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식도

다른 표기 언어 esophagus , 食道

요약 식도는 수축하거나 팽창해서 음식물을 이동시킨다. 식도의 양쪽 끝은 조임근에 의해 닫혀져 있다. 위쪽 끝은 상부식도 조임근, 아래쪽 끝은 하부식도 조임근이라 한다. 음식이 인두로 들어오면 상부식도 조임근이 이완되어 음식물이 식도로 들어가며 곧바로 닫혀서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한다. 식도벽을 이루는 근육이 수축하면 음식물은 식도관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며 하부식도 조임근이 열리고 위로 들어간다. 그뒤 하부식도 조임근이 닫혀서 위액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식도에 발생하는 이상 증상으로는 궤양 형성과 출혈, 위즙이 식도에 올라와 생기는 가슴앓이, 식도벽에 있는 신경말단 파괴로 음식물을 삼키지 못하거나 음식물을 식도에서 위로 보내지 못하는 이완불능증, 식도가 관련된 결합조직에 이상이 생기는 공피증 등이 있다.

식도(esophagus)

식도와 소화 기관의 구조

ⓒ Olek Remesz / wikipedia | CC BY-SA 2.5-2.0-1.0

식도는 다른 부분에 비해 곧으며, 식도는 수축하거나 팽창해서 음식물을 이동시킨다. 해부학적으로 보면 기관과 심장 뒤, 척주 앞에 있으며 위로 들어가기 전에 횡격막을 지난다. 식도의 양쪽 끝은 조임근이라는 근육에 의해 닫혀져 있다. 닫혀 있는 위쪽 끝은 상부(上部)식도 조임근이라고 하며, 아래쪽 끝을 하부식도 조임근이라 한다. 상부식도 조임근은 환상근으로 되어 있으며 주로 닫혀 있다. 음식이 인두로 들어오면 이 조임근이 이완되어 음식물이 식도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조임근은 곧바로 닫혀서 음식이 다시 역류되지 않게 한다. 식도벽을 이루는 근육이 수축하면(→ 연동운동) 음식은 식도관을 따라 아래로 내려간다. 연동운동에 따라 음식물이 계속 아래로 내려가면 하부식도 조임근이 열리고, 음식물은 위로 들어간다. 그뒤 하부식도 조임근이 닫혀서 위액이 식도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나 반추동물 등의 몇몇 동물은 연동운동을 거꾸로 하여 위에 있는 음식물을 식도를 통해 다시 올릴 수 있다. 사람에게도 이러한 능력이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조류(鳥類)는 주로 중력을 통해 물과 음식물을 식도로 내려 보내는데, 그렇게 하려면 머리를 치켜 올려야만 한다. 어류 중 몇몇은 소화관 가운데 식도 부위가 짧아 구분이 잘 안 되며, 육상척추동물은 보통 식도가 길다. 식도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궤양(潰瘍) 형성과 출혈, 위즙이 식도에 올라와 생기는 가슴앓이, 식도벽에 분포된 신경말단이 파괴되어 음식물을 삼키지 못하거나 음식물을 식도에서 위로 보내지 못하는 이완불능증(弛緩不能症), 식도가 관련된 결합조직에 이상이 발생하는 교원병(膠原病)의 일종인 공피증, 식도근육의 경련 등이 있다. 식도 발성(發聲)에 대해서는 '가성후두언어' 항목 참조.

식도(esophagus)

식도의 수축 과정을 표현한 그림

ⓒ training.seer.cancer.gov / wikipedia | Public Domain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소화계

소화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29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하식도 해도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식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