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통계로 보는 채용 인사이드

취업의 모든 것 채용트렌드 통계로 보는 채용 인사이드

2024년 03호

중장기(2022~2032)
우리 노동시장의 흐름은?

2032년까지 추가 필요인력 ‘89만 명’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 3월 '중장기(2022~2032년) 인력 수급 전망 및 추가 필요인력 전망'을 발표했습니다.

본 전망은 산업별 성장률 전망을 이용한 산업·직업별 수요 전망과 개인의 생애 사건 발생(취업, 결혼, 출산, 은퇴 등) 확률 모형(KEISIM모형)을 이용한 공급 전망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저출산·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의 경우, 가파른 인구 감소로 인해 향후 노동력 부족 문제가 초래될 수도 있는 상황인데요.

2032년까지, 자세한 우리 노동시장의 흐름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필요한 추가 인력의 전망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중장기(2022~2032년) 인력 공급 전망 15세 이상 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추이로 상세내용 하단 참고. 단위: 천명
15세 이상 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추이로 연도별 생산가능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항목으로 구성
연도 12년 17년 22년 27년p 32년p
생산가능인구 41,857 43,930 45,260 45,824 46,329
경제활동인구 25,781 27,748 28,922 29,485 29,238
15~64세 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추이로 상세내용 하단 참고. 단위: 천명
15~64세 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추이로 연도별 생산가능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항목으로 구성
연도 12년 17년 22년 27년p 32년p
생산가능인구 36,090 36,859 36,233 34,221 32,448
경제활동인구 24,011 25,520 25,556 24,899 23,853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단위: 천명)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32년까지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1)는 31만 6천 명 증가하겠으나, 2027년 2천 948만 5천 명을 정점으로 2028년부터는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15~64세 경제활동인구는 2022년부터 2032년까지 170만 3천 명이 감소하고, 6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201만 9천 명 늘어나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18.4%를 차지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성별로는 남성과 여성의 경제활동인구가 2027년을 정점으로 모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저출산ㆍ고령화의 영향으로 청년과 중년층의 인구는 감소하고 장년층과 고령층의 인구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1)만 15세 이상 인구 중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거나 취업을 하기 위하여 구직 활동 중에 있는 사람

중장기(2022~2032년) 인력 수요 전망 취업자는 2000년도 21,173천 명에서 22년도 28,089천 명으로 증가, 32년까지 28,398천 명으로 전망함. 취업자 수는 22년도 816천명, 27년도 100천명 증가 할 전망이나 28년부터 32년까지는 -144천 명으로 감소할 전망을 나타냄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단위: 천명)

15세 이상 취업자는 2022년부터 2032년까지 130만 9천 명이 증가하나 2028년부터 감소로 전환될 전망이며, 15세 이상 고용률은 2022년(62.1%) 대비 2032년(61.3%)에는 0.8%P 감소할 전망입니다.

이는 인력 공급의 제약이 수요에 영향을 미쳐 취업자 수와 고용률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2022~2032 업종별, 직업별 증가/감소 전망으로 상세내용 하단 참고
2022~2032 업종별 증가/감소 전망
서비스업 66만 9천 증가
농림어업 -9만 4천 감소, 건설업 -12만 6천 감소, 제조업 -14만 5천 감소
2022~2032 직업별 증가/감소 전망
전문가 52만 2천 증가, 서비스직 50만 2천 증가
판매직 -32만 2천 감소, 장치/기계조작 -18만 6천 감소, 기능원 -11만 1천 감소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단위: 천명)

산업별로는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가 예상되며, 제조업, 건설업, 농림어업 등은 감소할 전망입니다. 직업별로는 전문가와 서비스직에서 큰 폭의 증가가 전망되며 판매직, 장치ㆍ기계 조작, 기능원 등에서는 감소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는 급속한 고령화와 디지털 전환의 영향으로 산업 환경이 변화하면서 일어난 현상으로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산업·직업별 추가 필요인력 전망

한국고용정보원은 2027년을 정점으로 취업자 수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며, 향후 10년 동안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89만 4천 명의 추가 필요인력2)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고용 감소가 예상되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은 각각 13만 7천 명, 11만 8천 명의 추가 필요인력이 예상되었으며, 직업별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0만 2천 명), 사무종사자(15만 2천 명) 등 비교적 고숙련 직업군에서 추가 인력의 수요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향후 성장 전망치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동 공급 제약을 고려한 인력 이외에 추가로 필요한 인력

한국고용정보원의 전망에 따르면, 향후 노동력 부족 현상이 가시화될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에 잠재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할 수 있는 대상별 차별화된 고용 정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청년을 위한 맞춤형 취업 지원과 여성을 위한 일·육아 병행 고용환경 구축, 고령자를 위한 계속 고용 기반 조성 등의 취업 지원 정책 마련으로 우리 고용 시장에 인력이 원활히 공급되길 기대합니다.

  •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 공급 전망 2022-2032 게시일 : 2024.03.25.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6328

    [SBS] 2028년부터 일할 수 있는 인구 줄어든다…2032년 '90만 명' 부족 작성 2024.03.20 08:27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578997&plink=ORI&cooper=NAVER