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펩트론, 기술이전 계약 전 자금조달 가능성은
  • 등록 2024-07-03 오전 9:10:51
  • 수정 2024-07-03 오전 9:10:51
이 기사는 2024년7월3일 9시10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구독하기
[이데일리 석지헌 기자] 펩타이드 기반 신약 개발사 펩트론(087010)이 비만 치료제 기술이전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현금 고갈에 따른 자금 조달 가능성에 관심이 모인다. 올해 초 보유한 땅까지 매각했음에도 수익 구조 개선이 여전히 시급한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최호일 펩트론 대표.(제공= 펩트론)
현금 고갈에 재무안전성 ‘빨간불’

2일 업계에 따르면 1분기 말 기준 펩트론의 현금성 자산과 단기금융상품을 합친 금액은 약 25억원이다. 여기에 회사가 지난 1월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보유한 땅을 매각한 자금 약 76억원이 반영된다고 가정하면 실질적인 현금성 자산은 101억원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하지만 회사가 1년 내 갚아야 하는 유동 차입금(약 45억원)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현금 자산은 56억원 규모에 불과하다. 45억원의 장기 차입금도 있다. 최근 3년 간 회사가 지출한 판매관리비를 보면 해마다 평균 약 186억원 가량을 지출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으로도 판관비로 약 41억원이 지출됐다. 이러한 재무 상황을 고려하면 사실상 자금조달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분석된다.

영업적자도 지속되고 있으며 매출액은 최근 3년 간 감소세다. 매출은 2021년 66억원에서 2022년 58억원, 지난해 33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앞서 펩트론은 지난해 3월 누적 결손금을 모두 털어내는 결손보전을 단행하며 한차례 재무구조 개선에 나선 바 있다. 회사는 2022년 4분기 주식발행초과금 1171억원을 감액해 결손금 전액(908억원)을 보전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영업적자로 인한 순손실이 지속되면서 잉여금이 다시 결손으로 돌아설 위기라는 분석이다. 실제 올해 1분기 회사의 이익잉여금은 약 8억6000만원인 상황. 잉여금 누적을 위해선 수익 구조 개선이 시급한 상황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시장에서는 한때 펩트론이 전환우선주(CPS)를 발행한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100억원 규모로 알려졌으며, 주관사까지 선정됐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결국 주가가 크게 올라 중단됐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한 IB(투자은행) 업계 관계자는 “펩트론 측에서 대전 내 바이오 기업 대표들에게 투자 참여를 제안했다는 말을 들었다”며 “그런데 당시 주가가 너무 올라서 CPS 발행은 결국 취소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달 3일까지만 해도 3만7250원(종가기준)이던 펩트론 주가는 이날 종가 기준 6만2400원으로 한 달 만에 67.5% 상승했다. 시장에서는 CPS 발행이 현재 펩트론이 진행 중인 기술이전 계약과 높은 연관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돼 주가 상승을 부추긴 요인으로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왔다.

약 1년 간 논의 중… 조만간 결론?

펩트론은 지난해 8월 글로벌 빅파마 A사와 스마트데포 기반 비만·당뇨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물질이전계약(MTA)을 체결, 기술이전 계약을 진행하고 있다. 최종 계약을 체결 시, 두 회사는 월 1회 제형의 비만치료제 개발에 협업할 가능성이 높다. 시장에서는 펩트론이 특허로 보유하고 있는 월 1회 비만치료제 투약 기술이 충분히 실현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1년 가까이 긴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조만간 결론이 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해당 A사와 기술이전 성사에 따른 계약금을 수령할 경우 추가적인 자금 수혈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펩트론의 스마트데포는 반감기가 짧아 자주 주사하는 펩타이드(아미노산 화합물) 약물을 현재 주 1회 주사보다 투여 주기를 늘릴 수 있는 기술이다. 주로 수술용 생분해성 실로 쓰이는 PLGA를 구형(미세구체)으로 만들어 약물전달체로 사용한다. 이 생분해성 물질이 시간이 지나 분해되면서 이 물질에 섞여있던 약물이 방출되는 식이다. 이 미세구체의 원료와 함량에 따라 1개월 제형, 3개월 제형, 6개월 제형 등의 약을 자유롭게 만들어낼 수 있다.

현재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는 비만 신약이 최대 화두로 떠오르면서 빅파마들이 앞다퉈 개발에 나선 상황이다. 관련해 펩트론의 스마트데포와 같이 약효 지속 시간을 늘려주는 ‘장기 지속형 플랫폼’도 덩달아 주목받고 있다.

이데일리는 펩트론에 현재 재무 상황과 자금조달 가능성 등을 물었으나 회사 측은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팜투자지수

팜투자지수는 유료 구독자에게만 제공됩니다.

구독하기

마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필요하다

134명( 82% )

불필요하다

29명( 17% )

저작권자 © 팜이데일리 - 기사 무단전재, 재배포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