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우리 나무의
세계 1

쉬나무

다른 표기 언어 Korean Euodia , 茱萸 , チョウセンゴシュユ朝鮮吳茱萸
요약 테이블
분류 운향과
학명 Euodia daniellii

옛날 서울 지방의 풍속으로 음력 9월 9일 중양절에는 남산이나 북악산에 올라가 음식을 먹으면서 하루를 즐겁게 놀았다. 이를 등고(登高)각주1) 라고 하는데, 이는 중국의 풍습을 따른 것이다. 전설에 의하면 후한(後漢) 때 앞날을 잘 맞히는 도인 비장방(費長房)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어느 날 환경이란 제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9월 9일 너의 집에 큰 재앙이 있을 것이니, 급히 가서 집안사람들에게 각각 붉은 주머니에 쉬나무 열매를 담아 팔뚝에 걸고 높은 산에 올라가서 국화주를 마시게 하면 재앙을 면할 것이다.” 환경은 그의 말에 따라 온 가족을 거느리고 산에 올라갔다가 저물녘에 내려와 보니, 집에 키우던 가축이 모두 죽어 있었다고 한다. 또 《동사록》각주2) 에 보면 “쉬나무 꽃을 꺾어 머리에 꽂고 재앙의 기운을 물리치고 첫 추위를 막아달라”고 한다는 내용이 나온다. 쉬나무 열매는 이렇게 벽사(辟邪)의 상징성을 비롯하여 약재와 등유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쉬나무란 이름은 수유(茱萸)나무에서 발음이 편한 쉬나무로 변한 것이다. 북한에서는 그대로 수유나무라고 쓴다. 키 10여 미터, 줄기둘레가 한 아름에 이를 수 있는 쉬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마을 근처에 심거나 뒷산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나무다. 서울 남산의 가장 높은 곳인 옛 봉화대 옆에는 한 아름이나 되는 세 그루의 쉬나무가 사이좋게 자라고 있다.

옛 선비들은 집 근처에 쉬나무를 꼭 심었다. 주경야독이란 말이 있듯이 밤에 책을 읽으려면 불을 밝힐 기름은 필수였다. 하지만 석유가 들어오기 전, 등유는 동식물에서 얻을 수밖에 없었다. 유채, 해바라기, 아주까리, 들깨를 비롯하여 목화씨에서 얻는 면실유 등 옛사람들이 이용한 등유는 초본식물에서 흔히 얻었다. 그러나 곡물을 생산해야 할 경작지에 심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쉬나무는 동백나무와 함께 산에 심어서 비교적 손쉽게 기름을 얻을 수 있는 유지(油脂)자원이었다.

꽃은 여름에 피는데, 황록색으로 거의 흰빛에 가깝고 원뿔모양의 꽃차례에 작은 꽃이 무더기로 핀다. 꽃이 피는 기간도 한 달이 넘게 이어지며, 많은 꿀을 가지고 있어서 밀원식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최근 꿀 따기로 유명한 아까시나무가 원인 모를 황화병으로 죽어가고 있어서 대체 수종으로 쉬나무가 거론될 정도다.

가을이 점점 깊어가는 10월경이면 꽃자리마다 잔 콩알만 한 붉은색 쉬나무 열매가 헤아릴 수 없이 많이 열린다. 이것을 수확하여 마당에 놓고 싸리가지로 두들기면 쌀알 굵기의 새까맣고 반질거리는 씨앗이 떨어진다. 30년 이상 된 큰 쉬나무 한 그루에서 15킬로그램이 넘는 씨앗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각주3) 《성호사설》 〈만물문〉에 보면 “호남 지방에서는 들깨 대신 쉬나무 열매로 기름을 짜서 등불을 켰다”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처럼 쉬나무 열매는 등유 재료로 인기품목이었다. 쉬나무 등유는 불이 맑고 밝으며, 그을음이 적어서 책 읽는 공부방에서는 더욱 인기가 높았다.

쉬나무는 암수가 다른 나무이므로 암나무를 심어야만 열매를 얻을 수 있다. 쉬나무는 고목이 되어도 나무껍질이 갈라지지 않고 회갈색으로 매끈하여 다른 나무와 잘 구별된다. 잎은 마주나기로 달리며 새 날개모양의 깃꼴 겹잎으로 7~11개의 달걀 크기만 한 잎으로 이루어진다.

쉬나무 종류는 우리나라에서 원래부터 자라는 쉬나무와 중국 원산의 오수유(吳茱萸)가 있다. 오수유는 쉬나무와 모양새가 거의 같으나 작은 잎의 개수가 약간 많고 잎 뒷면에 털이 있으며, 열매가 둥근 것이 차이점이라고 한다. 《동의보감》에는 쉬나무에 대한 설명은 없고, 오수유(吳茱萸)만 처방이 들어 있다. 쉬나무와 오수유는 서로 매우 닮았으나 약으로 쓸 때는 중국 원산인 오수유만 골라 썼다. 우리나라에는 오직 경주에만 오수유가 있고 다른 곳에는 없다고 하나 꼭 경주에서만 자랄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중부 이남 여기저기에 심어서 약으로 쓴 것으로 보인다. 오수유는 통증과 냉기를 낫게 하는 등 신경계통의 약으로 이용되었고, 열매 이외에 잎과 뿌리도 약으로 쓰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박상진 집필자 소개

평생 나무를 연구한 학자, 서울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일본 교토대학 대학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해인사 팔만대장경판, 무령왕릉 나무 관 등 나무로 만든 문화..펼쳐보기

출처

우리 나무의 세계 1
우리 나무의 세계 1 | 저자박상진 | cp명김영사 도서 소개

나무의 생태학적인 접근을 넘어 인문학적인 관점으로 재조명한다. 우리 민족의 삶이 담긴 역사서 속에서 나무 문화재 대한 향기로운 이야기와 비밀을 알아본다.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쉬나무우리 나무의 세계 1, 박상진, 김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