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제처 뉴스레터-새령이가 전하는 법령이야기 2024년 5월 셋째 주
세계 각국의 법령정보를 한눈에 세계법제정보센터 세계와 소통하는 法! 세계로 나아가는 法! - 보다나은 법제처 한국법령정보원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찾기쉬운생활법령정보 세계법제정보센터 페이스북 네이버포스트 블로그 트위터 유튜브
세계법제 뉴스레터
인도, 7월부터 새로운 형사 3법 시행 예정

인도는 기존의 「형법」, 「형사소송법」, 「증거법」 (이하 “형사 3법”으로 표기)을 폐지·대체하고자 2023년 12월 25일 「형법 2023」, 「형사소송법 2023」, 「증거법 2023」을 신규 제정하였다. 2024년 2월 인도 내무부가 고시한 바에 따르면, 신규 제정된 형사 3법은 올해 7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기존 형사 3법 대비 변화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형법의 대대적인 개편
신규 제정된 「형법 2023」은 영국 식민 지배 시대 이래 가장 대대적인 형법 개편으로서, 힌두 국수주의 성향인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이끄는 인도 정부의 식민 지배 잔재 청산 노력의 일환으로도 평가되고 있다. 도주치사(제106조), 조직범죄(제111조), 테러(제113조), 등의 일부 범죄 구성 요건이 신설되었으며, 여성 및 아동을 대상으로 한 범죄에 관한 장(제5장)이 신설되었고, 간통, 선동죄(sedition) 등과 관련된 내용은 삭제되었다.

• 재판 및 범죄 수사의 조속한 처리를 위한 시한 명기
신규 제정된 「형사소송법 2023」에 따르면, 판결 선고는 변론 종결 30일 이내에 이루어져야 하고(제258조), 범죄 수사의 경우에는 수사 개시 90일 이내에 피해자에게 정보를 제공(제193조)해야 하는 등 재판 및 범죄 수사의 처리 시한을 더욱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 법률 제명 표기 언어 변경
기존 「형법」, 「형사소송법」, 「증거법」의 영문본* 제명은 순서대로 각각 「Indian Penal Code」, 「Code of Criminal Procedure」, 「Indian Evidence Act」와 같이 모두 영어로 표기되었으나 신규 형사 3법 영문본의 경우, 본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지만 그 제명은 각각 순서대로 「Bharatiya Nyaya Sanhita, 2023」, 「Bharatiya Nagrik Suraksha Sanhita, 2023」, 「Bharatiya Sakshya Adhiniyam, 2023」와 같이 힌디어를 영문으로 음차하여 표기하였다.
*인도 형법은 연방 공용어인 영어, 힌디어 2개 버전으로 공포한다.

뉴스 바로가기 >
말레이시아 AI 규제 관련 입법동향

말레이시아는 AI 기술의 확산 및 발전과 함께 수반되는 문제에 대응하고자 AI 관련 입법을 진행 및 추진하고 있다. 2024년 4월 3일 상원(Dewan Negara)에서 디지털부 장관의 제3 독회를 거쳐 「2024 사이버보안법」 법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 이 법은 사이버보안 관리를 위한 조치, 표준 및 절차를 정하여 국가 사이버보안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난 3월 총리실 법무 및 제도개혁부 장관은 입법목적에 대하여 인공지능(AI)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대비해 한발 앞서 준비하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또한, 디지털부 장관은 이 법안이 시행됨으로써 정부가 사이버보안 문제를 처리할 때 국가중요정보인프라(Critical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CNII)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CNII는 행정, 금융, 교통, 국방 및 국가안보 분야의 정보를 다루며 사이버공격의 주요 표적이 되는 대상을 포함한다. 더불어, 이 법안은 국가사이버보안위원회를 설치하고 국가차원에서 관리해야 하는 주요정보를 CNII를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한편, 말레이시아 과학기술혁신부는 “2021-2025 AI 로드맵(AI-RAMP)”을 발표하여 AI 기술 발전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이 로드맵은 AI 책임원칙에 따른 AI 생태계 구축을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로드맵은 AI 책임원칙을 일곱 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공정성으로 AI 사용과 발전 측면에서 편견이 개입되지 않아야 한다. 둘째, AI 시스템은 교통, 헬스케어, 금융서비스 등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신뢰를 바탕으로 보안 및 통제가 보장되어야 한다. 셋째, 개인정보보호 및 안정성으로 AI 시스템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한다. 넷째, 포괄성으로 다양한 사회 계층의 능력 함양 도구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투명성으로 AI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의 투명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여섯째, 책임성으로 AI 시스템 설계자는 시스템 작동 원리와 적용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 일곱째, AI는 국민권익 및 행복추구를 목적으로 이를 달성하는 수단이다. 말레이시아의 AI 윤리 관련 규제 법령은 이러한 일곱 가지 책임원칙에 근거해 2024년 연내 제정될 예정이다.

뉴스 바로가기 >

본 이메일 서비스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메일수신을 원치 않는 분께서는 (법제메일링 신청/해지 페이지 에서) 신청해주세요.

법제처 로고

Copyrights(c)1997-2023 Korea Ministry of Goverment Legislation, all rights reserved.
세종특별자치시 도움5로 20, 정부세종청사 법제처 대변인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