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성군
견성군
甄城君 | |
---|---|
조선 성종의 왕자 | |
이름 | |
휘 | 이돈(李惇) |
이칭 | 진성군(甄城君) |
시호 | 경민(景愍) |
신상정보 | |
출생일 | 1482년 |
사망일 | 1507년 11월 20일(양력) | (25세)
부친 | 성종 |
모친 | 숙의 홍씨 |
배우자 | 영양군부인 평산 신씨 |
자녀 | 2남 1녀 |
능묘 | 견성군 묘(甄城君墓)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산152-1 |
견성군 이돈(甄城君 李惇, 1482년 ~ 1507년 11월 20일(음력 10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으로, 성종의 7남이자 서6남이며, 어머니는 숙의 홍씨이다. 이복 동생인 중종 대에 이과의 모반에 연루되어 사사되었다. 시호는 경민(景愍)이다.
생애
[편집]출생
[편집]1482년(성종 13년), 성종(成宗)과 숙의 홍씨(淑儀 洪氏)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출생년도와 생일에 대한 논란이 있는데, 국립고궁박물관은 관내 소장중인 1482년 5월 5일생의 왕자 수정(壽禎)의 태지석을 견성군의 태지석이라고 소개하고 있다.[1] 견성군에게는 각각 1년 터울로 태어난 동복 형인 완원군(1480년 12월 29일생)[2]과 회산군(1481년 12월 13일생)[3]이 있기 때문에, 회산군이 태어나고 5개월 밖에 되지 않은 상태에서 견성군이 태어날 수가 없으므로, 왕자 수장의 태지석은 견성군의 태지석이 아닐 확률이 높다.
왕자 시절
[편집]1491년(성종 22년), 견성군(甄城君)에 책봉되었는데, 견성(甄城)은 전라도 전주(全州)의 별칭으로, '견훤의 도읍지'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4]
1494년(성종 25년), 신우호(申友灝)의 딸인 영양군부인(永陽郡夫人) 평산 신씨(平山 申氏)와 혼례를 올렸으며,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1503년(연산군 9년), 견성군과 견성군의 종인 금산(今山)이 거짓 문서를 예조에 바치고 잡역을 면제받으려 한 일과 관련하여 금부에서 금산을 잡아 국문하니, 연산군은 전교하여 견성군을 죄주라 하였다가 이내 자신의 뜻을 철회하고 견성군을 용서하였다.[5]
1506년(연산군 12년) 견성군은 유은종(柳恩宗)의 집을 빼앗았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유은종이 술에 취해 그의 집 앞을 지나면서 '왜 남의 집을 빼앗느냐'고 묻자 견성군은 그를 모함하여 죽였다.[6][7]
- 전교하기를,
- "유은종(柳恩宗)을 백 리 밖에서 형을 집행하고, 이 뒤로 잡범 죄인은 이 규례대로 하라." 하였다.
- 견성군 이돈(李惇)이 은종의 집을 빼앗고, 또 작은 집을 아울러 차지하려 하였다.
- 은종이 분노를 품고 항상 술이 취하면 그의 문을 지나면서 ‘왜 남의 집을 빼앗는가? 하므로,
- 견성군이 거짓을 꾸미어 아뢰니, 왕이 노하여 죽인 것이다.
— 《연산군일기》 63권,
연산 12년(1506년 명 정덕(正德) 1년) 7월 6일 (계미)
중종반정 직후에는 특별히 정국원종공신 1등에도 책록되었다.
최후
[편집]1507년(중종 2년), 정국원종공신 전산군(全山君) 이과(李顆)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자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며 죄를 청했다.[8]
- 견성군이 궐정에 이르러 아뢰기를,
- "소신이 지극히 가까운 근친(近親)으로 불령(不逞)한 자의 입에 오르내렸으니,
- 놀랍고 황송하기가 그지없습니다. 직을 버리고 대죄하기를 청합니다." 하고,
- 드디어 의관을 벗고 머리를 조아리며 통곡했다.
- 견성군에게 전교하기를,
- "저들 무리가 저들끼리 소란을 피웠을 뿐이지 견성군이 어찌 알 일이겠는가?
- 대죄하지 말라." 하였다.
— 《중종실록》 3권,
중종 2년(1507년 명 정덕(正德) 2년) 8월 27일 (무술)
중종은 견성군을 형제의 정으로 비호하였으나 의정부, 종친, 육조 등 공신들은 견성군이 모의에 가담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이들의 추대를 받았으니 도성 밖으로 내쫓을 것을 청하였다.[9]
견성군은 강원도 간성에 유배되고, 이어 대신들의 극론으로 사사되었다.[10] 그 뒤 역모에 가담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인정되어 이듬해 신원되었다.[11]
묘소
[편집]2014년 9월 30일 남양주시의 향토유적 제12호로 지정되었다. 묘역의 석물로는 묘표 1기와 문인석 1쌍, 상석, 혼유석, 동자석 1쌍, 망주석 1쌍이 있다. 모두 조성 당시의 석물로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봉분 앞쪽의 묘표는 원수방부(圓首方趺) 형태로, 비신의 전면에 "견성군지묘(甄城君之墓), 영양군부인 신씨 지묘(永陽郡夫人申氏之墓)"라는 비문이 있다.
가족 관계
[편집]
|
각주
[편집]-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견성군 태지석
- ↑ 《완원군 태지석》
《왕자 완원군 소도공 신도비명(王子完原君昭悼公神道碑銘)》 - ↑ 《전주이씨세보(全州李氏世譜) 회산군파(檜山君派)》
- ↑ 《성종실록》 249권, 성종 22년(1491년 명 홍치(弘治) 4년) 1월 10일 (정해)
- ↑ 《연산군일기》 50권, 연산 9년(1503년 명 홍치(弘治) 16년) 6월 13일 (무신)
거짓 문서에 대해 견성군 이돈의 죄를 용서하다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에게 전교하기를,"나라에서 종친을 존대하여 죄를 범하는 일이 있더라도 다만 파직하고 혹은 하사한 노비[丘史]를 회수할 뿐 태장(笞杖)을 가하지 않는 것은, 왕실의 계통이 중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나의 동생이겠는가? 내가 진실로 마음에 불안하다.
지금 여러 왕자들의 어미가 자식들이 빈궁한 일로 상언하는 일이 많다.
소민이 빈궁하더라도 오히려 돌보아야 하는 것이니, 왕 자녀가 실로 빈궁하다면 의당 먼저 구제할 것이나, 빈궁하지도 않은데 시끄럽게 상언하여 은택을 바라니 매우 불가한 일이다.
일찍이 듣건대 전에는 왕 자녀들이 자수로 집을 마련하고 재산을 모아, 학문하고 재예(才藝)를 익혀 활쏘기나 하며 온건하게 일생을 보냈다는데, 다투어 서로 호사하고 사치하여 남보다 나으려고 하는 것은 옳지 않은 일이다.
- ↑ 《연산군일기》 63권, 연산 12년(1506년 명 정덕(正德) 1년) 7월 6일 (계미)
유은종을 처벌하게 하다 - ↑ 육광남, 《연산군 일기》, 하늘과 땅, 2006, ISBN 8995500689
- ↑ 《중종실록》 3권, 중종 2년(1507년 명 정덕(正德) 2년) 8월 27일 (무술)
견성군이 역모에 가담하였다는 사실에 대해 대죄를 청하다 - ↑ 《중종실록》 4권, 중종 2년(1507년 명 정덕(正德) 2년) 9월 1일 (신축)
의정부에서 견성군을 성밖으로 내쫓을 것을 건의하다 - ↑ 《중종실록》 4권, 중종 2년(1507년 명 정덕(正德) 2년) 10월 16일 (병술)
견성군 이돈을 간성군에서 사사하다
상(중종)은 조정의 간청으로 견성군 이돈(李惇)을 간성군(杆城郡)에서 사사하였다. -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견성군”. 2016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