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예술이론가 목정원은 여러 대학에서 공연예술이론 및 예술학 일반을 가르치며, 변호하고 싶은 아름다움을 만났을 때 비평을 쓴다. 가끔 사진을 찍고 노래 부른다. 『모국어는 차라리 침묵』은 프랑스에서 그가 만난 아름다운 예술과 사람들, 사라진 것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비평 에세이다.
책의 재미를 느꼈던 때는 언제부터였나요?
지금도 책의 재미를 느끼는 것을 전제로 한 질문 같아 답변하기가 조심스럽습니다. 저는 주로 고통을 주제로 삼는 동시대 예술에 관한 연구를 하는데요. 독서 역시 연구의 일환으로 이루어질 때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니 책이란 제게 이완을 돕기보단 긴장을 주는 매체라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책 읽기를 그다지 즐겨하지 않습니다. 도리어 이완이 필요할 때는 오락을 하거나 요리를 해요. 독서가 재미있던 순간은 어릴 때 완결을 기다렸다 한꺼번에 빌려와 쌓아 놓고 엎드려 만화책을 보던 날들에 귀하게 두고 온 것 같습니다.
책 읽는 시간은 작가님께 왜 소중한가요?
물론 공부하듯 책을 읽을 때에도 빛나는 순간들은 있습니다. 좋아하는 철학자의 한 문장에 그의 우주가 담겨 있는 것을 느낄 때, 그 우주가 너무 아프고 아름다울 때 큰 숨을 내쉬며 책장을 덮고 가만히 있곤 해요. 그럴 때 창 밖으로 녹음이 가득하면 행복하다고 느낍니다. 저는 책을 아주 느리게, 아주 조금만 읽는데요. 제 호흡대로 마음껏 느릴 수 있어서 책 읽는 시간이 소중합니다. (반면 어느 순간 사유를 무화시키고 그저 흠뻑 빠져들게 만드는 픽션들로 도피하는 시간 역시 드물고 소중합니다. 오늘 추천드릴 다섯 권의 책은 그런 것들 중에 골라보았어요.)
요즘 작가님의 관심사는 무엇이며 그 관심사와 관계하여 읽을 계획인 책이 있나요?
어쩔 수 없이 고통에 관한 것들입니다. 가령 동물들과 전쟁들이요. 근자에 여유가 생긴다면 바버라 J. 킹의 『동물은 어떻게 슬퍼하는가』와 올가 토카르추크의 『태고의 시간들』을 읽으려 합니다.
최근작 『모국어는 차라리 침묵』과 관련하여, 독자들에게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저는 대체로 많은 순간에 독자가 아니지만 거의 언제나 관객이라고 생각합니다. 시간을 따라 한 편의 공연처럼 삶이 우리를 지나가고 있으니까요. 『모국어는 차라리 침묵』은 그 삶을, 세계를 바라보는 한 시선의 이야기입니다. 지금 여러분을 지나가는 것들이 부디 빛나기를, 잘 전송하시기를, 언제 어디서든 슬프고 아름다운 관객으로 살아가시기를 빕니다.
심윤경 저
난독증을 가진 소년 동구의 이야기입니다. 역사의 질곡이 지나가는 동안 오직 자신이 지닌 선함으로 동그랗게 빛을 밝히는. 훗날 심윤경 작가는 동구에게 짐을 지운 것에 미안해하며 착하지 않아도 되는 아이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 『설이』를 쓰기도 했지요. 그렇지만 저는 세상에 너무 선한 것보다 더 아름답고 아린 것을 아직 알지 못합니다.
사노 요코 글그림/황진희 역
태어나고 싶지 않아서 태어나지 않았던 아이가 끝내 태어나는 이야기를 담은 그림책입니다. 태어나지 않으면 세상의 모든 일들이 아무렇지 않겠지만, 아이는 태어나 모기에 물리기를, 넘어져 다친 뒤 사랑하는 이가 붙여준 반창고를 자랑스레 간직하기를 선택합니다. 이토록 아픈 세상에서 죽지 않고 살아있다는 것의 의미를 더듬어보는 요즘인데요. 우리는 어떤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요.
윤성희 저
윤성희 작가의 문체를 정말 좋아합니다. 숨막히게 흘러가는 생들이 얽히는데 그 얽힌 틈새로 빛이 들어요. 무심한 듯 담담하지만 마음에 구멍이 뚫립니다. 프랑스로 유학 갈 때 짐에 넣어갔던, 언제나 곁에 두고 싶던 사랑하는 한글 문장이에요.
안톤 체호프 저/김규종 역
등장인물 소개 페이지에 손가락을 끼워놓고 낯선 이름이 나올 때마다 재차 들추다 보면 그 이름들이 어느덧 각자의 생을 갖고 뼈아픈 존재들로 현현함이 즐겁습니다. 저는 체호프를 너무 좋아해서 제발 누가 체호프를 공연해달라고 언제나 빌며 삽니다.
M. B. 고프스타인 글그림/이수지 역
“저 눈사람 만들지 말걸.” 고대하던 눈사람을 만들어 창밖에 놓아둔 아이들이 그의 외로움을 염려해 회한을 느낍니다. 누군가의 회한은 제가 가장 슬퍼하는 감정 중 하나에요. 그러나 아이들은 이를 든든하게 극복해내지요. 그때의 몸짓들이 지극히 단순하고도 너무나 섬세한 그림 속에 따스하게 새겨져 있습니다. 한 장 한 장 경이롭게 보았어요.
목정원 “느린 호흡으로 흘러가는 책읽기” 공연예술이론가 목정원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