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가족심리백과

꿈의 해석

꿈의 의미에 대해 알고 싶어요

해몽(interpret dream)

ⓒ Liukov/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심리상담 참고사례
요즘 들어 부쩍 꿈을 많이 꿉니다. 최근에는 아버지가 총으로 저를 쏘는 꿈을 꾸고서 깜짝 놀라 깨기도 했어요. 일상생활과 이렇게 동떨어진 꿈을 꾸다 보니, 이게 무슨 의미가 있는 건지 궁금해졌습니다.

프로이트가 1900년 《꿈의 해석》이라는 책을 출판한 이래, 꿈은 정신분석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꿈을 통해 받아들이기 어려운 본능적 욕망을 충족함으로써 낮 동안의 긴장을 해소합니다. 또한 꿈은 억압된 무의식을 들여다볼 수 있는 좋은 창구 역할을 하기 때문에, 꿈을 분석하다 보면 무의식 안에 갇힌 신경증이나 정신증 같은 질병을 일으키는 본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꿈의 분석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해몽’과는 다른 것으로, 이는 우리 내면의 무의식을 이해하려는 시도입니다.

꿈에는 3가지 요소가 있는데, 첫째는 발현몽(Manifest Dream)으로, 잠자는 동안 의식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것인데 흔히 꿈을 꾸었다고 할 때의 꿈 내용입니다. 둘째는 잠재몽(Latent Dream)으로, 무의식에 포함된 생각과 소망으로서, 발현몽을 일으키는 근원을 말합니다. 셋째는, 잠재몽의 내용물이 발현몽으로 전환되는 과정인 꿈 작업(Dream Work)입니다.

우리의 무의식 속에는 유아기 때부터 가지고 있는 본능적 충동이 억압되어 있으며, 우리는 끊임없이 이 소망을 충족시키려 합니다. 그리고 수면 중에도 낮에 경험한 여러 가지 경험들의 잔상(Day Residue)이 남아 있으며, 우리 몸은 계속해서 배고픔, 아픔, 추위, 요의 등 감각적 자극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이 합쳐져 시각적 이미지로 떠오른 것이 꿈입니다. 각성 시에는 엄격한 자아의 검열기능으로 인해 억압되어 있던 무의식적 내용도 수면 중에는 자아기능이 약화되면서 쉽게 의식화됩니다. 이렇게 수면 중에 시각적 이미지로 의식화된 결과물로서 현재몽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꿈작업이며, 이는 내용물을 위장하고 왜곡함으로써 알아보기 힘들게 만들어집니다.

수면 중 그 기능이 약화되었다고는 하나 자아는 여전히 우리 무의식을 감추는 데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 자아는 여러 방어기제를 사용해 원래의 충동을 비틀어놓습니다. 예를 들어 어머니를 향한 오이디푸스콤플렉스를 가진 청년의 꿈에서는 성적 충동이 드러나는 대신 어머니와 숨바꼭질하는 장면이 나올 수도 있고, 그래도 의식화되는 데 불안을 느낀다면 어머니 대신 낯선 여자가 등장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자아는 전치, 압축, 상징화 등의 자아 방어기제를 사용해 잠재몽을 발현몽으로 바꿔놓습니다. 잠재몽과 발현몽이 얼마나 다르게 표현되는지는 방어의 힘과 잠재몽 속에 들어 있는 힘 사이의 균형에 달려 있습니다.

꿈 작업에서 추가되는 과정은 2차 편집단계입니다. 자아는 발현몽을 논리성과 일관성이 있는 것처럼 그럴싸하게 엮으려 시도합니다. 잠재몽과 기타 재료들을 위장과 왜곡을 통해 알아보기 힘들게 꼬아놓고는 마지막으로 다시 ‘말이 되게끔’ 스토리를 엮은 결과물로 발현몽을 경험하게 하는 것입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는 꿈을 무의식적 갈등이라는 원인에 따른 결과물로 보고, 꿈을 잠재몽과 발현몽으로 나누어 숨겨진 무의식을 찾으려고 시도합니다. 반면, 융의 분석심리학에서는 이런 정신분석학적 입장을 비판합니다. 그는 꿈은 무의식이며, 온전히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면서 “꿈은 감추는 것이 아니고 가리킨다”라고 말했습니다. 꿈은 우리의 의식에게 무엇인가를 알려주는 지향적 의미가 있고, 의식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 보상기능이 있으며, 미래를 조망하는 예시적 측면이 있다는 것입니다.

최근 뇌과학이 발전하면서 REM 수면 동안 낮에 있던 일들이 기억으로 저장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서랍에 새로운 물건을 넣어 정리하려면 기존에 들어 있던 물건들을 꺼내야 하듯이, 새로운 기억이 저장되려면 과거에 저장되었던 기억들이 무의식이라는 서랍에서 밖으로 튀어나오게 됩니다. 그중 감정적으로 중요했던 내용들은 특히 인상에 남아 다음날 아침 꿈의 내용으로 기억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매일 꾸는 꿈은 우리가 처한 현실, 감각자극 그리고 무의식에 갇혀 있는 본능적 충동이 한데 버무려져 있는 결과물입니다. 그렇지만 워낙 잘 위장되어 있기에 쉽게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낯선 사람이 꿈 내용만 들어보고 턱하니 해몽을 해줄 수도 없습니다. 꿈의 잠재내용은 대개 꿈꾼 당사자의 자유연상과정에 의해서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죠. 절대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스스로의 꿈을 들여다보는 것은 우리 무의식 내면을 향해 귀 기울이는 연습입니다. 어릴 적 이루지 못한 소망을 향해 끝없이 나아가는 우리 무의식의 바다를 항해할 때, 꿈은 좋은 나침반이 되어줄 것입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가족심리백과
가족심리백과 | 저자송형석 외 4인 | cp명시공사 도서 소개

정신과의사 10명이 수십 년간 진료를 하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내담자들의 다양한 고민거리들을 생애 단계별로 나누어 구성했다. 특히 부모로서 자녀에 대해 갖게 되는 걱정..펼쳐보기

전체목차
2부. 가족심리백과 1장. 어린아이와 부모의 문제
2장. 초등학생자녀의 문제
3장. 중고생 자녀의 문제
4장. 청년의 문제 5장. 중장년의 문제
6장. 노인의 문제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꿈의 해석가족심리백과, 송형석 외 4인, 시공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