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호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이 문서는 수학적으로 틀릴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고거나, 아니면 알 게 뭐야. |
괄호(영어: bracket function)는 항등함수이다.
정의[편집]
괄호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math]\displaystyle{ (p)=p }[/math]
- 위 성질에 따라 괄호는 항등함수이고, 다음과 같은 공식이 유도된다.
- [math]\displaystyle{ (((((((((((p))))))))))=p }[/math]
특성[편집]
- 괄호함수는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 [math]\displaystyle{ (1 \sqrt{2})^2 \not= )1 \sqrt{2}(^2 }[/math]
- 또한, 분배법칙도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 [math]\displaystyle{ (1 \sqrt{2})^2 \not= 1^2 \sqrt{2} ^2 }[/math]
- 이런 분배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비-아벨 군이라는 특성 때문에, 현재 많은 수학자들은 괄호함수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지역에 따른 괄호 표기법[편집]
대한민국에서는, 괄호를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 〔큰대괄호〕같이 4개로 나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쌀국에서는 (소괄호), [대괄호]밖에 없다. 왜 그런지는 나도 모른다. 그리고 그 이외에 〈 〉[1], 《 》, 【 】같은 괄호도 있기는 하지만 거의 안 쓰이므로 알아둘 필요는 없다.
괄호와 비슷하게 생긴 놈들[편집]
- 다음과 같은 것들은 괄호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괄호가 아니므로 조심해야 한다.
- 가우스 함수
- 번역자주
- 「」와 『』
- [kuk̚ʥ'e ɯmsɜŋ kiɦo]
- <와 > : 흔히 홑화살괄호로 쓰이곤 하는데 사실은 부등호 기호다.
이 문서는 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왼쪽의 식을 증명하려는데 여백이 부족한 게 보이시나요? 서로의 여백을 모아 식을 증명합시다. |
빌어먹을 수학
- ↑ < >는 부등호 기호이지, 홑화살 기호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