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아귀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류 아귀과
서식지 서남부 연해, 동해남부 연해, 일본, 중국, 필리핀
출산시기
성격 동물, 물고기, 바닷물고기
유형 동식물
학명 Lophiomus setigerus (VAHL)
분야 과학/동물

요약 아귀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내용

학명은 Lophiomus setigerus (VAHL)이다. 몸이 현저하게 등배 쪽으로 납작[縱扁]하여 넓적하고 머리 폭이 넓다. 입이 아주 크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다. 몸은 부드럽고 비늘이 없으며 많은 피질돌기(皮質突起)가 있다.

등지느러미 제1이극(第一離棘)이 제2이극보다 훨씬 길다. 낚싯대처럼 생긴 이 가시는 먹이생물을 유인하기 위하여 발달된 것으로 보고 있다. 몸빛은 황갈색이고 담색의 반점이 산재한다.

우리 나라 서남부 연해와 동해남부 연해에 분포하고, 또 일본·중국·필리핀 등을 비롯하여 여러 곳에 분포한다. 암초성(巖礁性) 혹은 해조류가 있는 해저에 서식하며 봄에 산란한다.

아귀는 ≪자산어보 玆山魚譜≫에 ‘조사어(釣絲魚), 속명 아구어(餓口魚)’라는 이름으로 실려 있다. 큰 것은 2척 정도이고 모양이 올챙이 같다고 하였고, 또 머리 위에는 두 개의 낚싯대가 있고 그 위에는 낚싯줄이 있으며 그 끝에는 밥알 같은 미끼가 있는데, 낚싯줄과 미끼를 놀려 물고기가 이를 먹으러 달려들면 잡아먹는다고 하였다.

아귀의 뱃속에는 통째로 삼킨 고급어가 들어 있는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아꾸 먹고 가자미 먹고’ 하는 속담이 생겼다. ‘아꾸’는 아귀의 방언이며, 이 속담은 일거양득이라는 뜻이다.

아귀는 맛이 있으며 아귀찜은 별미이다. 살이 맛이 있을 뿐 아니라 내장도 맛이 있어 살보다 낫다고 한다. 현재 주로 안강망·트롤·기선저인망 등으로 잡고 있는데, 어획량은 1988년에 8,172M/T이 1992년에는 7,872M/T, 1997년에는 5,045M/T이 어획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자산어보(玆山魚譜)』
  • ・ 『한국어도보』(정문기, 일지사, 1977)
  • ・ 『해양수산통계연보』(해양수산부, 1998)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