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이이화의 인
물한국사

지눌

知訥

선교일치운동을 통해 조화를 추구하다

요약 테이블
출생 1158년
사망 1210년

부처의 참뜻을 쫓다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은 우리나라 불교사에서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스님으로 우러름을 받는다. 그는 선교(禪敎) 일치를 위해 헌신한 고승으로, 죽은 뒤에는 나라에서 그의 공적을 기려 불일보조(佛日普照)라는 시호를 내려주었다. 그의 불명은 지눌이요, 호는 목우자(牧牛子)이다. 그리하여 그는 불일보조국사를 비롯해 보조, 지눌, 목우자 등으로 널리 불린다.

보조국사 지눌 초상

그는 참선만을 일삼거나 불경만을 가르치면서 각기 그것만이 옮다고 주장하는 폐단을 바로잡으려 했다.

ⓒ 주니어김영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눌의 속성은 정씨(鄭氏)였는데 황해도 서흥 땅에서 국학학정(國學學正)이라는 벼슬을 한 광우(光遇)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태어나서부터 병이 많아 몹시 허약했다. 그리하여 여러 약을 썼지만 잘 낫지 않아 그의 부모는 부처님께 빌면서 건강해지면 출가를 시키겠다고 서약했다.

그 뒤 지눌은 병이 나아 여덟 살의 나이에 부모 곁을 떠나 출가했다. 지눌은 머리를 깎고 계를 받아 사미승이 되었지만 일정한 스승이 없었다. 그리하여 스스로를 채찍질하며 정진을 거듭했다. 그는 스물다섯 살이 되던 해에 승과에 급제하여 승려로서의 출셋길에 발을 들여놓았다. 당시 승려로서 승과에 급제하는 것은 출세의 첫 단계였다. 그러나 당시의 불교계는 여러 가지 타락의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더욱이 당시 무신정권은 발호를 거듭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대 상황은 그에게 역사적 사명을 짊어지게 했다.

승려들에게는 출가의 본뜻과는 달리 명리를 탐하는 풍조가 물들어 있었다. 많은 수재들이 중이 되어서는 높은 자리를 차지하려는 풍조가 일었고 세속에 물들어 재물과 재산 늘리기에만 골몰해 있었다. 더욱이 나라에서도 큰 불사를 벌여 재정을 소모하고, 여느 불자들도 불도의 실천보다 종파에 얽매여 분열을 조장하고 있었다. 이런 비리를 큰 소리로 지적한 것은 유자 출신의 최승로(崔承老)였다. 최승로는 불교의 비리를 강한 어조로 질책했다.

게다가 선종과 교종은 끊임없는 마찰을 빚었다. 불립문자 견성성불(不立文字 見性成佛)을 표방한 선종은 교종을 아주 낮게 보았고, 부처님 말씀을 토대로 중생을 제도해야 한다고 표방한 교종은 선종을 현실을 외면하고 있는 무리라고 매도했다. 선 · 교종은 신라 후기부터 대립해왔는데 이들의 조화를 들고 나온 것이 대각국사 의천이었다.

지눌은 이러한 현실 모순을 보고 개혁에 큰 관심을 쏟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처음부터 승과 합격에는 관심이 없었고 오직 하나의 운동을 벌일 결심을 했다. 그는 20대의 중반 무렵, 곧 승과에 합격하던 해에 개성 남쪽에 있는 보제사의 담선법회(談禪法會)에 참석했다. 이때 많은 불자들이 모여 있었는데 그는 같은 또래의 10여 명을 모아놓고 이렇게 말했다.

법회가 끝난 후, 마땅히 명리를 버리고 산림에 은둔해서 동사(同社)를 만들자. 그리고 늘 선정(禪定)을 익히고 지혜를 닦는 것을 급선무로 삼고 예불과 경 공부를 하면서 직접 노동으로 울력(여러 사람이 힘을 합쳐 하는 일)하여 각각 맡은 바를 이룩해나가자.
- 《보조법어(普照法語)》

여기에서 ‘선정을 익힌다’는 것은 참선으로 자기 내면을 가꾸는 것이며, ‘지혜를 닦는다’는 것은 부처님 말씀을 공부하자는 것이다. 이는 곧 스스로 노동을 통해 고행을 하면서 몸소 실천하는 부처님 제자가 되자는 뜻이다.

이 말에 이견들이 있었지만 그는 당시의 불교폐단을 고치는 일에 열정을 가지고 설득해나갔다. 그는 이때 벌써 정혜쌍수(定慧雙修)의 논리를 펴서 선 · 교의 합일을 찾았고, 그 운동을 위해 정혜결사(定慧結社)를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그는 모든 승직을 내던지고 바리때를 짊어지고 도시인 평양과 개성을 떠나 산골인 남쪽 창평의 청원사로 내려갔다. 그리고 이곳에서 매일 참선 수행을 하고 불경 읽기에 열중했다. 어느 하루는 《육조단경(六祖檀經)》[중국 선종의 제6조 혜능(慧能)의 설법을 모은 책]을 읽고 크게 깨달은 바가 있었다. 그는 여기에 부처의 참뜻이 담겨 있다고 생각했고, 특히 선정, 지혜에 대한 설파에 크게 감동했다. 그리하여 그는 자신의 갈 길을 이 책에서 구했고, 이를 통해 자득의 경지에 들어섰다.

정혜결사운동을 일으키다

청년 지눌은 이렇게 몇 년을 보내고 거조사(대구 팔공산에 있는 절)로 나왔다. 그가 이곳으로 나오자, 많은 동료들이 이 절에 머무르기를 원했다. 그리하여 그는 벗들과 이곳에 머물며 여러 종파의 승려들과 명사들을 접촉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정혜결사운동을 벌였다.

이때(1190) 그는 《권수정혜결사문(勸修定慧結社文)》을 찍어 돌렸는데, 첫머리는 이렇게 시작한다.

삼가 들으니 땅에서 엎어진 자는 땅에서 일어나는 것이니 땅을 떠나 일어나기를 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

이 말에서 보듯 마음을 떠나 부처를 구하는 것 또한 있을 수 없다는 논지를 편 것이다. 이 글에서 정혜쌍수를 차분하게 설득했다. 그리고 불자는 온갖 명리를 버리고 몸소 실천하며 불교의 혁신운동을 벌여야 한다고 했다. 이 글이 퍼지자 불교계는 술렁거리기 시작했다. 청년 지눌의 이름은 널리 퍼졌고 그의 사상도 터전을 잡아갔다.

이때 그는 정진을 거듭했고 찾아오는 제자들을 가르치기에 여념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는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 나섰다. 그가 좀 더 넓게 정혜결사의 이론을 펴기 위해서는 내면의 깊이를 다져야 했다. 그리하여 1198년 몇몇 제자를 데리고 바리때 하나만을 든 채 지리산의 상무주암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는 이곳에서 피나는 정진을 거듭해 참선에 들었다.

그러던 중 마침내 보각선사(寶角禪師)의 “선은 고요한 곳에 있지도 않고 매끄러운 곳에 있지도 않고 날로 쓰는 연줄이 닿는 곳에 있지도 않고 사량思量을 분별하는 곳에 있지도 않다”는 말의 뜻을 터득했다. 참선은 진정 어디에 있는가? 은둔적 삶에 있지 않으며 현실에 뿌리박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진정한 보살행을 통해 중생제도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지리산 생활 3년을 끝내고 감연히 새로운 길을 찾아 나섰다. 은둔적 분위기를 지녔던 그가 비로소 대중과 접할 수 있는 곳을 찾아 나선 것이다. 40대를 갓 넘긴 그는 송광산 길상사(지금의 조계산 송광사의 옛 이름)로 나왔다. 그리고 이 절에 자리를 잡고서 정혜결사운동을 본격적으로 벌였다. 그는 외쳤다.

참선과 지혜를 다 같이 공부하여 만행(萬行)을 같이 닦는데, 어찌 헛되이 입을 꾹 다물고 있는 어리석은 선객〔守默之痴禪〕과 글만을 찾아 가르치는 미친 혜자〔尋文之狂慧〕에 비하리오.

이는 곧 참선만을 일삼거나 불경만을 가르치면서 각기 그것만이 옳다고 주장하는 폐단을 바로잡으려 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한 가지 유의해둘 것이 있다. 지눌은 정혜쌍수를 주장했으나 참선을 윗자리에 두어야 함을 가르쳤다. 그의 선배인 의천이 교관겸수를 주장했을 적에 교를 우선해야 한다고 가르친 것과는 다소 상반된다.

지눌이 길상사에 자리 잡고 있을 적의 광경은 다음과 같이 전해진다.

······사방의 승려들이 풍문을 듣고 밀려와 길상사에 꽉 들어찼다. 심지어 높은 벼슬과 처자를 버리고 누더기 옷에 얼굴을 그을리며 동료와 함께 오는 자도 있었다. 방공(方公), 사서(士庶) 수백 명이 밀려왔다.
- 송광사 〈보조국사비명〉

이처럼 그가 설립한 정혜결사에는 많은 사람들이 밀려왔다. 당시 길상사 옆에 정혜사라는 절이 있었다. 이름으로 비롯되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길상사를 수선사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늘 그를 흠모해왔던 왕자가 왕이 된 것은 1205년이었다. 새 왕 희종(熙宗)은 친필로 ‘조계산 수선사’라는 현판을 내려주었다. 그리하여 수선사는 국가공인의 결사운동 중심지가 되었다.

조화와 화합을 강조하다

지눌의 논리는 명쾌했다. 마치 일심을 끊임없이 설파한 원효의 환생을 보는 듯했다. 비록 원효처럼 민중 속으로 파고들지는 않았으나 그 기저는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그의 이론 한 대목을 보자.

부처란 마음이다. 마음은 사람 몸속에 있다. 사람은 오래 미혹되어 있어서 마음이 참 부처인 줄 알지 못하고 부처를 마음 밖에서 찾는다. 이렇게 되면 티끌처럼 많은 세월이 지나도록 몸을 사르고 팔을 태우며 뼈를 두드려 골수를 꺼내고 몸을 찔러 피를 내서 경을 베낀다 해도, 밤을 지새우고 밥을 굶으면서 그 많은 대장경을 읽거나 여러 고행을 한다 해도, 이는 모래알을 삶아 밥을 지으려는 것과 같아 헛된 수고일 뿐이다.
- 〈수심결(修心訣)〉

비근한 비유를 들어 부처의 정의를 설파했다. 무식한 민중도 이를 알아먹을 수 있다.

그 뒤 수선사는 바로 선교일치운동의 본고장이 되었고 당시 불교계에 새바람을 일으키는 본산이 되었다. 지눌은 쉰세 살의 나이에 46년의 법랍(法臘, 정식 승려가 된 후 지낸 세월)을 끝으로 수선사에서 열반했다. 결코 많은 나이를 산 것은 아니었지만 그의 업적은 대단히 컸다. 그가 남긴 것은 현실운동 이외에 앞의 결사문을 비롯해 〈수심결〉, 〈진심직설(眞心直說)〉 등의 글이 모아져 《보조법어》라는 이름으로 전해진다.

그가 열반한 뒤 고려의 불교계는 판도가 완연히 달라졌다. 명리를 쫓던 승려들은 부끄러움을 느껴 타락의 길을 피했고, 선교의 우위싸움은 뚜렷이 조화, 화합의 길을 찾아가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고려의 불교계는 의천의 종지를 받드는 천태종과 보조의 종지를 받드는 조계종으로 양립하게 되었다. 그 뒤 이성계를 도와 조선의 건국에 공헌한 태고화상 보우(普愚)와 무학대사 자초(自超)도 보조국사 지눌의 맥을 이어 조계종의 조사가 되었다.

한편 송광사, 길상사 그리고 수선사는 조선조에 들어와 조계산 송광사로 명명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조선조의 불교는 유교국가의 지향으로 많은 압제를 받아 위축되었다. 이런 마당에서 선교의 대립이 별로 첨예하지 않았다. 승려들 사이에서는 흔히 “선은 부처님의 마음이요, 교는 부처님의 말씀”이라는 말이 유행했는데, 이는 모두 의천과 지눌의 가르침 때문이다. 그리하여 조계종은 16국사가 배출되고 또 조선시대 가장 큰 교단을 유지하며 내려왔다. 조일전쟁 때 구국의 길에 나선 서산대사와 사명대사 역시 조계종 계통이다.

오늘날은 어떤가? 비록 비구, 대처라는 이름 아래 많은 싸움을 벌였고 외래종교로 불교의 교세가 위축되어왔으나 조계종의 도맥은 불교의 중심세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불교계는 보조가 실천한 중생제도의 보살행을 거의 받들지 않고, 일신의 안락과 명리를 추구하는 모습으로 바뀌었고, 선교일치와 화합정신은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싸움질로 세월을 보내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된다. 보조의 참된 정신을 되새겨보아야 할 것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이화 집필자 소개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와 서울대 규장각 등에서 우리 고전을 번역하고 편찬하는 일을 했으며, 서원대, 성심여대 등에서 역사학을 강의했다.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역사잡지 <역사비평&..펼쳐보기

출처

이이화의 인물한국사
이이화의 인물한국사 | 저자이이화 | cp명주니어김영사 도서 소개

역사를 이끈 왕과 신화들, 새 세상을 꿈꾼 개혁가와 의학 및 과학자들, 학문을 꽃피운 사상가와 예술가들, 나라를 위해 몸 바친 독립운동가와 개화기 지식인 등 고대부터 ..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지눌(知訥)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지눌이이화의 인물한국사, 이이화, 주니어김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