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전동킥보드 충전 시 화재 주의…여름에 최다 발생

최근 5년 동안 467건 발생…전체 대비 57.2% 충전 중에

주거시설 발생 가장 많아…온도 높은 장소에 장기간 보관 금지

2024.06.12 소방청
인쇄 목록

전동킥보드 화재가 여름철(6월~8월) 175건, 가을철 118건, 봄철 99건, 겨울철 75건 순으로 특히 여름철이 겨울철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청은 이같은 내용의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화재통계를 공개하며 전동킥보드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생한 전동킥보드 화재는 총 467건으로 해마다 증가추세에 있는데, 2023년에는 2019년과 비교해 약 2.5배 증가한 114건의 화재가 발생해 2명이 숨지고 28명이 다쳤다. 

경북 경산시 대학로 지하철역 인근 공유형 전동킥보드 대여소에 킥보드가 여러 대 세워져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경북 경산시 대학로 지하철역 인근 공유형 전동킥보드 대여소에 킥보드가 여러 대 세워져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전동킥보드 화재 발생 장소별로는 먼저 주거시설(49.7%)이 가장 많았는데, 그 중에서도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가 179건으로 최근 5년 발생한 전동킥보드 화재의 3건 중 1건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 요인별로는 과부하, 과전류, 절연열화 등 전기적 요인이 226건(48.4%)으로 가장 많았고 과열, 자동제어실패 등 기계적 요인이 122건(26.1%), 화학적 요인 45건(9.6%), 부주의 26건(5.6%) 순이었다. 

특히 전동킥보드 화재의 절반 이상이 충전 중 발생했는데 이는 지난 5년 동안 전동킥보드 화재 467건 중 267건으로 57.2%를 차지했다. 

이에 지난해 1월 2명이 숨지고 전 세대가 불탄 울산광역시 공동주택 화재와 지난해 5월 11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경상북도 김천시 공동주택 화재 모두 전동킥보드를 충전하던 중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전동킥보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KC 인증 등 안전이 인증된 제품 사용 ▲온도가 높은 장소에서 장기간 보관 금지 ▲충전 완료 시 전원 코드 뽑기 ▲출력 상승 등을 위한 임의 개조 금지 등을 지켜야 한다.

아울러 전동킥보드 배터리 화재는 화재가 급격히 진행되기 때문에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출입구나 비상구에서 충전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계절별 전동킥보드 화재 현황(위) 및 장소별 전동킥보드 화재 현황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
계절별 전동킥보드 화재 현황(위) 및 장소별 전동킥보드 화재 현황(아래)

최홍영 소방청 화재대응조사과장은 “전동킥보드 이용자가 많아지며 화재 건수와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전동킥보드를 충전하는 동안 다른 일을 하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인지가 늦어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주거시설 내에서 전동킥보드를 충전하는 경우 화재 발생 때 즉각적인 조치나 대피가 가능할 수 있도록 잘 볼 수 있는 곳에 두고 충전하는 등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문의 : 소방청 화재대응조사과(044-205-7475)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