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소방연혁

2020년대

2023년

  • 인력변동
    • 충남 소방공무원 정원 : 4,266명
    • 직급별 정원 증감 : 정1, 령7, 경2, 위21, 사△31
  • 기구개편
    • 본부 소방특별조사팀 폐지 및 상황4팀 신설
    • 충청남도 안전체험관 직속기관 분리
    • 홍성소방서 예방안전과 신설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 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5393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 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503호)
  • 충청남도 공무원 정원배정 규정 개정(제1519호)

2022년

  • 인력변동
    • 충남 소방공무원 정원 : 4,099명 → 4,266명(167명 증원)
    • 증원인력 직급별 정원 : 정1, 령8, 경20, 위14, 장25, 교54, 사45
  • 기구개편
    • 본부 회계장비과 신설
    • 본부 119특수구조단 직속기관 분리 및 명칭 변경(→119특수대응단)
    • 공주·보령·논산소방서 예방안전과 신설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 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5218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481호)
  • 충청남도 공무원 정원배정 규정 개정(제1502호)

2021년

  • 인력변동
    • 3,741 → 4,099명(358명 증)(정1, 령12, 경18, 위28, 장53, 교114, 사132)
    • 소방본부 : 8명(특수구조단 5, 상황실 3)
    • 소방서 : 350(진압대 213, 구조대 49, 화재조사 49, 소방특별조사 18, 구급대 9 등)
  • 기구개편
    • 소방본부 구조구급과신설, 특수구조단 내 현장지원팀 신설
    • 소방학교 안전체험관 체험지원팀 · 체험운영팀 신설
    • 천안동남 · 천안서북 · 아산 · 서산 · 당진 예방안전과 신설
    • 천안동남 · 천안서북 · 아산소방서 현장대응단장 3교대 운영
    • 16개 소방서 소방특별조사팀 신설
  • 충청남도 지방공무원 정원배정 규정(제1491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4939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456호)

2020년

  • 인력변동
    • 3,349 → 3,741명(392명 증)(정1, 령7, 경18, 위32, 장59, 교126, 사149)
    • 소방본부 : 19명(안전보건복지 1, 청렴윤리 3, 소방특별조사팀 3, 항공대 2, 상황실 7, 소방안전감사팀 3)
    • 소방서 : 366명(진압대 191, 구조대 49, 지역대 신설 45, 안전센터 신설 14, 현장지휘팀 36 등)
  • 기구개편
    • 소방청렴조사과 신설, 청렴윤리팀 · 소방특별조사팀 · 구급상황관리팀 신설
    • 감사위원회 내 소방안전감사팀 신설
    • 소방서 계룡 · 금산 · 청양소방소 화재대책과 신설
  • 기관신설
    • 공주 정안안전센터 및 천북 · 선장 · 음암 · 벌곡 · 장곡지역대 신설
  • 충청남도 지방공무원 정원배정 규정(제1460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4690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409호)

2010년대

2019년

  • 인력변동
    • 3,006 → 3,349명(343명 증)(령4, 경31, 위27, 장52, 교110, 사119)
    • 소방본부 : 소방행정과 5명, 119광역기동단 기동대원 3명, 종합방재센터 상황실 3명
    • 소방서 : 화재대책과 신설(부여, 서천, 예산, 태안)
    • 소방서 : 현장대응요원 278명, 지역대 30명, 화재조사 및 안전관리요원 20명, 지휘감독요원 4명
  • 충청남도 지방공무원 정원배정 규정(제1453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4506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389호)

2018년

  • 인력변동
    • 2,708 → 3,006명(298명 증) / 계급별 증원현황:경13, 위24, 장44, 교95, 사122
    • 119상황팀 증원 : 6명[상황요원5(장2, 교3), 운항관리사1(교)]
    • 소방항공대 증원 : 6명[조종사3(위), 구조대원3(장2, 교1)]
    • 소방학교 : 직제인수(안전체험관11) 및 증원(교1)
    • 소방서 : 안전센터 신설(5개소 75명), 인력보강(200명)
    • 천안동남 풍세, 천안서북 직산·불당, 아산 장재, 계룡 엄사(75명, 관서별 15명)
    • 119상황팀 증원 : 6명(상황분석 및 구급상황요원, 장3, 교1)
    • 119광역기동단 기동대원 증원 : 7명(위2, 장3, 교2)
    • 소방기동단속반 운영 : 4명(현장예방요원, 위2, 장1, 교1)
    • 소방학교 : 증원[안전체험관 3명(교), 교관 5명(위1, 장2, 교2)
    • 소방서 : 현장대응요원 257명 현장예방요원 16명
  • 충청남도 지방공무원 정원배정 규정(제1433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4366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368호)

2017년 12월 29일

  • 인력변동
    • 2,420명 → 2,708명
    • 세무회계과 1명 증원
    • 119광역기동단 항공대 6명 증원
    • 종합방재센터 상황요원 6명 증원
    • 안전체험관팀 충청소방학교 이관 11명 / 1명 증원
    • 천안동남소방서 풍세119안전센터(풍세면 일원) 15명 증원
    • 천안서북소방서 불당119안전센터(불당동 일원) 15명 증원
    • 천안서북소방서 직산119안전센터(직산면 일원) 15명 증원
    • 아산소방서 장재119안전센터(장재면 일원) 15명 증원
    • 계룡소방서 엄사119안전센터(엄사면 일원) 15명 증원
    • 소방서부족인력증원 : 199명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4308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318호)

2017년 06월 27일

  • 정부조직법 개정안 통과
    • 소방청 출범

2016년 12월 30일

  • 인력변동
    • 2,338명 → 2,420명
    • 소방서 : 센터신설(2개소) / 인력보강(82명)
    • 서산소방서 성연119안전센터 신설(성연면 일원) : 11명 증원
    • 태안소방서 근흥119안전센터 신설(근흥면 일원) : 11명 증원
    • 소방서부족인력 증원 : 60명(특별조사 18, 구급대부족인력 42)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4191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318호)

2016년 6월 30일

  • 인력변동
    • 2,239명 → 2,338명
    • 소방본부 : 인력보강(15명) / 2개팀 신설
    • 안전체험관팀 설치 : 12명 증원
    • 소방특별사법경찰팀 설치 : 2명 증원
    • 소방항공대 : 1명 증원
    • 소방서 : 소방서신설(1개소) / 인력보강(84명)
    • 계룡소방서 개소(계룡시 일원) : 25명 증원
    • 소방서부족인력 증원 : 59명(화재조사4, 구급대 신규배치22, 부족인력33)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4130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287호)

2015년 12월 30일

  • 인력변동
    • 2,197 → 2,239명(령2, 경3, 위5, 장9, 교11, 사12)
    • 소방본부 : 인력 보강(1명) / 2개 팀 신설
    • 소방항공대 설치
    • 소방복합시설추진팀 설치 : 1명(령) 증원
    • 소방서 : 센터 신설(5개소) / 인력 보강(41명) / 팀 명칭 변경
    • 천안서북소방서 입장119안전센터 개소(입장면 일원) : 9명(위1, 장2, 교3, 사3)
    • 보령소방서 주포119안전센터 개소(주포면, 주교면, 청소면 일원) : 7명(위1, 장2, 교2, 사2)
    • 아산소방서 탕정119안전센터 개소(엽치읍, 탕정면 일원) : 11명(위1, 장3, 교4, 사3)
    • 부여소방서 외산119안전센터 개소(외산면, 내산면, 구룡면 일원) : 7명(위1, 장2, 교2, 사2)
    • 태안소방서 원북119안전센터 개소(원북면, 이원면, 소원면 일원) : 7명(위1, 장2, 교2, 사2)
    • 예방안전팀 → 예방교육팀 명칭변경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4067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265호)
  • 충청남도 지방공무원 정원배정 및 분장사무에 관한 규정 개정(제1372호)

2015년 06월 22일

  • 인력변동
    • 2,140 → 2,197명(장11, 교32, 사14) - 119구급대 인력 보강[19개소 57명]
    • 의용소방팀 설치(전 소방서)
    • 방호예방과 → 화재대책과 명칭변경(전 소방서)
    • 현장대응과 직할센터 구조구급센터 → 현장대응단 통합(3과 소방서)
    • 방호팀, 구조구급팀 → 화재구조팀, 구급팀으로 개편(3과 소방서)
    • 방호구조과 직할센터 구조구급센터 → 현장대응단 통합(2과 소방서)
    • 방호구조팀 → 화재구조팀, 구급팀으로 분리(2과 소방서)
    • 소방민원팀 설치(동남, 서북, 아산, 당진소방서 화재대책과)
    • 위험물안전팀 설치(서산소방서 화재대책과)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3995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241호)
  • 충청남도 지방공무원 정원배정 및 분장사무에 관한 규정 개정(제1356호)

2014년

  • 인력변동
    • 증원 및 이체 : 2,088 → 2,140명
    • 52명 증원(청양소방서 20, 당진기지시센터 16, 금산복진센터 16)
    • 직제신설 및 폐지 - 119화학구조대 폐지 : 조례개정으로 인한 조직개편(폐지)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3942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235호)
  • 충청남도 지방공무원 정원배정 및 분장사무에 관한 규정 개정(제1342호)

2013년 09월 25일

  • 보직명칭 변경
    • 각 과 「담당」을 「팀장」으로 변경

2013년 07월 15일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3768호)
    • 직제명칭 변경 : 소방안전본부 → 소방본부 - 재난민방위과 → 자치행정국 이관에 따른 명칭변경

2013년 06월 10일

  • 관서신설
    • 태안소방서 신설 : 22명(정1, 령2, 경7, 위4, 장2, 교3, 사3)
    • 청담안전센터 신설 : 13명(위1, 장3, 교5, 사4)
    • 내포안전센터 증원 : 10명(장1, 교5, 사4)
    • 공주계룡센터 신설 : 14명(위1, 장3, 교6, 사4)
    • 논산계룡구조대 신설 : 10명(위1, 장3, 교3, 사3)
    • 당진 소방정대 신설 : 15명(위1, 장3, 교6, 사5)
    • 본부 방호구조과 현장안전담당 신설 : 3명(령1, 경1, 위1)
    • 본부 방호구조과 대응조사담당 증원 : 1명(경1)
    • 본부 방호구조과 구조구급담당 증원 : 1명(교1)
    • 본부 방호구조과종합방재센터 증원 : 10명(경2, 위3, 장1, 교2, 사2)
    • 당진 현장대응과 신설 : 2명(령1, 위1)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3764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제3195호)

2012년 06월 20일

  • 인력변동
    • 증원 및 이체 : 2,059 → 1,986명
    • 증원 : 40명(태안구조대 7, 연산센터 7, 내포센터 9, 첫마을센터 17) → 지방소방공무원 정원 2,059명 → 2,099명 / 국가직 제외(정16, 소방령53, 경123, 위127, 장314, 교659, 사807)
    • 이체 : 113명(세종특별자치시 출범에 따른 인력이체)
    • 부서별 : 본부 4, 공주소방서 4, 연기소방서 88, 첫마을센터 17
    • 계급별 : 정1, 령2, 경8, 위8, 장19, 교37, 사38 → 지방소방공무원 정원 2,099명 → 1,986명 / 국가직제외 (정15, 소방령51, 경115, 위119, 장295, 교659, 사807)
  • 직제신설 및 폐지
    • 종합방재센터 신설 : 방호구조과 내 종합방재센터를 과단위로 격상
    • 논산 연산센터 신설 : 정원 7명(위1, 장2, 교2, 사2)
  • 계룡센터 벌곡면, 연무센터 양촌면, 반월센터 상월면을 연산센터로 관할구역 조정
    • 홍성 내포센터 신설 : 정원 9명(위1, 장2, 교3, 사3)
  • 옥암센터 홍북면 신경·대동·봉신·상하리, 삽교센터 목·신리 내포센터로 관할구역 조정
    • 태안구조대 신설 : 정원 7명(위1, 장2, 교2, 사2)
    • 119구조구급센터 신설 : 직할센터 내 구급대와 구조대 통폐합
    • 연기소방서 폐지 : 세종특별자치시 신설에 따른 관할구역 조정(폐지)
    • 119지역대 8개소 폐지 : 세종특별자치시 신설에 따른 관할구역 조정 (원리, 동면, 서면, 남면, 금남면, 전동면, 소정면, 장기지역대)
  • 직제조정 : 당진시 승격에 따른 소방서 직제순서 조정
    • 변경전 : 동남·서북·공주·보령·아산·서산·논산·금산·연기·부여·서천·홍성·예산·당진
    • 변경후 : 동남·서북·공주·보령·아산·서산·논산·당진·연기·부여·서천·홍성·예산
  • 직제명칭 변경
    • 도 장비 담당 → 예산장비담당, 방호담당 → 방호기획담당 기획감찰담당 → 감찰지도담당으로 명칭변경
    • 부여 규암지역대 → 역사단지지역대로 명칭변경
  • 사무이관
    • 기획 및 의회관련 사무이관(감찰지도담당 → 소방행정담당)
    • 소방공무원 체력검정 및 안전관리감독 사무이관 (방호기획담당 → 감찰지도담당)
    • 소방공무원 안전관리(감독업무 제외) 사무이관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제3686호)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개정(제3158호)
  • 충청남도 지방공무원 정원배정 및 분장사무에 관한 규정 개정(제1283호)

2011년 11월 10일

  • 충청소방학교 기능직 정원 감축(2명 → 1명)
    • 열관리 9급 1명, 10급 1명 → 10급 1명 감축(기능직의 일반직 전환 및 장기결원에 따른 정원 감축)
  • 충청남도 지방공무원정원 배정 및 분장사무에 관한 규정 개정(훈령 제1275호)

2011년 10월 28일

  • 서북소방서 차암안전센터 개소 : 23명(경1, 위3, 장2, 교4, 사13)
  • 조직명칭변경 : 천안소방서 북부119구조대 → 천안서북소방서 119구조대

2011년 06월 14일

  • 충청소방학교 직제 명칭 변경
    • 서무과(서무분야, 경리과) → 교육지원과(행정지원담당, 예산운영담당)
    • 교학과(교무·교수·지도분야) → 교육기획과(교육기획·교수운영·학생지도분야)
    • 교관단 → 교수운영과(교수능력개발분야, 교육훈련분야)
  • 충청소방학교 공동운영규약 개정

2011년 06월 10일

  • 충청소방학교 직제 명칭 변경
    • 천안서북소방서 및 직할차암119안전센터 설치 (천안소방서→천안동남소방서 관서명칭 변경, 천안서북소방서 신설)
    • 소방직공무원 증원 : 26명(총원 2,061명) (정1, 령3, 경9, 위5, 장3, 교3)
    • 조직명칭변경(천안소방서→천안동남소방서)
  •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 조례(제3124호)

2010년 11월 26일

  • 아산소방서 배방119안전센터 개소(배방읍 일원)
    • 16명(위1, 장7, 교3, 사5)

2000년대

2009년

  • 06월 01일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조례 개정공포(제3419호)
    • 지방공무원 : 168명(1,633명 → 1,801명) . 령2, 경15, 위5, 장26, 교64, 사56
  • 06월 01일 충청남도 행정기구 및 정원운영에 관한조례 시행규칙(제3063호)
    • 아산소방서 및 홍성소방서 대응구조과 신설
    • 천안소방서 북부119구조대 신설
    • 서천소방서 서면 및 당진소방서 신평119안전센터 신설
  • 10월 07일
    • 아산소방서 대응구조과 신설 : 14명(령1, 경2, 위1, 장2, 교5, 사3)
    • 홍성소방서 대응구조과 신설 : 13명(령1, 경2, 위1, 장4, 교3, 사2)
  • 10월 12일
    • 서천소방서 서면119안전센터 개소(서천군 서면 일원) : 13명(위1, 장2, 교5, 사5)
    • 당진소방서 신평119안전센터 개소(신평면, 우강면 일원) : 13명(위1, 장2, 교5, 사5)
  • 11월 23일
    • 천안소방서 북부119구조대 개소 성정1동, 성정2동, 쌍용1-3동, 백석동, 부성동, 성환읍, 성거읍, 직산읍, 입장면 일원 : 13명(위1, 장4, 교8)

2008년

  • 01월 25일 서천소방서 개서(서천군 일원)
    • 80명(정1, 령2, 경5, 위5, 장12, 교26, 사29)
  • 01월 29일
    • 서천소방서119구조대 개소(서천군 일원) : 9명(위1, 장2, 교6)
    • 서천소방서 비인119안전센터 개소(판교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 일원) : 12명(장2, 교2, 사8)
    • 금산소방서 개서(금산군 일원) : 65명(정1, 령2, 경5, 위5, 장8, 교22, 사22)
    • 금산소방서 119구조대 개소(금산군 일원) : 6명(장2, 교3, 사1)
    • 공주소방서 전의119안전센터 개소(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일원) : 11명(위1, 장3, 교7)
    • 논산소방서 반월119안전센터 개소(취암동, 부창동, 광석면, 노성면, 상월면 일원) : 15명(위1, 장2, 교5, 사7)
  • 01월 31일
    • 아산소방서 인주119안전센터 개소(인주면, 영인면 일원) : 10명(위1, 장4, 교4, 사1)
    • 당진소방서 석문119안전센터 개소(석문면, 고대면 일원) : 10명(장3, 교3, 사4)
  • 03월 10일 충청남도 소방표지 규정 제공공포(훈령 제1199호)
    • 적용범위(소방과 관련된 제복, 장비, 시설, 서식, 문서, 책자, 홍보물 등)
  • 07월 01일 충청남도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제3033호)
    • 연기소방서 신설
    • 119구조대(연기소방서, 서산119화학구조대) 신설
    • 119안전센터(동학사, 오천, 부석, 갈산, 오가) 신설
    • 조치원 . 전의119안전센터 명칭 변경(공주소방서 → 연기소방서)
  • 07월 01일 충청남도 지방공무원 정원조례 시행규칙(제3034호)
    • 지방소방공무원 : 146명 (1,487명 → 1,633명) . 정1, 령2, 경5, 위4, 장24, 교60, 사50
  • 07월 07일 예산소방서 오가119안전센터 개소(오가면, 응봉면, 신암면, 대흥면 일원)
    • 11명(위1, 장2, 교5, 사3)
  • 10월 5일 보령소방서 오천119안전센터 개소(오천면, 천북면, 주포면, 청소면 일원)
    • 12명(위1, 장4, 교4, 사3)
  • 12월 11일 홍성소방서 갈산119안전센터 개소(갈산면, 서부면, 구항면 일원)
    • 11명(위1, 장3, 교5, 사2)
  • 12월 26일
    • 연기소방서 개서(연기군 일원) : 63명(정1, 령2, 경5, 위5, 장18, 교22, 사10)
    • 연기소방서 119구조대 개소(연기군 일원) : 7명(위1, 장2, 교2, 사2)
    • 공주소방서 동학사119안전센터 개소(반포면, 계룡면 일원) : 7명(위1, 장6, 교4)
    • 서산소방서 부석119안전센터 개소(부석면, 인지면, 팔봉면 일원) : 14명(위1, 장2, 교6, 사5)
    • 서산소방서 119화학구조대 개소(서산시, 태안군 일원) : 9명(위1, 장2, 교2, 사4)

2007년

  • 01월 10일 충청남도 행정기구 설치조례 개정공포(조례 제3240호)
    • 소방안전본부에 소방행정과, 방호구조과, 재난민방위과로 변경
    • 방호구조과 "종합상황실"을 "종합안전센터"로 변경
    • 재난민방위과에 비상계획분야 추가
  • 12월 20일 충청남도 행정기구 설치조례 개정공포(조례 제3286호)
    • 금산소방서(금산군 일원) · 서천소방서(서천군 일원) 신설
    • 금산소방서 119구조대(금산군 일원) · 서천소방서 119구조대(서천군 일원) 신설
    • 119안전센터(전의, 인주, 반월, 비인, 석문)신설
      • - 공주소방서 전의119안전센터(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일원)
      • - 아산소방서 인주119안전센터(인주면, 영인면 일원)
      • - 논산소방서 반월119안전센터(취암동, 부창동, 광석면, 노성면, 상월면 일원)
      • - 서천소방서 비인119안전센터(판교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 일원)
      • - 당진소방서 석문119안전센터(석문면, 고대면 일원)
  • 12월 20일 충청남도 지방공무원 정원조례 개정공포(조례 제3287호)
    • 지방공무원 : 80명(1,407명→1,487명)

2006년

  • 11월 30일 충청남도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 개정공포(규칙 제2989호)
    • "파출소"를 "119안전센터"로 "출장소, 대기소"를 "119지역대"로 변경
    • 12개 119안전센터 신설 (천안 병천, 공주 신관, 서산 동부, 해미, 논산 연무, 추부, 홍성, 오관, 정산, 예산 덕산, 당진 송악, 부여 홍산, 한산)

2005년

  • 01월 29일 아산소방서 신창파출소 개소
    • 관할 : 온양4~5동, 신창, 도고, 선장면 일원
  • 03월 03일 부여소방서 개서(2003. 11. 26. 관서설치 승인)
    • 백제·사비·장항·서천·임천파출소, 119구조대
  • 03월 17일 천안소방서 쌍용파출소 개소
    • 관할 : 쌍용1~2동, 쌍용3동(불당동), 신용동(신방동)일원
  • 03월 30일 정부인사발령(소방준감 계급 신설) : 소방방재청 혁신인사-1664
    • 본부장 : 소방감 ⇒ 소방준감(계급명칭 변경)
  • 10월 06일 충남도 행정기구설치조례시행규칙 개정공포(규칙 제2946호)
    • 소방본부에 소방행정과(소방행정, 장비, 소방지도, 소방정보통신분야), 방호구조과(방호, 예방, 구조구급, 화재조사, 종합상황실분야), 민방위재난관리과(민방위, 재난관리, 기동점검분야)
      ※ 민방위분야 : 소방행정과 ⇒ 민방위재난관리과로 변경
    • 천안, 공주, 보령, 서산, 논산소방서 3과로 변경, 소방행정과(소방행정, 장비분야), 방호예방과(방호,예방안전분야), 대응구조과(구조구급, 현장대응분야)
    • 아산, 홍성, 예산, 당진, 부여소방서 변경없음(2과) 소방행정과(소방행정, 장비분야), 방호구조과(방호구조, 예방안전, 화재조사분야)

2004년

  • 02월 11일 당진소방서 개서(2002.09.04 관서설치 승인)
  • 08월 30일 충남도 지방공무원 정원조례시행규칙 개정공포
    • 소방사 40명감 ⇒ 소방장 23명증, 소방교 17명증
    • 항공대 교2증, 학교 위3증, 본부 상황실 위3증, 홍성 교3감, 서산, 보령 교 각 1명감
  • 10월 02일 소방공무원 정원승인(행자부) : 62명
    • 정1, 령2, 경5, 위6, 장6, 교13, 사29
    • 부여서35(직할 15포함), 천안쌍용11, 아산신창9, 논산계룡7
  • 10월 13일 소방관서 「현장대응팀」시범운영 : 도 소행-8337(2004. 10. 8.)호
    • 천안, 논산, 예산 시범운영('04.10.13. ~ 11월초)
  • 12월 01일 소방관서 「현장대응팀」확대운영 : 도 소행-9769(2004. 11.24.)호
    • 전 소방관서 확대 시행

2004년 12월 30일

  • 충남도 행정기구설치조례(조례 제3113호) 및 시행규칙(규칙 제2935호) 개정공포
    • 부여소방서(부여군, 서천군 일원) 신설
    • 파출소 신설 및 관할조정(10소방서 / 36파출소 / 11구조대)(천안쌍용, 아산신창, 논산계룡, 부여백제,사비)
  • 충남도 지방공무원정원조례(조례 제3114호) 및 시행규칙(규칙 제2936호) 개정공포
    • 지방소방공무원 62명 증원(1,345명 → 1,407명)

2003년

  • 09월 29일 소방공무원 정원승인(행정자치부) : 85명
    • 도 소방행정과 2명, 예산소방서 29명, 당진소방서 29명
    • 소방서 화재조사담당 7명(7소방서)
    • 논산소방서 부여구조대, 홍성소방서 청양구조대 각 9명
  • 10월 20일 충남도 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공포(조례 제3067호)
    • 예산소방서(예산군 일원), 당진소방서(당진군 일원) 신설
  • 10월 20일 충남도 지방공무원정원조례 개정공포(조례 제3068호)
    • 지방소방공무원 정원 85명 증원(1,260명 → 1,345명)
  • 10월 20일 충남도 행정기구설치조례시행규칙 개정공포(규칙 제2912호)
    • 소방서 화재조사담당 및 부여, 청양119구조대 신설
  • 11월 26일 충남도 부여소방서 설치승인(행정자치부 소방행정과-1751)
  • 12월 20일 예산소방서 개서(2002.09.04 관서설치 승인)
    • 소방서 화재조사담당 신설
    • 부여, 청양119구조대 신설

2002년

  • 01월 08일 소방공무원 정원승인(행자부) : 88명
    • 홍성소방서 : 56명
    • 보령 웅천파출소 16명 / 서산 안면파출소 16명
  • 02월 20일 충청남도지방공무원정원조례개정공포(규칙 제 2974호)
    • 지방소방공무원 88명 증원(1,172명 → 1,260명)
  • 02월 20일 충남도 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공포(규칙 제2975호)
    • 홍성소방서 신설(청양군, 홍성군일원)
  • 03월 30일 충청남도행정기구설치조례시행규칙 개정공포(규칙 제2873호)
    • 소방지도분야(의무소방원 업무신설)
    • 소방정보통신분야 신설(안전관리과 업무 소방행정과로 변경)
    • 도 안전관리과에 화재조사분야 신설
    • 홍성소방서 관할구역 확정(홍성 · 청양 · 광천 · 119구조대)
  • 04월 10일 웅천(보령), 안면(서산)파출소 개소
    • 웅천파출소(보령시 웅천읍 - 웅천읍, 주산면, 성주면, 미산면)
    • 안면파출소(안면읍 승언리 - 안면읍, 남 면, 고남면)
  • 04월 15일 홍성소방서 개서 (2001. 7. 4 관서설치 승인)
    • 보령소방서 관할구역조정 : 죽정·장항·신흑·웅천파출소
    • 홍성소방서 관할구역조정 : 홍성·청양·광천파출소
  • 09월 04일 예산, 당진소방서 설치승인(행정자치부 소행13800-446)

2000년

  • 01월 20일 충남도 지방공무원정원조례시행규칙 개정공포(규칙 제2790호)
    • 총인원 8명(조종사 2, 정비사 2, 구조대원 2/소방학교 2)
    • 소방직 1명 소방서 ⇒ 소방학교(지방소방공무원 : 1,112명 → 1,120명)
      ※ 소방항공대 발대
  • 06월 15일 소방공무원 정원승인(행자부) : 52명
    • 소방장10, 소방교31, 소방사11
  • 07월 04일충남도 홍성소방서 설치승인(소방13800-328, 행정자치부)
  • 07월 28일 충남도 지방공무원정원조례시행규칙 개정공포
    • 총인원 52명(지방소방공무원 : 1,120명 → 1,172명)
  • 07월 31일 충청남도행정기구설치조례시행규칙 개정공포(규칙 제2814호)
    • 안전점검분야를 기동점검분야로 명칭변경
  • 07월 31일 충청남도지방공무원정원조례시행규칙 개정공포(규칙 제2815호)
    • 소방직 5명 소방서 ⇒ 안전관리과(22명 → 27명)
    • 안전관리과 일반직 3명 감축(20명 → 17명)

1990년대

1999년

  • 04월 10일 충남도 행정조직조례 개정공포(조례 제2769호)
    • 충청남도소방학교를 충청소방학교로 명칭변경
  • 12월 30일 충청남도종합상황실운영규정 공포(훈령 제1079호)
    • 총인원 10명(담당 2, 직원 8)
    • 1일 근무인원(5급 1, 소방위 1, 6급 1, 전통6급 1, 8급 1)
  • 12월 30일 충남도 지방공무원 정원조례 개정공포(조례 제2814호)
    • 총인원 8명 증원(소방항공대 조종사2, 정비사2, 구조대원2, 소방학교 2 / 1,112명 → 1,120명)

1998년

  • 03월 30일(1998.5.15) 충청남도소방서직제규칙중 개정규칙 공포(규칙 제2704호)
    • 천안소방서 성거파출소 이전 개소(동부 ⇒ 성거파출소)
  • 08월 16일 충청남도정원조례 시행규칙 개정 공포(규칙 제2770호)
    • 소방행정과(소방행정, 장비, 소방지도, 민방위)
    • 안전관리과(방호, 예방, 구조구급, 재난관리, 안전점검, 종합상황실)
  • 08월 16일 충남도 지방공무원정원조례시행규칙 개정 공포(규칙 제2771호)
    • 소방행정과(민방위분야) 일반직 14명 증원
    • 안전관리과 일반직 3명 감원(23명 ⇒ 20명)
  • 09월 05일 충청남도 행정조직 조례 및 시행규칙 공포(조례 제2725호, 규칙 제2720호)
    • 구조조정 : 소방본부 ⇒ 소방안전본부
    • 소방행정과(소방행정계·소방감찰계·장비계 ⇒ 소방행정 분야·장비분야· 소방교육지도분야), 방호과(방호계·예방계·소방교육계)를 방호구조과로 개칭(방호분야·예방분야·구조구급분야), 구조구급과 폐지, 재난관리과(재난관리분야·안전점검분야·재난종합상황실분야) 통합
  • 09월 05일 충청남도정원조례 시행규칙 개정 공포(규칙 제2719호)
    • 인원감축 : 102명(소방직 91, 기능직 11)
    • 감사실에 지방소방경 1명 증원
    • 재난관리과 26명(일반직25, 기능직1) 소방안전본부로 변경
    • 재난관리과 재난종합상황실에 지방소방위 3명 증원
  • 12월 21일 충남도 행정조직조례 시행규칙 개정공포(규칙 제2729호)
    • 소방교육분야를 소방교육지원분야로 명칭변경
  • 12월 21일 충남도 행정조직조례 시행규칙 개정공포(규칙 제2728호)
    • 재난관리과 일반직 2명 감축(25명⇒23명)

1997년

  • 05월 10일 충청남도 정원조례 시행규칙 공포(규칙 제2662호)
    • 근속 및 특진자 정원조정(장4 ⇒ 교, 본부·천안·공주·아산)
  • 06월 16일 논산소방서 등 정원승인(내무부) : 48명
    • 논산소방서 : 18명(정1, 령2, 경5, 위2, 장4, 교4)
    • 삽교파출소 : 9명(위1, 장2, 교4, 사2)
    • 연무파출소 : 9명(위1, 장2, 교4, 사2)
    • 소방항공대 : 8명(경1, 위1, 장4, 교2)
    • 장비운용인력(고가차, 화학차) : 4명(교2, 사2)
  • 08월 20일 충청남도정원조례중개정조례 공포 : 43명
    • 논산소방서 : 14명(정1, 령1, 경4, 위2, 장6, 교2, 사△2)
    • 삽교파출소 : 11명(위1, 장2, 교4, 사4)
    • 소방항공대 : 8명(경1, 위1, 장4, 교2)
    • 장비운용인력 : 10명(교)
  • 08월 30일 충청남도 정원조례시행규칙중개정규칙 공포
  • 09월 30일 충청남도소방서설치조례중개정조례 공포(조례 제2672호)
    • 논산소방서 설치
  • 10월 30일 충청남도 소방서 직제규칙 중 개정규칙 공포(규칙 제2685호)
    • 공주소방서 구조구급과 폐지(구조구급계 신설)
    • 삽교파출소 설치
  • 12월 15일 논산소방서 개서(1994. 6.30 관서설치 승인)
  • 12월 15일 삽교파출소 개소
  • 12월 30일 충청남도 정원조례 시행규칙 개정 공포(규칙 제2694호)
    • 소방학교 기능직(난방원) 직급상향조정(10등급 ⇒ 9등급) 2명

1996년

  • 02월 10일 충청남도정원조례시행규칙 개정(규칙 제2589호)
    • 기능직 ⇒ 소방직으로 전환(73명)
  • 02월 10일 소방차량(11대) 운전인력 22명(교9, 사13)증원
  • 02월 10일 충청남도 소방서 직제규칙 중 개정규칙 공포
    • 아산소방서 직급상향조정(과장 : 경 ⇒ 령, 계장 : 위 또는 경 ⇒ 경)
  • 05월 30일 충청남도 정원조례 및 시행규칙 공포(소방차량등 운전인력 9명)
  • 07월 30일 충청남도정원조례시행규칙 공포
    • 근속승진에 따른 정원조정(사 ⇒ 교1, 교 ⇒ 장1)
  • 07월 30일 119구조 구급인력 정원승인(내무부)
    • 구조대 : 6개대 42명(위5, 장5, 교16, 사16)
    • 구급대 : 20개대 40명(교20, 사20)
  • 09월 03일 공주소방서 연무파출소, 아산소방서 삽교파출소 설치 승인
  • 09월 30일 충청남도 정원조례 공포(86명)
    • 구조대 : 42명(신설5대 × 8명, 보강2명)
    • 구급대 : 40명(20대 × 2명)
    • 산악구조 굴삭기 조작인원 : 4명
  • 11월 01일 충청남도정원조례 시행규칙공포

1995년

  • 01월 01일 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에따른행정특례등에관한법률에 의거 대천시·보령군 (보령시), 온양시·아산군(아산시)의 명칭변경으로 해당 시 소재 소방서 명칭 변경
    • 대천소방서 ⇒ 보령소방서, 온양소방서 ⇒ 아산소방서
  • 03월 15일 소방서설치에관한조례 및 직제규칙 공포(각 소방서에서 도 전역 관할) (조례 제2474호, 규칙 제2517호 / '95. 1. 1.부터 적용)
    • 소방학교설치조례 개정 및 직제규칙 공포(조례 제2478호, 규칙 제2514호)
    • 소방학교장을 국비 소방정으로, 하부조직을 규칙으로 정함
  • 04월 07일 천안소방서 성환파출소 개소
  • 05월 01일소방관서 직급 상향조정 및 정원증원(규칙 제2525호)
    • 정4, 령5, 경12, 위△12, 사△8
    • 본부 기능직(사무보조) 1명 / 장비관리 인력 2대 4명 증원
  • 05월 23일 소방관서 설치승인(파출소3, 구조대7)
    • 파출소 : 서천, 강경, 합덕
    • 구조대 : 소방서(논산 포함 6), 대산(특수재해구조 1)
  • 06월 08일 공주소방서 임천파출소 개소
  • 06월 15일 보령소방서 광천파출소 개소
  • 06월 20일 소방본부 기능직 사무보조원 1명 증원, 장비관리 인력 1대 4명 증원
  • 09월 16일 장비관리 인력 9대 16명 증원
  • 10월 02일 소방파출소 정원승인(35명)
    • 공주소방서 내동파출소(논산) 2, 강경파출소 11
    • 보령소방서 서천파출소 11 / 서산소방서 합덕파출소 11
  • 11월 25일 충남도 정원조례 및 시행규칙 공포(소방파출소 정원35명)
  • 12월 05일 서산소방서 합덕파출소 개소
  • 12월 08일 보령소방서 서천파출소 개소
  • 12월 15일 공주소방서 강경파출소 개소

1994년

  • 02월 28일 장비관리 인력승인(장비 2대에 따른 인원 4명 증원)
  • 03월 26일 장비관리 인력승인(장비 2대에 따른 인원 3명 증원)
  • 04월 01일 정원승인(대천소방서 청양파출소 10명, 온양소방서 둔포파출소 11명, 서산소방서 태안파출소 10명 증원)
  • 04월 11일 정원승인 31명(청양파출소10, 둔포파출소11, 태안파출소10)
  • 04월 20일 소방본부 일반행정직 1명(행정주사) 감원
  • 05월 10일 대천소방서 청양파출소 및 온양소방서 둔포파출소 개소
  • 05월 24일 장비관리 인력승인(장비 5대에 따른 인원 8명)
  • 05월 25일 서산소방서 태안파출소 개소
  • 06월 28일 정원 승인(33명)
    • 천안소방서 성환파출소 11명(위1, 장2, 교4, 사4)
    • 공주소방서 임천파출소 11명(위1, 장2, 교4, 사4)
    • 대천소방서 광천파출소 11명(위1, 장2, 교4, 사4)
  • 06월 30일 논산소방서 설치 승인
  • 07월 08일 소방학교 정원 증원 3명(위1, 교2)
  • 07월 27일 정원승인 33명 - 충남도 정원규칙 개정 : 천안 성환, 공주 임천, 대천 광천
  • 11월 15일 장비관리 인력승인(4명) ⇒ 교2, 사2 : 공주소방서(굴절차 1대)
  • 12월 01일 정원조정 및 승인(규칙 제2483호)
    • 기능직공무원 소방공무원(지방소방사)으로 조정승인 : 112명
  • 12월 31일 정원조정(규칙 제2491호)
    • 국가직 소방공무원 66명 지방직 소방공무원으로 조정 구조,구급업무 담당부서 신설에 따른 충남도 직제규칙 및 충남도 담당관실과규칙 개정 및 정원증원(규칙 제2492, 2493호) : 25명
    • 소방본부 1과 2계 7명 / 천안소방서 1계 3명
    • 공주소방서 1과 2계 6명 / 보령소방서 1계 3명
    • 아산소방서 1계 3명 / 서산소방서 1계 3명

1993년

  • 03월 27일 장비관리 인력승인(장비 34대에 따른 인원 58명 증원)
  • 06월 10일 충남소방학교 인원증원 : 16명(기존10명) ⇒ 26명
  • 07월 08일 충남소방학교 청사준공 : 3/1층, 3,680㎡
  • 07월 20일 충남소방학교 개교
  • 07월 28일 장비관리 인력승인(장비 4대에 따른 인원 9명 증원)
  • 10월 27일 장비관리 인력승인(장비 8대에 따른 인력 22명 증원)
  • 12월 01일 관서설치 승인 : 천안소방서 성환파출소, 공주소방서 임천파출소, 대천소방서 광천파출소
  • 12월 09일 장비관리 인력승인(장비 1대에 따른 인원 1명 증원)
  • 12월 22일 장비관리 인력승인(장비 1대에 따른 인원 1명 증원)

1992년

  • 01월 15일 소방서 직제폐지 및 소방서 관할구역 조정(규칙 제2210호)
    • 소방업무도 이관에 따른 후속조치(90. 1. 1 소급시행)
  • 01월 15일 소방공무원 발령권자 변경 : 시장·군수 ⇒ 도지사(494명)
    • 군 소방계 폐지(규칙 제2209호)
  • 02월 14일 충남도 소방학교설치준비단 발족(10명)
  • 04월 08일 충남도 직제규칙개정(규칙 제2224호)
    • 민방위국 소방과에서 소방본부로(소방행정과, 방호과)
  • 04월 10일 충남도 소방본부 발족(2과 6계) : 정원승인 15명
  • 07월 18일 장비관리 인력승인(장비 35대에 따른 인원 88명 증원)
  • 07월 30일 대천소방서 신흑파출소 개소 ('91. 5.26 관서설치승인, '92. 7.18 정원승인 15명)
  • 08월 01일 관서설치 승인 : 대천소방서 청양파출소, 온양소방서 둔포파출소, 서산소방서 태안파출소
  • 08월 20일 공주소방서 금산파출소 개소 ('89. 4. 6 관서 설치승인, '92. 7.18 정원승인 5명)
  • 09월 04일 서산소방서 대산파출소 개소 ('91. 5.26 관서설치승인, '92. 7.18. 정원승인 8명)
  • 10월 07일 장비관리 인력승인(장비 1대에 따른 인원 1명 증원)

1991년

  • 06월 15일 대천소방서 방항파출소 개소 ('90. 5.17 관서설치승인, '91.5.11 정원승인 5명)
  • 07월 05일 충청남도소방학교설치조례공포(조례 제2171호)
  • 07월 12일 천안소방서 두정파출소 개소 ('90. 5.17 관서설치승인, '91. 5.11 정원승인 13명)
  • 10월 04일 도 소방감찰계 설치(지방소방령 1명 증원)
  • 12월 14일 소방법 개정(법률 제4419호)
  • 12월 14일 소방업무 관장책임(시장,군수 ⇒ 도지사) 변경
  • 12월 28일 충남도 직제규칙 공포(지방학교설치준비단)

1990년

  • 02월 27일 서산파출소명칭 변경(서산⇒예천파출소)
  • 03월 16일 공주소방서 부여파출소 개소 ('89. 4. 6 관서설치승인, '90. 2.19 정원승인 6명)
  • 03월 16일 서산소방서 개서('89. 4. 6 관서설치 승인)
  • 03월 16일 서산소방서 예천파출소 병설('90. 2.19 정원승인 5명)
  • 03월 27일 공주소방서 조치원파출소 개소 ('88. 3. 2 관서설치승인, '90. 2.19 정원승인 5명)
  • 04월 06일 서산소방서 당진파출소 개소 ('89. 4. 6 관서설치승인, '90. 2.19 정원승인 4명)
  • 04월 31일 온양소방서 예산파출소 개소 ('88. 3. 2 관서설치승인, '90. 2.19 정원승인 6명)
  • 05월 29일 대천소방서 홍성파출소 개소 ('88. 3. 2 관서설치승인, '90.2.19. 정원승인 6명)
  • 09월 04일 소방감찰요원 및 소방검사요원 증원(28명)
    • 감찰요원(위·장) 2명, 소방검사요원(사) 10명 증원
    • 郡 소방계 설치 및 12명(위,교) 증원(논산·태안·예산·홍성·부여·서천군 : 6군)
    • 소방민원담당 보강(당진·아산·천안·서산군) : 4명(교)증원

1990년대 이전

1989년

  • 01월 28일 대천소방서 서산파출소 개소 ('88. 3. 2 관서설치승인, '87.12.31 정원승인 8명)
  • 01월 31일 온양소방서 개서('88. 3. 2 관서설치 승인)
  • 05월 06일 공주소방서 논산파출소 개소 ('88. 3. 2 관서설치승인, '88.12.31 정원승인 13명)

1987년

  • 08월 10일 천안소방서 독립기념관파출소 개소 ('87. 4.21 관서설치 승인, '87. 6. 8 정원승인 13명)
  • 11월 26일 대천소방서 개서('87. 4.21 관서설치승인)
  • 11월 26일 대천소방서 죽정파출소 개소 ('87.11.11 관서설치승인, '87.11.14 정원승인 13명)

1986년

  • 12월 22일 공주소방서 유구파출소 개소('86.12.10 정원승인 8명)

1985년

  • 10월 31일 천안소방서 서부파출소 개소(정원승인 13명)
  • 12월 13일 공주소방서 개서(1985.12. 1 관서설치 승인)
  • 12월 13일 공주소방서 교동파출소 병설

1983년

  • 09월 30일 천안소방서 동부·온양파출소 개소 - 정원 : 동부파출소 13명, 온양파출소 11명

1982년

  • 12월 01일 15개군 소방공무원 1명(교) 배치
  • 12월 01일 금산·대덕·연기·공주·논산·부여·서천·보령·청양·홍성·예산·서산·당진·아산·천원군 천안시 소방계 폐지 ⇒ 천안소방서로 업무인계

1975년

  • 09월 01일 정부조직법 개정(법률 제2792호, 1975. 7. 23.)
  • 09월 01일 내무부 직제 개정(대통령령 제7767호, 1975. 8. 26.)
    • 내무부에 민방위본부, 도에 민방위국 신설(민방위과, 소방과)

1970년

  • 05월 13일 천안소방서 개서(1970. 3. 12. 관서설치 승인)
  • 06월 10일 천안소방서 오룡파출소 개소

1950년

  • 05월 27일 시·도 소방서의 명칭,위치,관할구역 조정(대통령령 제361호)
    • 대전소방서는 존치, 천안, 공주, 조치원, 논산소방서 폐지

1948년

  • 11월 04일 소방청 폐지(대통령령 제18호)
    • 소방업무를 경찰분야 치안국내 소방과에서 분장

1947년

  • 04월 18일 도에 소방청(소방과, 예방과) 설치 소방업무 담당
    • 대전, 천안, 공주, 조치원, 논산에 소방서 설치

1946년

  • 04월 10일 군정법령(제66호)에 의거 소방분야를 경찰분야에서 분리
    • 도에 소방위원회 설치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에 대한 의견을 올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