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금강

다른 표기 언어 錦江

요약 한강·낙동강에 이어 3번째로 긴 강이다. 길이는 발원지에서 구하구까지 407.5㎞, 금강 하구둑까지 397.25㎞, 유역면적은 9,885㎢이다.
전라북도 장수군에 있는 신무산 북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진안·무주·금산·영동·옥천·대전 등을 지나 군산만으로 흘러든다.
강 상류는 험준한 산지 사이로 하천들이 감입곡류를 형성하고, 중·하류에는 내륙분지와 충적평야가 발달해 있다. 강 하구는 넓고 깊어 하항의 발달에 유리하다.
최상류에 서식하는 감돌고기·금강모치·구구리 등은 우리나라 특산 어종이다. 중류에는 버들치·피라미가 서식하며, 하류에는 동지개·풀망둑·학공치 등이 서식하고 있다. 그러나 금강하구둑 등의 개발로 생태계의 변화가 우려된다. 금강하구는 청둥오리·쇠기러기 등 겨울 철새의 도래지이므로 중요한 조류보호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6번째로 긴 강이며, 남한에서는 한강·낙동강에 이어 3번째로 긴 강이다.

길이는 발원지에서 구하구까지 407.5㎞, 금강 하구둑까지 397.25㎞, 유역면적은 9,885㎢이다.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 신무산(神舞山:897m) 북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진안·무주·금산·영동·옥천·대전·연기·공주·부여·논산·강경 등 10여 개의 지역을 지나 군산만으로 흘러들며, 강 하류는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를 이룬다. 이 강으로 유입되는 주요지류로는 진안의 정자천(程子川)·주자천(朱子川), 무주의 남대천(南大川), 금산의 봉황천(鳳凰川), 옥천의 보청천(報靑川), 연기의 미호천(美湖川), 공주의 유구천(維鳩川), 그리고 논산의 논산천(論山川) 등이 있다.

〈당서 唐書〉에는 금강을 웅진강(熊津江)이라 했고, 〈동국여지승람〉에는 금강의 명칭이 지역에 따라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상류로부터 적등강(赤登江)·호강(湖江)·차탄강(車灘江)·화인진강(化仁津江)·말흘탄강(末訖灘江)·형각진강(荊角津江)으로 되어 있으며, 공주에서는 웅진강, 부여에서는 백마강, 그리고 하류에서는 고성진강(古城津江)으로 되어 있다. 금강의 명칭은 웅진(熊津)과 함께 '이미지(곰)' 계열어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이미지(감·곰)은 '짐·검·금·가무' 등으로 전음(轉音)되며 '儉·錦·今·金·金馬·蓋馬' 등으로 차음(借音)되기도 하는데 '이미지강' 또는 '이미지나루'는 '이미지강-금강-錦江'으로, '이미지나루-곰나루-熊津'으로 변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강 상류는 지질구조가 복잡하며, 지형도 매우 복잡하여 험준한 산지가 발달해 있다.

이들 산지 사이로 하천들이 감입곡류(嵌入曲流)를 하고 있어 자연경관이 뛰어나다. 중·하류에는 청주분지·보은분지·대전분지 등의 내륙분지와 논산평야·미호평야 등 충적평야가 발달해 있어 과거 백제문화의 중심지를 이루었으며, 현재도 이 지역의 생활중심지로 되어 있다.

강 하구는 넓고 깊어 하항(河港)의 발달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하구 주변의 조차는 6m 이상으로서 감조하천(感潮河川)의 특성이 뚜렷이 나타난다. 밀물 때에는 하구로부터 약 64㎞에 위치한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까지 조수의 영향이 미친다. 과거에는 큰 배의 경우 강경·부여까지, 작은 배의 경우 충청남도 연기까지 운항될 정도로 내륙수운이 발달했다. 따라서 우리나라 곡창지대인 호남평야·논산평야의 쌀은 주로 이 금강의 수운을 이용하여 다른 지방으로 수송되었다. 지금은 호남선의 개통과 도로교통의 발달로 그 기능이 거의 사라졌다.

또한 유황(流況)이 매우 불안정하여 홍수시에는 단기간에 약 70%의 물이 바다로 유출된다.

특히 만조시 홍수가 겹칠 때 중·하류 평야지역의 여러 지류들로 물이 역류하여 범람이 잦았다. 따라서 홍수피해의 방지와 안정된 관개용수의 공급을 위하여 1980년에 신탄진 부근에 대청다목적댐을 건설했고, 1990년에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과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사이를 잇는 금강하구둑이 완공되었다. 유역 내 연평균 강수량은 1,200~1,400㎜로 우리나라의 평균치 정도이나, 지형과 관련하여 지역적 차이가 크다. 대체로 하류지역은 1,100㎜ 내외이나, 상류지역은 1,300㎜ 내외로 다우지를 형성한다.

그러나 여름철 강수 집중률이 60%를 넘고, 하천의 경사가 급하여 하천 유출량의 변동이 매우 심하다.

이 강 최상류의 무주구천동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 가운데 감돌고기·금강모치·구구리·돌상어·어름치 등은 우리나라 특산 어종으로서 그 분포의 최남단을 이루어 생태학적·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중류지역에는 버들치·피라미가 서식하며, 하류에는 동지개·붕어·풀망둑·학공치 등이 서식하고 있다.

그러나 금강하구둑의 완공으로 생태계의 변화가 우려된다. 특히 금강 하구는 청둥오리·쇠기러기·흰뺨검둥오리 등 겨울 철새의 도래지이기 때문에 조류보호지로도 매우 중요하다.

금강은 예로부터 생활·농업용수뿐만 아니라 수로교통 및 물자유통로로 이용되어왔으며, 발전과 공업용수 공급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금강 유역은 백제문화권의 중심지로서 공주·부여를 중심으로 수많은 문화유적이 산재해 있다. 현재 충청남·북도의 인구 중 50% 이상이 이 강 유역에 거주하며, 전라북도의 인구를 합할 경우 유역 인구는 400만 명 이상이 되는데, 이들은 대부분 중류·하류 평야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계룡산·속리산·덕유산 등의 국립공원과 대둔산·마이산 등의 도립공원이 있으며, 대청댐·금강유원지·초평저수지·백마강 등의 경관이 좋은 유원지가 많다. 그밖에 유성온천을 비롯 초정약수·명암약수 등 많은 관광자원을 간직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금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