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
보이기
한일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과 일본의 관계와 관련된 문서는 한일 관계를, 일제 강점기의 인물은 한일 (간도협조회)를, ㅡ에 대해서는 ㅡ를, 처음의 줄임말에 대해서는 첫을 참조하십시오.
一 | ||||||||||||||
획순 | ||||||||||||||
---|---|---|---|---|---|---|---|---|---|---|---|---|---|---|
강희자전 부수 214자 | ||||||||||||||
一 첫번째 |
丨 | |||||||||||||
1 | 一 | 丨 | 丶 | 丿 | 乙 | 亅 | 2 | 二 | 亠 | 人 | 儿 | 入 | 八 | 冂 |
冖 | 冫 | 几 | 凵 | 刀 | 力 | 勹 | 匕 | 匚 | 匸 | 十 | 卜 | 卩 | 厂 | 厶 |
又 | 3 | 口 | 囗 | 土 | 士 | 夂 | 夊 | 夕 | 大 | 女 | 子 | 宀 | 寸 | 小 |
尢 | 尸 | 屮 | 山 | 巛 | 工 | 己 | 巾 | 干 | 幺 | 广 | 廴 | 卄 | 弋 | 弓 |
彐 | 彡 | 彳 | 4 | 心 | 戈 | 戶 | 手 | 支 | 攴 | 文 | 斗 | 斤 | 方 | 旡 |
日 | 曰 | 月 | 木 | 欠 | 止 | 歹 | 殳 | 毋 | 比 | 毛 | 氏 | 气 | 水 | 火 |
爪 | 父 | 爻 | 爿 | 片 | 牙 | 牛 | 犬 | 5 | 玄 | 玉 | 瓜 | 瓦 | 甘 | 生 |
用 | 田 | 疋 | 疒 | 癶 | 白 | 皮 | 皿 | 目 | 矛 | 矢 | 石 | 示 | 禸 | 禾 |
穴 | 立 | 6 | 竹 | 米 | 糸 | 缶 | 网 | 羊 | 羽 | 老 | 而 | 耒 | 耳 | 聿 |
肉 | 臣 | 自 | 至 | 臼 | 舌 | 舛 | 舟 | 艮 | 色 | 艸 | 虍 | 虫 | 血 | 行 |
衣 | 襾 | 7 | 見 | 角 | 言 | 谷 | 豆 | 豕 | 豸 | 貝 | 赤 | 走 | 足 | 身 |
車 | 辛 | 辰 | 辵 | 邑 | 酉 | 釆 | 里 | 8 | 金 | 長 | 門 | 阜 | 隶 | 隹 |
雨 | 靑 | 非 | 9 | 面 | 革 | 韋 | 韭 | 音 | 頁 | 風 | 飛 | 食 | 首 | 香 |
10 | 馬 | 骨 | 高 | 髟 | 鬥 | 鬯 | 鬲 | 鬼 | 11 | 魚 | 鳥 | 鹵 | 鹿 | 麥 |
麻 | 12 | 黃 | 黍 | 黑 | 黹 | 13 | 黽 | 鼎 | 鼓 | 鼠 | 14 | 鼻 | 齊 | 15 |
齒 | 16 | 龍 | 龜 | 17 | 龠 |
한일(한一)은 한자 부수의 하나이며, 강희자전 부수의 첫 번째 부수이다. 수 1과 시작의 뜻을 담고 있다.
一부
[편집]一부에 속해 있는 대부분의 한자는 수 1이나 시작과 관련이 있기보다는 단순히 분류를 편하게 하기 위해 속해 있는 경우가 많다. 필획명은 橫이고, 영자팔법에서는 勒으로 불린다.
또, 上과 下에서는 기준선을 의미하여. 卜의 위치에 따라 '위'인지 '아래'인지를 구별하게 한다. (지사자 참고)
자획 | 글자 |
---|---|
0 | 一 |
1 획 | 丁 丂 七 丄 丅 丆 |
2 획 | 万 丈 三 上 下 丌 与 |
3 획 | 不 丏 丐 丑 丒 专 |
4 획 | 且 丕 世 丘 丙 业 丛 东 丝 |
5 획 | 丞 丟 丠 両 |
6 획 | 丣 两 严 |
7 획 | 並 丧 |
부수 명칭
[편집]一(yi)
형태
[편집]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Fazzioli, Edoardo (1987). 《Chinese calligraphy : from pictograph to ideogram : the history of 214 essential Chinese/Japanese characters》. calligraphy by Rebecca Hon Ko. New York, 1987: Abbeville Press. ISBN 0-89659-774-1.
- Li, Leyi (1993). 《Tracing the Roots of Chinese Characters: 500 Cases》. Beijing, 1993. ISBN 978-7-5619-0204-2.
이 글은 문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