기록

[편집]

선수 기록

[편집]
  • 아래 기록은 2024년 11월 20일을 기준으로 RSSSF대한축구협회 기록실, 국제 축구 연맹 기록을 참조했다.[2][3][4]
  • 굵은 글씨의 선수들은 현재 대표팀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수들이다.
  • 국제 축구 연맹은 차범근의 사례와 같이 대한축구협회와 달리 국가대표팀 1군이 출전했던 올림픽 축구 예선전, 국제 축구 연맹의 승인을 받지 않은 일부 친선 경기를 공식 A매치로 인정하지 않아 기관에 따라 선수들의 출전 및 득점 공식 기록이 차이가 있어 해당 기록들을 병행 기재했다.
  • 국제 축구 연맹은 국제 A매치에 100경기 이상 출전하지 않은 선수들의 국가대표 출전 및 득점 기록을 일반적으로 공개하지 않아 해당 선수들의 출전 및 득점 기록은 RSSSF를 참조했다.
  • 경기당 평균 득점 지표는 소수점 세번째 자리에서 반올림을 적용했다.

최다 출장 선수 상위 10위

[편집]
# 이름 활동 기간 경기 득점
1 차범근 1972–1986 136 58
홍명보 1990–2002 136 10
3 이운재 1994–2010 133 0
4 손흥민 2010–현재 131 51
5 이영표 1999–2011 127 5
6 김호곤 1971–1979 124 5
유상철 1994–2005 124 18
8 조영증 1975–1986 113 1
9 김영권 2010–현재 112 7
10 기성용 2008–2019 110 10
# 이름 활동 기간 경기 득점
1 홍명보 1990–2002 136 10
2 이운재 1994–2010 132 0
3 손흥민 2010–현재 131 51
4 차범근 1972–1986 130 56
5 이영표 1999–2011 127 5
6 유상철 1994–2005 124 18
7 김호곤 1971–1979 117 4
8 김영권 2010–현재 112 7
9 기성용 2008–2019 110 10
10 김태영 1992–2004 104 3
이동국 1998–2017 104 33

최다 득점 선수 상위 10위

[편집]
# 이름 활동 기간 경기 득점 경기당 평균 득점
1 차범근 1972–1986 136 58 0.43
2 손흥민 2010–현재 131 51 0.39
3 황선홍 1988–2002 103 50 0.49
4 박이천 1969–1974 88 36 0.41
5 김재한 1972–1979 58 33 0.57
이동국 1998–2017 105 33 0.32
7 최순호 1980–1991 97 30 0.30
김도훈 1994–2003 72 30 0.41
허정무 1974–1986 104 30 0.29
10 최용수 1995–2003 69 27 0.39
이영무 1975-1981 85 27 0.32
김진국 1972–1978 97 27 0.28
# 이름 활동 기간 경기 득점 경기당 평균 득점
1 차범근 1972–1986 130 56 0.43
2 손흥민 2010–현재 131 51 0.39
3 황선홍 1988–2002 102 50 0.49
3 박이천 1969–1974 86 40 0.47
4 김재한 1972–1979 57 35 0.61
5 이동국 1998–2017 105 33 0.31
6 최순호 1980–1991 95 30 0.31
김도훈 1994–2003 72 30 0.41
8 허정무 1974–1986 91 29 0.31
9 최용수 1995–2003 67 27 0.40
김진국 1972–1978 97 27 0.27

감독 기록

[편집]

팀 기록

[편집]

최다, 최소 기록

[편집]
  • 최다 골차 승리: 16-0 (vs 네팔, 2003년 9월 29일)[5]

연속 기록

[편집]
구분 경기수 기간 비고
연속 승 11[6] 1975년 7월–1975년 12월
연속 무승부
연속 패
연속 무실점 승
연속 득점
연속 무득점
연속 무승
연속 무패
연속 실점
연속 무실점

선수단 기록

[편집]

역대 감독

[편집]

역대 대표팀 주장

[편집]
  • 아래 목록은 불완전한 목록이다
주장 부주장 활동 기간 임명날짜 대회, 경기 감독 체제 비고
주영광 1954년 1954년 FIFA 월드컵
이회택 1974년 1974년 4월 8일[7] 1974년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박창선 1986년 1986년 FIFA 월드컵
정용환 1990년 1990년 FIFA 월드컵
최인영 1994년 1994년 FIFA 월드컵
최영일 1997년~1998년 1998년 FIFA 월드컵
홍명보 1998년~2002년 2000년 AFC 아시안컵, 2002년 FIFA 월드컵
유상철 2003년~2005년
이운재 2004년 7월~2006년 8월 2004년 AFC 아시안컵, 2006년 FIFA 월드컵
김남일 2006년 8월~2007년 2006년 8월 14일[8] 베어백호 1기
이운재 2007년 7월 2007년 7월 10일[9] 2007년 AFC 아시안컵
김남일 2007년~2008년
박지성 2008년 10월~2011년 1월 2008년 10월 9일 2010년 FIFA 월드컵, 2011년 AFC 아시안컵
이운재 (임시) 염기훈 2008년 11월 2008년 11월 10일[10]
박주영 2011년~2012년 2011년 2월 8일 역대 최연소 대표팀 주장
곽태휘 2012년~2013년 2012년 2월 19일 최강희호 1기
하대성 2013년 2013년 7월 17일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주장 홍명보호 1~3기
구자철 2013년~2014년 2013년 9월 30일 홍명보호 4기
이청용 2013년 11월~2014년 2013년 11월 14일 홍명보호 5기
이근호 2014년 2014년 1월 26일 홍명보호 6기
구자철 이청용 2014년 5월~6월 2014년 5월 21일[11] 2014년 FIFA 월드컵 홍명보호 7기
기성용 곽태휘 2014년 10월, 2016년 3월~6월 2014년 10월 9일 슈틸리케호 1기, 10기~11기
차두리 (임시) 2014년 11월, 2015년 3월 2014년 11월 14일
구자철 기성용 2014년 11월, 2015년 3월 2014년 11월 18일 슈틸리케호 2기, 4기
박주호 2015년 1월 2015년 1월 4일 슈틸리케호 3기
기성용 이청용 2015년 1월 7일[12] 2015년 AFC 아시안컵
곽태휘 2015년 6월 2015년 6월 11일 슈틸리케호 5기
김영권 2015년 8월 2015년 7월 28일 2015년 EAFF 동아시안컵
기성용 2015년 9월~11월, 2016년 9월~2017년 6월 2015년 9월 2일 슈틸리케호 7~9기, 12~16기
권순태 (임시) 2016년 11월 2016년 11월 11일
김영권 2017년 8월 2017년 8월 31일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신태용호 1기
장현수 (임시) 2017년 10월 2017년 10월 7일
기성용 장현수 2017년 10월~11월, 2018년 3월 2017년 10월 10일 신태용호 2~3기, 6기
장현수 정우영 2017년 12월~2018년 2월 2017년 12월 9일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신태용호 4~5기
김성준 (임시) 2018년 1월 2018년 1월 27일
손흥민 (임시) 김영권 2018년 5월 2018년 5월 28일
기성용 정우영 2018년 6월 2018년 6월 1일 신태용호 7~8기
손흥민 2018년 6월 18일 2018년 FIFA 월드컵 신태용호 9기
손흥민 김영권 2018년 9월~2022년 12월 2018년 9월 7일[13] 2019년 AFC 아시안컵, 월드컵 2차 예선, 월드컵 3차 예선, 2022년 FIFA 월드컵 벤투호 1~2기, 4~9기, 15~16기, 25기
김영권 이용 2018년 11월 2018년 11월 17일 벤투호 3기
박주호 2019년 12월 2019년 12월 18일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벤투호 10기
권경원 주세종 2020년 10월 2020년 10월 9일 벤투호 11기
손흥민 2020년 11월, 2022년 3월, 9월 2020년 11월 14일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벤투호 12기, 20~21기, 23기
김영권 2021년 3월, 2022년 11월 2021년 3월 25일 벤투호 13기, 24기
손흥민 김신욱 2021년 6월 2021년 6월 5일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벤투호 14기
정우영 2021년 11월 2021년 11월 11일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벤투호 17기
김영권 홍철 2022년 1월~2월 2022년 1월 15일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벤투호 18~19기
김진수 2022년 7월 2019년 7월 20일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벤투호 22기
손흥민 2023년 3월, 10월~현재 2023년 3월 24일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23년 AFC 아시안컵 클린스만호 1기, 4기~
김승규 2023년 6월 2023년 6월 16일 클린스만호 2기
손흥민 김승규 2023년 9월 2023년 9월 7일 클린스만호 3기
김민재 (임시) 2023년 10월 2023년 10월 13일
김영권 (임시) 2024년 1월 2024년 1월 6일

역대 월드컵 대회 대표팀 주장단

[편집]
주장 부주장 대회 비고
주영광 1954년 FIFA 월드컵 주장 주영광이 결장한 본선 조별리그 2차전은
박규정이 임시 주장직 수행
박창선 1986년 FIFA 월드컵
정용환 1990년 FIFA 월드컵 주장 정용환이 결장한 본선 조별리그 2차전, 3차전은
최순호가 임시 주장직 수행
최인영 1994년 FIFA 월드컵 주장 최인영이 경기 도중 교체된 본선 조별리그 3차전은
홍명보가 임시 주장직 수행
최영일 1998년 FIFA 월드컵 주장 최영일이 결장한 본선 조별리그 1차전, 3차전은
유상철이 임시 주장직 수행
홍명보 2002년 FIFA 월드컵 주장 홍명보가 경기 도중 교체된 본선 토너먼트 16강전, 3/4위전은
유상철이 임시 주장직 수행
이운재 2006년 FIFA 월드컵
박지성 2010년 FIFA 월드컵
구자철 이청용 2014년 FIFA 월드컵
기성용 장현수 2018년 FIFA 월드컵 주장 기성용의 부상으로 인한 결장 및 부주장 장현수의 경기력 저하로
3차전은 손흥민이 임시 주장직 수행
손흥민 김영권 2022년 FIFA 월드컵

국가별 역대 전적

[편집]

아래 표는 2024년 6월 11일을 기준으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다른 국가의 축구 대표팀의 상대 전적을 반영하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참조주
내용주
  1. 2006년까지 호주는 OFC 소속이었다.
  2. 크메르 공화국의 기록을 포함한다.
  3. Including the Republic of China.
  4. Including Czechoslovakia.
  5. Including the United Arab Republic.
  6. Israel was a member of AFC between 1954 and 1974. In 1994, they received full UEFA membership.
  7. Including the Federation of Malaya.
  8. Including Burma.
  9. Including Macedonia.
  10. Including South Vietnam.
  11. Including North Yemen.
  12. Including SFR Yugoslavia and FR Yugoslav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