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정관정요

다른 표기 언어 貞觀政要

요약 <태종실록>에서 자료를 뽑아 사료로 이용했지만 역사서라기보다는 정치교과서로 당의 중기 이후 제왕들이 많이 읽었다. 10권 40편이며, 내용은 권1 논군도·논정체, 권2 논임현·논구간·논납간, 권3 논군신감계·논택관·논봉건, 권4 논태자제왕정분·논존경사부·논경계태자·논규간태자, 권5 논인의·논충의·논효우·논공평·논성신, 권6 논검약·논겸양·논인측·신소호·신언어·두참사·논회과·논사종·논탐비, 권7 숭유학·논문사·논예악, 권8 논무농·논형법·논사령·논공부·변흥망, 권9 의정벌·의안변, 권10 논행행·논전렵·논재상·논신종 등으로 되어 있다. <사부총간속편>에 수록되어 있고 단행본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림정치의 전개에 따라 배격되기도 했으나 조선 후기까지 널리 읽혀 정치사상이나 제도정비 등에 영향을 미쳤다.

10권 40편. 정관은 당 태종의 연호(627~649)이다. 〈태종실록〉에서 재료를 뽑아 사료로 이용했지만 역사서라기보다는 정치교과서로 당의 중기 이후의 제왕들이 많이 읽었다.

내용은 권1 논군도(論君道)·논정체(論政體), 권2 논임현(論任賢)·논구간(論求諫)·논납간(論納諫), 권3 논군신감계(論君臣鑑戒)·논택관(論擇官)·논봉건(論封建), 권4 논태자제왕정분(論太子諸王定分)·논존경사부(論尊敬師傅)·논경계태자(論敬戒太子)·논규간태자(論規諫太子), 권5 논인의(論仁義)·논충의(論忠義)·논효우(論孝友)·논공평(論公平)·논성신(論誠信), 권6 논검약(論儉約)·논겸양(論謙讓)·논인측(論仁惻)·신소호(愼所好)·신언어(愼言語)·두참사(杜讒邪)·논회과(論悔過)·논사종(論奢縱)·논탐비(論貪鄙), 권7 숭유학(崇儒學)·논문사(論文史)·논예악(論禮樂), 권8 논무농(論務農)·논형법(論刑法)·논사령(論赦令)·논공부(論貢賦)·변흥망(辯興亡), 권9 의정벌(議征伐)·의안변(議安邊), 권10 논행행(論行幸)·논전렵(論k獵)·논재상(論災祥)·논신종(論愼終) 등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구당서〉·〈신당서〉·〈자치통감〉과 일치하는 점이 있다. 〈사부총간속편 四部叢刊續編〉에 수록되어 있고 단행본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성치(聖治)를 구현하는 전단계의 정치지침서와 같은 평가를 받아 널리 읽혀졌으며, 조선초에는 경연에서도 자주 강론되었고 역과(譯科)·몽학(蒙學)·사자(寫字)의 교본으로 쓰이기도 했다. 사림정치의 전개에 따라 한동안 배격되기도 했으나 조선 후기까지 널리 읽혀 정치사상이나 제도정비 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정관정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