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1% 위한
상식백과

피아노

다른 표기 언어 Piano

요약 이탈리아어로 ‘부드럽고-강하게(soft-loud)’라는 의미인 ‘피아노포르테(pianoforte)’의 줄임말이다. 1709년 플로렌스(Florence)의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eo Cristofori)가 발명했다. 오늘날 표준이 되는 피아노는 3개의 페달과 88개의 건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아노를 마스터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음악의 원리와 요소를 익히는 데 있어서는 다른 무엇과도 비길 수 없는 악기이며, 미국에서는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가구가 되었다. 피아노는 18세기 초에 만들어졌지만, 피아노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몇 개의 악기들이 있었다. 먼저, 오늘날의 기타와 비슷한 덜시머(dulcimer)는 해머로 현을 때려서 연주하는 현악기로 고대 중동에서 만들어진 악기이다. 그리고 15세기경의 유럽인들은 피아노와 아주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클라비코드(clavichord)라는 건반 악기를 연주했다. 클라비코드에는 탄젠트(tangent)라는 현을 치는 금속으로 된 날(blade)이 있었다. 건반을 놓을 때까지 탄젠트가 현을 치고 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이를 통해 연주자는 음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었다. 더욱 널리 보급된 것이 하프시코드(harpsichord)인데, 이 악기는 피아노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건반 악기로 14세기에 등장하여 18세기까지 인기를 끌었다. 하프시코드는 플렉트라(plectra)라는 가죽 픽(pick)으로 현을 튕기고, 이 소리가 금속으로 된 공명판에 전달되어 일정한 소리를 얻었다.

18세기 초에는 이탈리아에서 하프시코드(harpsichord)를 제작하고 있던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eo Cristofori)가 ‘피아노와 포르테(여린 음과 강한 음)를 함께 낼 수 있는 쳄발로(arpicembalo che fa il piano e il forte)’라는 것을 발명했다. 그가 개발한 혁신적인 기술의 요점은 연주자가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건반을 힘차게 누르면 더 큰 소리를 낼 수 있었고, 음 하나를 친 다음에는 해머가 바로 뒤로 빠져서 다른 음을 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이로써 연주자가 거의 모든 영역의 음악적인 표현을 구현할 수 있는 건반악기가 탄생한 것이다.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를 지나면서 쳄발로에서 몇 가지를 개량했고, 피아노포르테라고 불리는 새로운 악기가 만들어졌다. 이 악기의 구조적 핵심은 액션이라 부르는 시스템이다. 건반의 기계장치인 액션(action)은 건반을 눌렀을 때, 이 움직임이 현에 전달되어 소리를 내기까지 거쳐야 하는 수천 부분을 포함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를 통해 더욱 완벽하고 풍부한 표현이 가능해졌으며, 당시의 유명한 작곡가들은 모두 이 새로운 악기인 피아노를 위한 곡을 썼다. 가장 유명한 미국의 피아노 제작자이자, 독일 이민자인 헨리 엥겔하르트 스타인웨이(Henry Englehard Steinway, 1797-1871)는 큰 주철 프레임과 베이스 현들을 높은 음역의 현들 위에 매달아 놓은 최고급 피아노를 생산하는 회사를 설립했다.

볼드윈(Baldwin)의 그랜드피아노가 1900년 파리 국제 박람회에서 미국에서 생산된 피아노로서는 최초로 피아노 부분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하게 되자, 미국에서 제작된 악기들은 더 큰 명성을 얻었다. 피아노가 미국에서는 사회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했다. 현악기나 목관 악기를 정확하게 연주하기 위해서는 조율을 위한 기술이 필요하지만, 피아노 건반의 경우에는 연주하는 동안 계속해서 조정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가정에서 쉽게 보유할 수 있는 이상적인 악기였다. 물론 피아노의 현도 펠트로 감싼 해머가 계속해서 두드리기 때문에 가끔씩은 조율이 필요하다. 하지만, 피아노를 소유한 사람이 직접 조율하는 것은 아주 드문 경우이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전문적인 피아노 조율사가 맡아서 처리해준다. 멀티플 플레이어(multiple player)들은 집에서는 싱글 피아노로 교습을 받을 수도 있고, 실력이 얼마나 발전했느냐에 따라 찬송가, 유행가, 그리고 다른 많은 곡들을 연주할 수 있었다.

한동안은 피아노가 어린 소녀들이 배우기에 적당한 악기라고 여겨졌지만, 피아노가 등장한 18세기부터 19세기, 20세기 초까지 피아노의 존재와 피아노 연주는 라디오, TV, 혹은 인터넷과는 다른 즐거움을 제공해 주었다. 많은 가정에서는 아이들이 피아노를 능숙하게 연주할 수 있기를 원했으므로, 수많은 교습법이 쏟아져 나왔다. 예를 들어, 렛코-파머의 방법(Lethko-Palmer Method)은 여전히 알프레드 기초 피아노 교본(Alfted’s Basic Piano Library)시리즈로 출판되고 있다.

해롤드 로즈(Harold Rhodes)라는 사람이 1940년대에 처음으로 ‘전자(electric)’ 피아노를 제작했고, ‘electronified’라고 불렀다. 로즈는 40개의 피아노 스튜디오 체인을 운영하다가,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해 있는 동안에는 동료 군인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쳐 주기도 했다. 그는 미군위문협회(United Service Organization, USO)행사를 위해서 임시변통으로 미완성의 전자 피아노를 조립했다. 이를 계기로 만들어진 악기가 펜더 로즈(Fender Rhodes) 전자 피아노였다. 이 악기는 재즈, 락, 그리고 펑키(funk)를 포함한 20세기 후반 음악의 중요한 일부분이 되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기타
기타(guitar)는 중세의 ‘기턴(gittern)’이라는 4줄로 된 악기를 기본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16세기경에는 스페인 사람들이 오늘날과 같은 현대적인 기타를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초창기의 기타는 몸체가 더 깊고, 허리는 더 가늘었으며, 겹줄도 가지고 있었다. 오늘날과 같은 음조로 조율된 6줄 기타로 정리된 것은 18세기경이었다.

[유사사례]

케네디 센터(Kennedy Center)
1958년 미 의회에서는 공연예술을 위한 국립 센터를 워싱턴 D.C.에 건립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암살당한 케네디(John F. Kennedy) 대통령을 기리는 의미가 담겨 있는 케네디 센터(Kennedy center)는 1971년에야 완공되었다. 케네디 센터는 연방정부가 공연예술을 위한 극장 건립을 위해 재정지원을 실시한 첫 번째 사례로 기록되었으며, 일반인과 정부가 공동으로 관리하는 독특한 시스템을 가진 이 공연예술 센터는 세계적인 명소가 되었다. 건축가 에드워드 뒤렐 스톤(Edward Durrell Stone)이 설계한 하얀 대리석 건물인 케네티 센터는 워터게이트 콤플렉스 인근 포토맥(Potomac) 강변에 자리 잡고 있으며, 1971년 9월 8일에는 개관기념으로 케네디를 애도하는 레너드 번스타인(Leonard Bernstein)의 《미사곡(Mass)》 공연이 있었다.

피아노

ⓒ Morn | CC BY-SA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Copyright ⓒ 2009 National Geographic Society

베탄 패트릭 집필자 소개

<워싱턴 포스트>, <퍼블리셔스>, <디 라이터>, <피플 매거진> 등의 신문과 잡지에 글을 쓰고 있으며, 아이들을 위한 역사책을 쓴 저자이기도 하다...펼쳐보기

존 톤슨 집필자 소개

미국의 방방곳곳을 돌아다니면서 자연과 역사에 관한 자료들을 폭넓게 수집했다. 그는 아내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버지니아의 중심지에 살고 있다. 저서로는 <다코타 족>, <미국 역사..펼쳐보기

출처

1% 위한 상식백과
1% 위한 상식백과 | 저자베탄 패트릭 외 | cp명써네스트 도서 소개

일상생활에서 흔히 넘어갈 수 있는 너무나 사소한 것들의 기원과 역사에 대해서 알아본다. 물건이나 행동, 전통과 관습 등 어떤 발전과 변화를 통해 현재의 모습에 이르게 ..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일반상식

일반상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그랜드 피아노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피아노1% 위한 상식백과, 베탄 패트릭 외, 써네스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